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羅玉珍-
dc.creator羅玉珍-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56-
dc.description.abstract변화가 빠르고 복잡한 오늘날의 국제적 상황에서 우리의 미술 교육은 제도적 교육 속에 획일화 되어버린 청소년들의 시각적 잠재력을 개발해야 할 국가적 필요성이 있다. 최근에 많은 학자들이 미술 교육을 미적 감각교육의 방향으로 이해하고 있고, 교육부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미술 교육의 목표가 표현 및 감상능력을 기르고 창조성 및 정서성을 함양함에 있지만, 학교 교육 속에 미술교과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확고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삶과 연결되어 문화 예술 체험을 직접 경험하게 하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그 연계선상에서 미술 박물관 교육의 역할을 알아 보는데 있다. 내용은 인천지역 중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미술 감상교육 실태 조사와 함께 국립 박물관 및 미술관, 예술의 전당에서 실시하는 미술강좌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와 문헌 그리고 현장조사이다. 질문지는 1992년에 인천직할시 교육위원회에서 발행한 인천시 교육 통계연보에 수록된 인천시내 53개 중학교에서 목적 표출한 63명을 대상으로 학교 미술 감상지도 실태와 학교 교육의 연계선상에서 미술과 및 박물관의 역할을 알아 보았다. 질문지는 백분율에 의해서 분석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부가 감상교육을 통하여 미적 감각교육을 강조하는데 반해 현장교육에서는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구 설비가 제대로 비치되어 있지 않고, 교사 스스로도 감상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2. 감상 지도의 중점 목표는 미술감상의 관심과 즐거움이고 감상 수업에 적절한 자료는 박물관, 미술관 관람과 V.T.R이라는 응답에 높게 나타났으나 미술관과 박물관의 위치가 너무 멀고 관람을 한다고 하더라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는 적절한 감상이 되기란 어렵다. 3. 중학교 미술 교육의 상호 보완적 측면에서 국립 현대미술관 및 박물관과 예술의 전당 프로그램을 보면 내용과 대상의 성인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아주 적어서 청소년들의 미적 호기심과 지적인 성장 쪽으로 그들의 시야를 확장시켜주는 역할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주려면 첫째, 학교 교구 설비 확충이 시급하고 교사들의 장기적인 연수가 있어야 한다. 연수 내용은 교사들의 전공이 아닌 공예와 서예 및 미술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강좌 시간은 평일에나 주말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것이 지방에 재직 중인 교사들에게도 가능하려면 강사진과 수강장소가 그 지방작가 및 공공장소를 섭외할 수 있는 이동식 미술관이 용이하다. 둘째, 미술관은 세계 여러 나라의 미술품이 한자리에 모여 있기 때문에 자국 문화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 대한 안목을 키워 줄 수 있는 장소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학교와 원할한 관계를 유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토요일 오후나 특별 활동 시간을 이용할 수 있게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 세째는, 학교 현장에서 감상 시간에 교구로 사용할 수 있는 V.T.R 제작이 필요하다. 이때 우리 나라의 전통 미술에 대한 내용은 박물관이, 근, 현대의 서양 미술은 국립 현대미술관이 제작하여 각 학교에 배포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다. 네째, 청소년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청소년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사항이 필요하다. ① 프로그램은 장기적이어야 한다. ② 강좌 내용은 학교 미술 교육에서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감상을 중심으로 하고 실기 표현에서 서예와 공예를 보완해 줄 필요가 있다. ③ 지방 청소년도 참여할 수 있게 하려면 이동식 미술관을 설치 지방 작가를 섭외하고 공공장소를 요청하여 방과 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오후 5시 이후나 토요일 오후에 강좌시간을 계획하면 된다. ④ 학교와의 원할한 관계를 유지하여 특별 활동 시간에 직접 참여한다면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⑤ 소질이 뚜렷한 학생들이 特殊 目的高에 입학하기 전에 사설 미술학원에서 수강하는 것 보다는 전문 작가와 전문인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 미술관의 강좌에 참여한다면 시지각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차세대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도 청고년을 위한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미술관, 박물관 프로그램 개발은 계속되어야 한다.;In the ever changing and complex international trends, it is our national necessity to improve the visual potential of our youth which has long been stereotyped by the establishment of our art education. Our art curricula in the school fall to play their concrete roles due to the poor educational circumstances, though recently many teachers recognize art education in terms of the aesthetical, sensual education and curricula have been mod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have the purposes of art education of developing the ability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students and of improving their creativity and emotionality. For such purposes, however, museums and/or art galleries where the youth can experience culture and art by themselves are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art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y problem in art education, to reveal the role and necessity of museums/art galleries for th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ir proper academic programs for the youth. To do so, the present situation of art appreciation training provided by teachers of middle school in Incheon is examined and art academic programs by the National Museum, the National Gallery, and the Art Center are review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literatures are examined, and classes are visited. Questionnaires are made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about art appreciation training in schools and the roles, in any, of museums for the training and distributed to 63 teachers who were deliberatedly selected in 53 schools recorded in the Annual Report on the Incheon's Education Statistics published by the Incheon Education Committee in 1992. The questionnaires are analyzed in percentage. The findings are in short as follows: 1. Whil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resses the importance of aesthetic, sensual education through appreciation, the classes in schools are discovered not to be performed as stressed, because they do not have efficient tools for teaching and teachers also feel difficulty in their classes. 2. Most respondents report that the major purpose of appreciation training is an interest and amusement of seeing, experiencing art objects and the proper means for the appreciation class are museums, art galleries, and VTR. It is also pointed that most of museums of galleries are located far away from schools and right appreciation of art objects cannot be expected without right teaching of experts concerned. 3. From the point of complementary view for the art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s, most of arts programs provided by the National Museum, the National Gallery, and the Art Center have contents for the adult so that they are insufficient to meet their aesthetic needs and expand their knowledge. To solve such problems,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made: First, the number of educational tools should be increased and teachers should be trained over times. Industrial arts, calligraphy, or a r t history, which is not the speciality of teachers, is recommended for the objects of training. For the time of lecture, either weekday or weekend is recommended: in addition, a moving museum where authors or public places in districts can be selected for the lecture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eachers in local areas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visiting time of students to museums shall be adjusted to be in the afternoon of Saturday or a t their C.A period by arranging the regular schedule in schools, since museums have art pieces collected from all parts of the world, to say nothing of our own country, being a place where you can develop your knowledge for the world. Third, VTR tapes should be produced to be used as tools for the students to listen and view in the class. It is also suggested that our traditional objects shall be produced by a museum and the western arts in modern and recent times by the National Art Gallery for schools. Four, the production of special programs for the youth are required and the programs should be as follows: ①They should be in long terms. ②They should emphasize the appreciation which cannot be learned sufficiently in class and compensate for calligraphy or industrial arts in practise. ③ For the youth in country to be participate in the program after school, a moving museum should be established to invite local authors and to lease a public place. Its lecture time is recommended to be set after 5 P.M. during weekday or in the afternoon of Saturday. ④ They can play their social role as education institutes when students visit them during the C.A. time by arranging the regular time schedule in school. ⑤ It may be safely suggested that to develop visual and sensual capability, a student of an outstanding artistic turn shall participate in various arts programs provided by experts or special organization, not in private art institute to enter a special objective high school. Finally, programs by museums and art galleries as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positively for the sound improvement of art education in coming gener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내용 = 3 D. 연구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미술교욱의 필요성 = 5 B. 미술을 통한 청소년의 발달 = 7 C.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 = 10 E. 미술 박물관의 정의와 기능 및 역사 = 20 Ⅲ.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 실태 = 27 A. 질문지 분석 = 27 B. 질문지 분석 결과 = 48 Ⅳ. 미술관 강좌 프로그램 조사 = 50 A. 국립중앙학물관 (1994년도 18기 박물관 특설강좌) = 50 B. 예술의 전당 미술아카데미 (1994년) = 53 C. 국립현대미술관 (1994년도 미술강좌 프로그램) = 61 D. 강좌 프로그램 분석 = 66 Ⅴ. 결론 = 70 참고문헌 = 74 부록 = 76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95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미술교육-
dc.subject미술관-
dc.subject인천-
dc.subject중등학교 과정-
dc.title美術敎育에서 美術館의 役割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仁川市 中等學校 課程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ole of an Art View in Art Education : Especially for the Junior High School in Inche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