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임현정-
dc.creator임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44-
dc.description.abstractPeople reveal their creative psychology in artistic expressions today. In modern arts, they tak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approaching the senses t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creation and believe that artistic expressions are not mere reproductions but original visual languages to manifest personal emotions and affection. As formative arts, modern fabric design takes an object and embodies its image in pursuing its own unique expressions.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aesthetic experiences of subject matters. For the purpose, natural light, which was the element to bring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functionality to indoor space, was applied to fabric images. Light is the requisite for every kind of human activities. The formative transparency of light can work to induce infinite changes to fabric image. Anthony Vidler observed that modernity was trapped in by the myth of transparency. His statement seems legitimate enough considering the modern society, which demands for transparency of the self to nature, transparency of the self to others, and mutual transparency to all the members. Such demands have been part of the ideal democratic life. In the study, the fabric design techniques took the formative transparency of light as the important element of visual and tactile design. By using a new material called alginate foil, the superimposition of diverse fabric materials and the self-repeating non-woven textiles were presen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light.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new design techniques for fabric materials with the transparency of light applied. The feature of transparency in textile design was reevaluated in its forms through image projections and examined in its role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abric pattern and design through shadow contrasts. At the same time, the effects of light transparency were used to recreate the textile as an expressive tool with meaningful significance and to help invisible things earn an entity. In the study the formative transparency of light was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 First, a theoretical approach was taken toward the formativenes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ight to see how the concept of light transparency could be embedded in a fabric design. Second, the new material alginate foil was investigated in its features and processing techniques, which was followed by another investigation of the alginate foil technique to see if they could show the transparency of design through the superimposit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e threads that were the basic unit of materials were superimposed and repeated in the alginate foil. After such a pattern design, a variety of stitches were used to make a non-woven fabric. The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us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fabric design that had the formative transparency of light as the visual and fabric design element, and to consider the potential of a non-woven fabric design as a pattern design to impose transparency of a fabric material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diverse materials to alginate foils. The two groups presented total 16 non-woven fabric works, whose feature was the formativeness of light that promoted emotional security in the fast changing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attempt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fabric design reflecting the diverse aesthetic viewpoints of the consumers.;오늘날의 예술표현은 창조적인 인간의 심리 표출이다. 이러한 현대미술은 창작의 본질적인 요소, 즉 지각을 심리학의 입장에서 받아들임으로써 예술표현이 단지 재현이 아니고 개인의 감정과 정서를 나타내는 독창적인 시각 언어임을 말해주고 있다. 조형 예술로서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이 추구하는 표현도 대상을 보고 그것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것과 같은 맥락 속에 있는 것이다. 빛은 인간의 모든 활동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며 빛의 조형적 투명성에 따라서 섬유의 이미지는 무한히 변화될 수 있다. 현대성은 투명성의 신화에 잡혀 있다는 안소니 비들러(Anthiny Vider)의 말처럼 현대사회는 자연에 대한 자아의 투명성, 타인에 대한 자의의 투명성, 그리고 상호에 대한 모든 자신들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이러한 요구는 민주적 삶의 이상 중의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빛의 조형적 투명성을 시작 및 촉각적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소재인 알기네이트 호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소재의 중첩과 반복된 non-woven 패브릭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소재에 대한 미적 경험을 표상화 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이를 위해 실내공간에서의 심리적 안정감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자연에서 오는 빛을 섬유의 이미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빛의 투명성을 적용한 패브릭 소재의 새로운 디자인 제작 기법의 제시라 할 수 있다. 즉, 패브릭 디자인에서 투명성은 음영의 대조로 패턴의 집중도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이미지를 빛의 투과성의 효과를 통해 의미를 가진 표현 수단으로 재창출하고 비가시적인 것들이 실체를 가진 것으로 인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빛의 조형성에 대한 고찰과 빛의 표현 특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빛의 투명성 개념이 패브릭 디자인에 어떻게 내재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신소재로서 알기네이트 호일 기법의 특성과 가공기법에 대해 실험연구 하고 알기네이트 호일 기법이 중첩과 빛의 투과를 통한 디자인의 투명성을 반영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소재의 기본단위인 실을 알기네이트 호일에 중첩, 반복하여 하여 패턴을 디자인한 후 다양한 머쉰 스티치로 non-woven 패브릭 작품을 16점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론적인 배경을 통하여 빛의 조형적 투명성을 시각 및 촉각적 디자인의 요소로 이용한 패브릭 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다양한 소재의 결합을 신소재인 알기네이트 호일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투명성을 부과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가 있는 패브릭 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2. 빛의 조형성과 패브릭 디자인 = 4 2.1 빛의 개념과 특성 = 4 2.2 빛과 질감에 의한 현대 패브릭 디자인 = 11 2.3 패브릭 디자인과 non-woven 섬유소재 = 17 3. 알기네이트 호일을 이용한 패브릭 = 26 3.1 알기네이트 호일(Alginate foil)에 의한 가공기법 = 26 3.2 알기네이트 호일을 이용한 패브릭 디자인 = 31 4. 작품제작 및 분석 = 35 4.1 작품제작 의도 = 35 4.2 작품제작 방법 및 과정 = 36 4.3 작품분석 = 40 5. 결론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330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빛의 조형성에 의한 non-woven 패브릭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Non-woven Fabric Design Using Formativeness of Light With the alginate foil techniques-
dc.creator.othernameLIM, Hyun-Jung-
dc.format.pagevi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