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사랑의 개념에 대한 시각 표현 연구

Title
사랑의 개념에 대한 시각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for Experiecing the Over Flowing Love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사랑개념시각 표현Visual Express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람들에게 사랑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때 우리는 사랑에 대한 편협된 생각을 가지고 있음 깨닫는다. 그것은 사랑을 에로스라는 극히 부분적인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는 자신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관계를 맺는다는 것, 이것은 서로 협력하고 이웃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협력의 근본은 서로를 아끼고 중요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고 이것을 사랑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랑은 자신의 회생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사랑의 의미가 에로스로 축소되어 이해되는 현대사회에서의 아가페는 경건한 바람이나 유토피아적 상태로 남아 있을 뿐이다. 사랑의 결핍은 젊은이들의 위기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고 젊은이들의 위기란 인류의 위기를 확대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파생되어지는 사랑의 결핍은 더 나아가 맹목적인 사랑에 대한 개념으로 오도될 수 있고, 또한 과잉보호와 소유욕을 낳기도 한다. 그러므로 긍정적이고 건강한 사람의 환경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우선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하고 새로운 신비의 공간인 사랑으로 인도 하기위한 목적으로 사랑하는 관계 즉, 사랑하는 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느낌에 대한 표현연구를 그 내용으로 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사랑으로인해 인간은 보다 풍요로운 삶의 환경을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하였다. 제 1장은 연구의 목적과 그 내용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아우구스티노의 사랑에 대한 그들의 철학을 언급했다. 이들의 고전에는 사랑의 삼각(에로스, 필리아, 아가페)에 대한 서로의 연관성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그들의 작업이 연구자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제 3장은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의 저자인 마광수의 사랑론과,'살며 사랑하며 배우며'의 저자인 레오 버스카글리아, '빙점'의 저자인 미우라 아야꼬의 사랑론을 비교하여 사전적의미의 사랑이 그들의 삶과 문학작품에서 어떠한 고리로 연결되어 표현되었는지를 도출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제 4장에서도 연결되어 화가들의 생활과 그들의 사랑을 토대로 한 작업들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알아 보았다. 제 5장에서는 선행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하여 나의 시각언어를 표현, 분석함으로써 사랑하는 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사랑의 조형작업을 시도하였다.;When we ask a question, "What is love?" to the people, we understand that they have the narrow-minded view about love. It is because we can discover ourselves who are approaching love with extremely partial concept which is Eros. That human being form relation, this means that they lead a life, cooperating and neighboring mutually. The basis of this cooperation starts from that they value and take a serious view of each other, and maybe this may be expressed a s love. This love involves his(or her) own sacrifice. Thus, Agape in the modern society that the meaning of love is understood by being reduced to Erose remains only a s pous desire of in Utopian state. The lack of love is one of important factors about the crisis of youths, and the crisis of youths is what enlarged and reflected the crisis of mankind. the lack of love to derive from this modern society may be misled to the concept about blind love. In addition, it brings about overprotectiveness and a desire to possess. So the environment of affirmative and sound love is the priority countermeasur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society. Thus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made the relation to love for the purpose of leading to the love which is the sound and new space of mystery, that is, the expression study about the feeling to be obtained from the inside of life to love as the contents. In addition, this researcher suggested the hope that human being may have more abundant life environment by the affirmative love. In the chapter 1, the goa1,contents and method of study were described. In the chapter 2, the philosophy about love of Platon, Aristoteles and Augustinus was mentioned. Because the mutual relevancy about the sence of love (Erose, Philia, and Agape) is being described concretely in the classics of these, and because their work had very great influence on the researcher. In the chapter 3, by comparing the love theory of Ma, Kwang So0 who is an author of "I like showy woman" and the love theory of Leo Buscaglia who is an author of "Leading a life, loving and learning" and Miura Ayako who is an author of " Freezing Point", this researcher tried to deduce as to with which link the love of dictionary meaning is connected and expressed in their life and literary work. This work linked in the chapter 4 also. So this researcher examine as to with which form the life of artists and the work based on their love appear. In the chapter 5 , this researcher tried the modeling work of love to be obtained from the inside of life to love, by expressing and analyzing my visual language on the basis of the preceded theoretical backgr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