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0 Download: 0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itle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mployment communication
Authors
김재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정보과학대학원 비서정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Every communicative situation requires performances by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have competitiveness, companies, focus on talented workers, to show their capacity, universities are more interested in the number students who get jobs. Communication skil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that are expected of new employees. While today's job applicants ful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communication, and want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employment communication, sometimes they do not know exactly what w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eir resumes, cover letters, and interviews. It would be quite useful if we figure out what are concerned about the potential employers. The first aim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there exists a difference in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in these employment communications between the job applicants and the employers and along with employer’s different corporate code and nationality. Second is to understand what motivates the employers to choose well-qualified candidates through resumes, cover letters and job interviews. Third is to identify if there is any inconsistency between the elements that employers thought to be important in resumes, cover letters and job interviews and the practical reasons for their final selection. Fourth is to develop the checklist of aspects to be considered by job applicants in resumes, cover letters, interview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stages. The first stage was to demonstr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ing importance of the items in these employment communications between the job applicants and the employers. Also, between Korean employers in domestic companies and foreign companies, between the Korean employers and the foreign employers. The items included in resumes, cover letters, and interviews were first identifi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documents on employment communication. The identified items were then sorted through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items selected were presented in a questionnaire to 30 job applicants and 64 employer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items included in resumes, cover letters, and interviews. In the second stage,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in order to make a pertinent research tool suitable for the important items of the employment communication by reflecting various opinions of the employers. For the qualitative study, 22 resumes and 17 cover letters submitted by job applicants who participated in Job Workshop(October, 2004) and moving images of 2 English job interviews were used. Employers were asked to select the best and the worst candidates along with the reasons for their choices. For the employment documents, 18 Korean employers in a domestic company, 14 Korean employers in a foreign company, 6 foreign employers in a foreign compan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s the job interview, 7 Korean employers in a domestic company, 5 Korean employers in a foreign company, 3 foreign employers in a foreign company are asked the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rs rated document formats more important than job candidates. Second, items that foreign company employers rated more highly than Korean company employers include previous work experience in the resume; personal information, document format for the cover letter; non-verbal aspects for the interview. Third, items that foreign employers rated more highly than Korean employers included document format in the resume; personal information, document format for the cover letter; concise statement for the interviews. Fourth, regardless of each employer’s corporate code and nationality, employers rated document format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item. Especially, foreign company employers rated over 50% for the document format item. Fifth, in this resume, Korean employers highly rated all job descriptions, achievements in previous work experience, neat and organized format of documents, certified English scor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Korean employers in foreign companies highly rated neat and organizing format of documents, all job descriptions, achievements of previous work experience, English score of skill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eign employers highly rated document format. Sixth, in this cover letter, Korean employers highly rated writing skills, strong/weak points(personal quality), strongest qualification, document format; Korean employers in foreign companies highly rated document format, writing skills, strong/weak points(personal quality); foreign employers rated 100% response of the document format. Seventh, when a resume and cover letter considered together, Korean employers highly rated all job descriptions, achievements/relevant work experience, English score, document format, work attitude, resume items; Korean employers in foreign companies highly rated writing skills, resume items, all job descriptions, achievements/relevant work experience, English score, cover letter items; foreign employers rated 100% response of the document format. Eighth, in this English interview, regardless of employer’s corporate code and nationality, non-verbal behaviors are considered higher than verbal behaviors. Employers who put more importance on non-verbal behaviors are in the following order: Korean employers in a domestic company, Korean employers in a foreign company, foreign employers.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elect secretarial positions. Thus, non-verbal aspects such as the applicant’s posture and facial expression are more influential than verbal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study employment communication with practical examples. It would be quite useful if we figure out what concerns the most the potential employers and give solid employment communication guidelines and checklists to job applicant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in many-sided and integrated method. This study dealt with all employment process-resume, cover letter, interview. Thi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rder of importance in each element for resumes, cover letters and job interviews considered by employers of different corporate code and nationalit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gives job applicants guidelines depending on the company they are applying for and that it broadens its scope of research showing the order of importance by various respondents.;최근 기업은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능력 있는 인재를 채용하려는 관심이 높고, 대학은 졸업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장을 구하는데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기대하는 최고의 능력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하는데, 취업준비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경험을 취업서류와 면접에서 어떻게 제시하여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취업 커뮤니케이션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하나의 형태로 취업 준비생이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두, 문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며 가장 흔한 형태로 이력서, 자기소개서, 그리고 취업 면접을 들 수 있다. 이력서는 한 두 페이지에 자신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며, 자기소개서는 이력서에 제시된 내용과 관련하여 후보로서의 자신의 자질과 적합성을 부각하는데,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인터뷰 형식을 통하여 직접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취업 과정에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경험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중요하다고 느끼는 항목이 취업생 집단과 인사담당자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인사담당자가 속한 기업유형과 인사담당자의 국적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둘째, 인사담당자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을 통하여 우수한 후보를 선택하는지를 파악한다. 셋째, 인사담당자들이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중요하다고 느꼈던 항목과 실제로 우수 후보를 선택했던 이유가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넷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준비생이 고려해야 할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항목별 유의사항 및 체크리스트를 제시한다. 연구과제 1에서는 취업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유형인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중요하다고 느끼는 항목이 취업생 집단, 인사담당자 집단, 인사담당자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사담당자의 경우 총 80부 배포 중 64부 회수, 취업생 집단의 경우 40부 배포 중 30부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연구의 적절성 판단을 위해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거친 후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제 2에서는 인사담당자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을 통하여 우수한 후보를 선택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2004년 10월 이화여자대학교 비서학과가 주관한 취업 워크샵에 참석한 취업 준비생이 제출한 이력서 22개와 자기소개서 17개의 취업서류와 영어면접을 촬영한 면접동영상(2개 그룹 8명이 참가한 그룹 영어면접)을 인사담당자가 보고 상위 후보와 하위 후보를 선정하게 한 후 그 선정이유를 제시해줄 것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내용분석하였다. 취업서류의 경우 국내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 18명, 외국계 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 14명, 외국계 기업 외국인 인사담당자 6명으로 총 38명이 참가하였고, 취업면접의 경우 국내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 7명, 외국계 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 5명, 외국계 기업 외국인 인사담당자 3명으로 총 15명이 참가하였고, 응답결과를 내용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생들과 인사담당자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사담당자들은 문서형식, 즉 취업서류의 외형적인 요소를 취업준비생들보다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외국계 기업 인사담당자와 국내기업의 인사담당자간에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항목을 파악한 결과, 외국계 기업 인사담당자는 이력서의 경우 사전업무경험, 상세항목으로는 수행한 임무, 주소; 자기소개서의 경우 개인정보, 문서형식, 상세항목으로는 직무관련 교육 및 훈련, 직무관련 업무경험, 주소, 전화번호,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간결한 문장으로 작성; 면접의 경우 비언어적 행동, 상세항목으로는 의견표시가 간결함, 눈을 자주 껌뻑거리지 않음, 얼굴이 확 피어있고 이완되어 있음, 자연스러운 억양, 편안한 자세임을 국내기업의 인사담당자보다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 인사담당자와 외국인 인사담당자 간에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항목을 조사한 결과, 외국인 인사담당자가 이력서의 경우 문서형식, 상세항목으로는 주소, 지역사회 활동, 정확한 철자법; 자기소개서는 개인정보, 문서형식, 상세항목으로는 지원동기, 주소, 이름, 전화번호,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정확한 철자법, 간결한 문장으로 작성; 면접은 요인항목에서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세항목 비교에서 의견표시가 간결함에서 한국인 인사담당자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사담당자의 기업유형별, 국적별 유형에 상관없이 문서형식 항목은 중요 요인으로 거론되었다. 특히 국내기업보다 외국계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의 경우 50%가 넘게 문서형식을 중시한다는 응답을 보이며, 취업서류 검토시 문서형식 항목을 최우선적으로 검토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이력서의 경우 국내기업의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수행한 임무,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공인된 기관의 영어점수, 동아리 활동; 외국계 기업의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깔끔하게 정돈된 이력서 형식, 수행한 임무, 공인된 기관의 영어점수, 동아리 활동; 외국인 인사담당자는 문서형식 항목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소개서의 경우 국내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작문력, 자신의 장단점, 강한 자질,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외국계 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작문력, 자신의 장단점; 외국인 인사담당자는 100% 문서형식을 중요시 하였다. 일곱째,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국내기업 인사담당자는 수행한 임무/직무관련 업무경험, 공인된 기관의 영어점수, 깔끔하게 정돈된 형식, 일의 태도, 이력서 사항; 외국계 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작문력, 이력서 사항, 수행한 임무/직무관련 업무경험, 공인된 기관의 영어점수, 자기소개서 사항; 외국인 인사담당자는 100% 문서형식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다. 여덟째, 영어면접의 경우 인사담당자 유형에 상관없이 상위 후보, 하위 후보 선정에 있어, 비언어적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국내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는편안한 자세, 표정; 외국계 기업 한국인 인사담당자는 언어구사능력, 편안한 자세; 외국인 인사담당자는 언어구사능력, 편안한 자세, 자연스러운 제스쳐, 기타 등을 중시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는 처음 시도된 연구로서, 실제로 채용을 담당하는 인사담당자들이 취업서류와 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취업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을 파악하여 취업준비생들에게 좋은 취업준비자료를 제공해주었다. 둘째, 다면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채용과정의 일련의 흐름을 통한 준비단계 모두를 연구과제로 다루어 구성요소 일부만을 다룬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연구들에 비해 본 연구는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취업 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인 프로세스를 연구과제로 삼아 다면적으로 다룸으로써 후속연구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셋째, 인사담당자의 기업유형별, 국적유형별로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의 구성항목 중요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취업준비생 본인이 가고자 하는 기업과 인사담당자 유형별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인사담당자의 유형에 따른 중요도 결과를 다양하게 파악하여 보여줌으로써 연구범위를 확장시켰음에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비서정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