View : 8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정욱-
dc.creator양정욱-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09-
dc.description.abstract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매일 음악을 접하는데 많은 음악경험 중 음악감상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음악을 통해 즐거움을 찾고, 스트레스를 풀고, 쉼을 얻기도 하지만 원치 않는 음악이 들려질 때 그 음악은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유도하는데 이는 음악이 이렇게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음악 선호도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 LeBlanc(1982)을 중심으로 음악선호도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그는 음악적 선호와 기호에서 변화의 원천에 대한 상세한 포괄적 모델을 창조했다. 그의 8단계의 모델은 선호적 판단을 함에 있어서 청취자의 행동에 기이한 변인들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가려낸다(Radocy & Boyle, 2001). 음악선호도와 다양한 변인들과 연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본 연구는 그 많은 변인들 중에서 본 연구는 LeBlanc의 음악선호 변인 모델에서 4단계에 포함되어 있는 기질의 변인과 음악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 87명과 남대생 48명을 대상으로 Eysenck의 기질 검사지(EPI) 통하여 신경증 경향과 정서안정 경향, 외향적과 내향적인 기질로 나누었다. 그리고 평소에 좋아하는 음악 3곡의 노래/곡명, 장르, 가수/연주자 그리고 좋아하는 이유를 각각 적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그들이 좋아하는 노래를 수집하여 음악의 장르를 분석하였고, 좋아하는 이유 그리고 그 음악들을 수집하여 다른 관찰자와 7개의 음악적 요소인 음질, 리듬, 화음, 선율/음역, 빠르기/ 템포, 음색, 다이나믹/강도를 likert 척도 1 ~ 3점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질집단과 음악장르선호도간의 차이가 있는지, 기질별로 선호하는 이유가 다른지 그리고 기질집단과 선호하는 음악의 요소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을 하기 위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신경증 경향과 정서안정 경향의 장르 선호도를 분석을 한 결과 신경증 경향은 재즈와 댄스음악에서 높은 선호를 보였고, 정서안정 경향은 흑인음악과 락에서 높은 선호를 보였다. 내향성과 외향성 기질의 장르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내향성 집단은 뉴에이지와 재즈음악을 선호하였고, 외향성 기질은 클래식을 선호하였다. 또한 음악경험이 5년 이상과 이하로 나누었을 때는 5년 이상 그룹은 클래식, 뉴에이지와 재즈음악에서 높은 선호를 보였고, 5년 이하 그룹은 발라드, 흑인음악과 댄스음악에서 높은 선호를 보였다. 둘째, 각 기질 그룹간의 음악선호 이유의 분포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모든 기질 그룹에서 정서변화에서 제일 많은 분포를 보였다. 셋째, 각 기질 그룹간의 선호하는 음악의 음악분석과의 상관관계를 X^(2)검정으로 알아본 결과 신경증 경향과 정서안정 경향을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외향성과 내향성을 X^(2)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음색(p=.006)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질과 음악선호도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음악치료 현장에서 내담자들의 활동에 대한 참여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들이 선호하는 음악을 사용한다면 그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고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질(인성)과 음악선호도에 관한 외국의 연구들은 이전부터 많이 되어 왔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연구되어지지 않아 앞으로 음악치료 현장에서 활용되어 지기 바란다.;The study on music preference was commenced with LeBlanc(1982) as the focal figure, who in particular created the specific comprehensive model on the origin of change in music preference and taste. His 8-staged model not only classifie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steners' behaviors in deciding on the preferable music, but also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steners directly (Radocy & Boyle, 2001).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lated to music preference and different variables. Among these many variable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preference and the personality variables in stage four of LeBlanc's music preference variable model. 87 female college students and 48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for this research. They were categorized into neuroticism (stability-instability) and introversion-extraversion dimensions using the Eysenck Personality Inventory (EPI). A questionnaire was given, asking their three favorite music pieces' title, genre, artist and the reason why these pieces are their favorites. Consequently, the selections were all brought together for the analysis of the genre. Also, in the presence of another observer, the reasons for their preference and the musical selec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Likert Scale 1~3 in the 7 elements of music: rhythm, dynamics, melody, harmony, texture, tone color and form. With this analysis as the basis, the distribution chart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groups and music genre preference, and whether different personality groups have different reasons for preferring certain genre. Also, SPSS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groups and preferable elements of music. Then, these two findings were cross-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genre preference analysis shows that the neurotics preferred jazz and dance music while the stable group preferred R&B and rock music. The introversion group preferred new age and jazz while the extraversion group preferred classics. When they were grouped into those who have over 5 years of musical experience and those who have less than 5 years of musical experience, the former group preferred classics, new age and jazz while the latter group preferred ballads, R&B and dance music. Secondly, the study on the range of reasons for music preference in each group concluded that all four groups showed the widest range in the emotional change. Third, the 塔 analysis on the preferable elements of music in neurotics and stable group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same analysis in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groups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one color (p= .006).-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2 C. 용어정리 = 3 Ⅱ. 이론적 배경 = 7 A. 기질 = 7 1. 기질 연구의 접근 방법에 따른 개념 = 7 가. 성격심리학적 접근 = 8 나. 소의학적 접근 = 9 다. 개인차 연구 = 10 2. 기질연구의 역사 = 11 가. 고대 ∼ 중세의 연구 = 11 나. 19101 ∼ 1920년대 연구 = 12 다. 1940년대 연구 = 12 라. 1960년 ∼ 1970년대 연구 = 13 마. 1980년대 ∼ 최근의 연구 = 13 3. Eysenck의 기질 연구 = 14 B. 기질과 음악선호도 = 16 1. 고대 ∼ 중세의 연구 = 16 2. 1920년대 ∼ 1930년대 연구 = 18 3. 1950변대 ∼ 1960년대 연구 = 19 4. 1970년대 ∼ 최근의 연구 = 22 5. 한국의 기질과 음악선호도에 관한 연구 = 23 C. LeBlanc의 음악선호도 모델 = 24 D. 음악선호도 = 28 1. 이전의 음악선호도 = 28 가. 고전음악의 선호도 = 29 나. 대중음악의 선호도 = 29 2. 음악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 31 가. 비음악적 요소 = 31 나. 음악적 요소 = 34 Ⅲ. 연구 방법 = 39 A. 연구대상 = 39 B. 연구도구 = 39 C. 연구방법 및 절차 = 40 D. 결과 분석 = 42 Ⅳ. 결과 = 43 A. 기질별 장르 선호도 = 44 1. 신경증 경향과 정서안정 경향의 장르 선호도 = 44 2. 외향성과 내향성의 장르 선호도 = 46 3. 음악적 경험과 장르 선호도 = 48 B. 기질 유형별 음악 선호 이유에 대한 내용 분석 = 50 C. 기질 유형별 선호 음악 요소 분석 = 53 1. 신경증 경향과 정서안정 경향의 선호 음악 요소 분석 = 54 2. 외향성과 내향성의 선호 음악 요소 분석 = 56 Ⅴ. 결론 및 논의 = 59 A.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 59 B. 연구의 활용방안 = 62 C. 연구결과의 제한점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76 부록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908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기질-
dc.subject음악선호도-
dc.subjectEysenck's Temperament Type-
dc.title기질에 따른 음악선호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Eysenck 기질분석 척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Music Prefernce on Eysenck's Temperament Type-
dc.format.pagev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