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2 Download: 0

유아의 성항존성 이해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성항존성 이해에 관한 연구
Authors
조혜성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아성항존성교육학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라 유아가 머리 모양이나 옷 모양이 바뀌어도 남녀의 성별을 보존할 수 있는가와 이러한 성별 보존은 남녀를 구별하는 생식기의 차이 때문이라는 명확한 지식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성항존성 개념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성항존성 개념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성항존성 개념은 유아의 생식기 지식과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유치원과 탁아소에 다니는 4세, 5세, 6세 유아들로서 남아 30명, 여아 30명 총 60명이다. 측정도구는 Bem (1989)이 고안한 도구를 기초로 해서 다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x^(2)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성별 보존 능력은 연령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1). 즉 4세 유아의 40%, 5세 유아의 75%, 6세 유아의 90%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별 보존능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의 성별 보존 능력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자신의 성과 동일한 성애 대한 성별 보존이 많았으며 (78.3%), 남아, 여아, 양성 모두에 대한 성별 보존의 경우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68.3%) 3. 유아의 성별 보존 능력은 생식기 지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유아의 생식기 지식을 측정하는 하위검사 4가지를 모두 통과한 51명의 유아중 38명 (74.5%)은 성별 보존 검사도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기 지식 검사를 모두 통과하고도 11명 (22%)의 유아가 성별보존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식기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도 못하면서 3명의 유아가 성별 보존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세, 5세, 6세 유아의 85%가 생식기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servation of sexes by children according to different age through a constant observa- tion of children's hair style and clothing of changes and their sex conservation related with specific knowledge that the genitalia constitute the definition of attributing male and female sexes. To obta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questions had been studied. 1. Do the gender constancy understanding has any difference by children's ages? 2. Do the gender constancy understanding has any difference by children's different sexes? 3. Do the gender constancy understanding has any difference by children's genital knowledg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0 boys and 30 girls whose age ranges were 4-6 years old from The Day Care Center and the kindergarte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tools applied for such study were modified based on the tools originally designed by Bem (1989). And the study was made of its frequency per 100% in calculation and verified through x^(2) verifica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The ability of sex conservation by kindergarten children of their ag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ited in P<.01 level, for instance 40% of 4 years old children, 75% of 5 years old children and 90% of 6 years old children and so on, as the ability changed as its ages had grew older. 2. The ability of sex conservation by kindergarten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ited between different sexes. However, the ability in recognizing his or her own sexes and its alikeness were most high (78.3%), while both boys and girls in total cases were lower (68.3%).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05 level; sex conservation understanding in kindergarten children by its ages related with genital knowledge. And those 51 children who passed all four of the genital knowledge sub-tests, 38 children (74.5%) also passed the conservation test as acceptable: But the 11 children did not passed the sex conservation test, though they have passed genital knowledge sub-tests. of genitalia, passed the sex conservation test, while 85% of 4, 5 and 6 years old children were learning the knowledges of genitalia. In contrast 3 children who didn't even had a knowled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