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연-
dc.creator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2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영상 매체가 가져온 사회적 변화, 문화적 영향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를 반영하는 Self Promotion을 위한 영상물 제작에 관한 연구이다. 산업 사회, 정보화 시대를 이끈 시발점이 된 것은 기술의 발전이었다.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사회 변화를 초래하고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켜 나갔듯이 영상의 경우에도 관련 기술의 발달이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사진의 출현 이후 본격적으로 '영상' 이 시작된 시기는 현재로부터 그리 멀지 않지만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반 대중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문화 형식이 되어 있다. 영상이 이처럼 급속도로 영향력을 갖게 된 것은 기술적,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영상 매체 자체가 갖는 특성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문자 언어와 달리 영상 언어는 수용자가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도 짧은 시간동안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총체지 인지형태를 가진다. 또한 영상 언어를 습득하는데 특별한 훈련이나 교육이 필요치 않으며 순간 느끼고 깨달을 수 있어 집중력과 같은 억제된 에너지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영상 언어의 특징은 지금까지의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들과도 본질적으로 다른 면을 지니고 있어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이해되는 개방성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신속한 정보 통신망의 구축은 이러한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을 촉발시켜 새로운 문화 구조와 사회 구조를 형성하였다. 전자 영상에 의한 언어는 상호간에 쉽게 공유되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쳐 영상 언어가 일반화되는데 기여하였다. 지금부터 펼쳐지는 얼마간의 시대에 전자 영상 문화가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또한 정보의 디지털화는 영상을 만드는 사람과 소비하는 사람의 경계를 없애고 있다. 컴퓨터가 보편화되고 정보가 디지털화 되어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단계를 넘어 이제는 직접 원하는 정보를 생산해내는 일이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문화에서 창작인은 특별한 사람들이 아닌 보통의 사람들이 되었다 창작의 과정은 결국 자신 내부의 세계에 대한 반영이고 보면. 사람들은 서로의 내면 세계를 관찰하고 공유할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더군다나 정보 통신망에서의 적당한 익명성은 이에 대해 촉매작용을 하였다. 사람들은 이렇게 자신을 드러내는데 주저하지 않게 되었으며 오히려 새로운 교류 통로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문명과 통신망의 발달이 부재했던 과거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새로운 현상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영상 문화의 현재를 반영해 보고자, 방법적인 측면에서 영상 매체를 선택하였고 내용적으로는 영상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나타난 문화의 일면을 Self Promotion이라는 주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표현된 self promotion은 전통적인 방식대로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객관적 내용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체와 감정, 감각을 전달하고자 하여 영상 언어와 영상 시대의 특징을 담고자 시도하였다. 앞으로의 정보는 문자나 음성 보다는 영상의 형태로 생산, 유통, 소비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으로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영상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며 영상 정보가 가장 기본적인 자원이자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현시점에서의 상황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가능성을 예측하는 토대로 삼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The thesis is an examination of social changes and the cultural effect of video, and the study of the visual production for Self Promotion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the starting point that has brought forth both industrial society and information era. Social changes and creation of a new culture is the result of physical alteration to the environment. The same can be said of visual media Although the history of video is short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photography, i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cultural forms to the public. The rapid influence of video can be found in techn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itself cannot be overlooked. Different from written language, video language can be selectively accepted by the receiver, and it possesses denotative meaning that enables an understanding of collective meaning in a short span. Additionally, one does not require a custom training nor education in acquiring video language, as it can be apprehended instantly, thus avoiding suppressed energy such as concentration. This very unique features of video language mentioned above possess a fundamentally distinctive aspect from any other existing communication means that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Construction of a rapid communication network has induced an active circulation of information, forming a new cultural structure and social organization. Language from digital video can be freely shared mutually and can influence extensively, helping video language achieve popularity. No one doubts the leading role of video culture will play in the current future. In addition, digitalization of information has erased the boundary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From acquisition of desired information by anyone with generalization of computers and digitalization of information, we have now reached a level where a direct production of a desired information is common. In such digital culture, a creator is not someone particular but an ordinary person. Ultimately, the process of production reflects the inner world of a person, and gives the general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share inner worlds. Moreover, a reasonable anonymity in information network is a catalyst for such claim. People have not hesitated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is even utilizing it for a new communication means. A new phenomenon has arisen where it could not have existed in the past without digital culture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author in an effort to reflect the current visual culture has selected video as a method, and in terms of content has attempted to express, in the subject matter of Self Promotion, the cultural aspect that has appeared from the development of video and digital technology. Self promotion in the work does not reveal the conventional form of expressing an objective content with a particular intention but rather attempt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language and video era. The future predicts the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visually rather than in written and in audio. In the future information age, the significance of moving image information will increase, and will become the main resource and 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thesis lies in predicting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ssibility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applying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영상 커뮤니케이션 = 4 2.1.1 영상의 정의 = 4 2.1.2 영상 매체의 특징 = 5 2.1.3 영상의 기능 = 9 2.2. 현대 문화와 영상 = 12 2.2.1 영상 세대 = 12 2.2.2 영상과 사회·문화의 변화 = 15 2.2.3 현대문화와 영상의 의의 = 19 2.3. 영상 시대의 Self Promotion = 22 2.3.1 Self Promotion의 개념 = 22 2.3.2 사회변화와 Self Promotion = 23 2.3.3 Self Promotion의 새로운 형태들 = 24 3. 작품 제작 = 26 3.1. 제작 의도 및 대상 = 26 3.2. 제작 기획 및 방법 = 27 3.3. 작품 분석 = 28 4. 결론 = 39 참고문헌 = 41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4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영상매체-
dc.subject산업사회-
dc.subject정보화사회-
dc.subject연구-
dc.title영상 매체를 활용한 Self Promotion-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lf Promotion with utilization of Digital Video-
dc.format.pagev,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