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아파트 주방 색채계획에 관한 제안

Title
아파트 주방 색채계획에 관한 제안
Other Titles
(A) Proposal on Color Plan for Apartment Kitchen
Authors
시영주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제품디자인전공
Keywords
아파트주방색채중산층 아파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현대사회에서 아파트 주방은 점차 주거의 중심공간으로 되어가고 있으며, 그 역할도 다양해져 주방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져감에 따라 주방색채에 대한 관심도는 물론 주방색채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 더욱 높아져가고 있다. 더우기 20~25살의 예비주부들은 잠재적인 시장규모가 크고 이들에 대한 주방색채 선호도에 의한 기능성과 심미성이 더욱 고려된 주방색채 계획의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주방색채가 중요성을 더해가는 반면, 아파트 주방의 현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기능성과 심미성이 더욱 고려된 색채계획이 요구되는 실정이라고 하겠다. 2. 이러한 필요성을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다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주방의 개념과 색채의 심리효과, 색채의 조화, 주방의 이상적인 색채계획에 대해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20대 아파트 주방의 선호도 현황조사를 통해 색채의 3속성상태, 배색상태, 색채의 기능적 사용실태, 그리고 실내 타공간과의 조화도를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의 결과, 색상이 단조롭고, 명도와 채도도 기준치보다 높거나 낮아 작업시에 피로감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배색상태에서는 주방의 배경을 구성하는 천정, 바닥 등의 요소와 주방가구, 주방기기와의 색채조화를 고려하지 않아 연계성이 부족했으며, 색채가 점유한 면적 상호의 균형도 고려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또한 주방과 타 공간과의 색채조화를 알아본 결과 거실, 식당공간과의 연계성을 가지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3. 이러한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하여 Ⅳ장에서는 주방색채계획의 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4. 생활수준의 향상과 생활양식의 개성화추세에 따라 주방색채에 대한 관심과 색채가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안락한 주방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색채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In modern society, as apartment kitchen becomes the center of a house and its role varies, people spend more time in kitchen; therefore, the concern for kitchen color and the effect of it to the users increase more and more. But while the importance of kitchen color increases, the reality of the apartment kitchen doesn't follow it; so the color plan regarding function and beauty is need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this study examines in theory the concept of kitche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 for the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of kitchen and harmony of color, and ideal color planning of kitchen with the literatures. So, with the survey of 20 apartment kitchens, I tried to analyze 3 attribute conditions of color, coloring condition, functional using condition of color and the harmony with other spaces inside.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proved that the hue had been so simple and that the value and the chroma of the color had been so higher or lower than standard as to result fatigue. Because in the arrangement of colors the harmony of them in such places as ceiling and floor by which the backgrounds of kitchen are made and in receipt drawer and cookeries is not considered, the connections of their colors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in many cases the relative balances of dimension painted(occupied) with some colors aye ignored. The research about the harmony of colors in kitchens and other rooms like dining room reveals that there is little connection in their colors. Therefore,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color plan for kitchen, focusing at the problems appeared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ve. Keeping in steps with the progress of standard living and the endency of individualized living style, it is expected that the nterests about the color in kitchens and their influences will be revalent so that the consistent study of coloring to organize comfortable rooms in kitchens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제품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