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reator이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24-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society, illustration depicts human life and critics the era with its creative ideas, lilting humor and sharp viewpoint; it also provides aesthetic pleasance with its various techniques of expression. Such a role of illustration is often regarded natural, but numbers of turning points took place in the history of illustration to form the current role. With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in the 19" century, illustration should move on to the areas that photography could no longer do. Aesthetic accomplishment through photorealistic depictions and the function of documentation, such as portraits, were no longer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situation was not much different in the 20^(th) century. Rapidly evolving technology of photography and wide-spread use of computer graphlcs left little room for illustration in our lives. Some said a crisis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and such hardships contributed in diversifying and deepening the quality of illustration. As a result, a whole new unique domain was explored. The modem illustration, after 1950s, embraced drastic changes such as post-modernism and pop art. Pop art separates familiar objects of our lives and places them in the anomalistic condition to allow viewers to have a new recognition of the object and to think of the meaning of modern life. Post-modernism seeks pluralistic nature of style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contradiction and ambiguity. Through such trend, retroactive style, collage technique, satire and imitation were newly developed to replace simple and practical techniques. In search for a presentation technique to maximize the impact of illustration, such facts provided a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ith a special focus on "multi-medium presentation techniques" and "unfamiliarization." In terms of "multi-medium presentation techniques,"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researched in the perceptive psychology were referred as a background theory. Functions and roles of elements and their reciprocal relations were analyzed to study possibilities of multi-medium presentation. During the course, it was discovered that opposing elements such as figure and ground or 3-dimension and 2-dimension could be used freely in a single illustration. The effect of "unfamiliarizati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when studying the theory of reaction to humor. Incongruity theory in particular shows the psychological reaction of a viewer when a familiar object was illustrated in an unfamiliar way. According to the theory, laughter, studied by many psychologists since the ancient time, is an action coming from the incongruity triggered by unfamliarity, regardless of how to characterize it. This study is to apply such theoretical backgrounds to illustrations of elements in binary opposition. To this end, various methods to visually apply humor were studied. Visual pun in particular was deeply connected to the JOY coming from visual perception, the study found. In actual production of a work, figure-ground reversal, depth of a plane and the function of a blank space were taken account before putting realistic illustration and a plane silhouette together in one picture plane. The two presentation methods were applied separately to a pair of binary opposition, allowing viewers to experience incongruity,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m humorous understanding of the objects. To present a theme of binary opposition, it is effective to use elements that are opposition in visual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incongruity stimulates humor, enriching the meaning of a subject, the study concluded. Illustration, in combination with psychological reaction, provides unique aesthetic experience to the viewers. Such a role provides illustration further development and a guarantee to its own status in h s modem society deluged with images and new technologies.;현대 사회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창적 아이디어와 경쾌한 유머, 예리한 시각으로 인간의 삶을 묘사하고 시대를 비판하며, 다양한 기법으로 보는 이에게 미적 쾌감을 안겨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은 언뜻 보면 당연해 보이지만 역사적으로 몇 번의 굴곡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19세기 사진기술의 등장으로 일러스트레이션은 사진이 할 수 없는 분야에 관심을 돌려야 했다. 사실적 묘사 등을 통한 심미성 추구나 초상화로 대표되는 기록의 기능은 더 이상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이 아니었다. 20세기의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점차 발달해 가는 사진기술과 컴퓨터 그래픽의 보편화 또한 일러스트레이견의 입지를 좁히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라는 말도 있듯이 이러한 굴곡이 일러스트레이션을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게 만들었으며, 결과적으로는 사진이나 컴퓨터가 넘볼 수 없는 영역을 개척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은 195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더니즘과 팝아트의 등장으로 대표되는 획기적 변화를 맞이하였다. 팝아트는 일상의 친숙한 사물을 일상적인 상황에서 떼어내 새롭게 인식하게 하고 현대적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스타일의 다원성을 주장하며 복합성과 모순, 모호성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경향에 의해서 복고 스타일이나 꼴라쥬 기법, 풍자, 모방 등 다양한 기법이 단순하고 합리적인 기법을 대신하여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일러스트레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표현방법을 찾던 중 위와 같은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고 '다양한 표현 방법'과 '낯설게 하기'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먼저 '다양한 표현방법'의 측면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지각심리학에서 연구되어진 시지각 이론을 참고하였다. 조형 요소들의 기능과 역할, 요소들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표현방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그 과정에서 형상(figure)과 배경(ground), 혹은 입체와 평면이라는 대립적인 요소가 하나의 화면 안에서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낯설게 하기'의 효과는 유머의 반응이론을 살펴보았을 때 가장 잘 드러나는데, 유머의 반응 이론 중 부조화이론(incongruity theory) 은 익숙한 것을 낯설게 했을 때의 심리적 반응과정을 매우 잘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심리학자들이 다루어 왔던 웃음이라는 작용은 어떤 식으로 구분 짓더라도 낯설음에서 오는 부조화가 그 공통적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항대립적인 주제를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서 유머를 시각적으로 적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았고, 그 중에서 특히 비주얼 펀(visual pun)이라는 형태가 시지각적인 원리에서 오는 즐거움과 일맥상통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제로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형상과 배경의 반전(figure-ground reversal), 평면의 깊이, 여백의 기능 등을 염두에 두고 사실적인 일러스트레이션과 평면적 실루엣을 하나의 화면에 담았다. 이 두 표현방법이 이항대립적인 소재에 나누어 적용됨으로써, 보는 사람은 부조화를 경험하게 됨과 동시에 소재에 대한 유머러스한 파악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항대립적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시지각적인 대립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 때에 생성되는 부조화의 경험이 유머를 발생시켜 주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해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일러스트레이션은 심리학적 작용과 결합하여 독특한 미적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는 각종 이미지가 범람하고 기술이 발달하는 현대사회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이 자신만의 입지를 확보하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2. 이항대립(binarite')적 요소와 시지각 이론 = 5 2.1 이항대립(binarite') = 6 2.2 형상과 배경(figure and ground) = 7 2.3 평면의 깊이 = 12 2.4 여백의 기능 = 13 3. 시각적 저널리즘의 적용 = 18 3.1 시각적 저널리즘과 작가정신 = 18 3.2 저널리스틱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과 특징 = 20 4. 유머(humor)의 시각적 적용과 효과 = 23 4.1 부조화를 통한 유머 반응 = 24 4.1.1 고전적 부조화 이론 = 25 4.1.2 부조화 해결 이론 = 25 4.2 부조화의 시각적 적용 = 26 4.3 이질적 표현 방법에 의한 부조화의 효과 = 29 5. 작품표현 = 35 5.1 작품 제작의 배경 = 35 5.2 재료 및 기법 = 36 5.3 작품제작과 분석 = 38 6.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54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이항대립적 요소-
dc.subject일러스트레이션-
dc.subject효과적 표현-
dc.title이항대립적 요소의 효과적 표현을 위한 일러스트레이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llustration for Effective presentation of elements in Binary Opposition-
dc.format.pageix,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