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순-
dc.creator김경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1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27-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1차대전 이전의 급진주의적 시기였던 시민혁명기, 재즈시대, 대공황기와 같은 '신화적시대'로 변모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후기현대무용(Post-modern dance)의 형성배경과 전개과정에 관하여 알아보고 후기 현대무용을 구성하는 표현요소가 무용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예술전반에 나타나는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과 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에로의 움직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제도예술(制度藝術)'에 대한 우상파괴적 공격성을 내포한다. 유럽의 역사적 아방가르드(avant-garde)의 목표는 부르조아적 제도예술 및 그것이 지닌 자율성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거나, 그것에 근거한 예술적 모형으로 변화시키기 보다는 훼손시키고 공격하며 변혁시키는데에 있었다. 20C 중엽에 들어오면서 예술의 근본적인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거의 한계점에 도달한 현대예술은 위기를 맞이하였고 변화와 분리의 다양성을 가지고 새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런 역사적 상황에서 탈 모던(脫 modern)이념의 후기현대 무용의 출현은 필연적이었다. Ⅲ장에서는 후기현대무용의 개념과 특징들을 표현요소의 특성에 따라 분류해 볼 수 있는 무용가의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후기현대무용 형성의 기반을 마련한 얼원 니콜라이(Alwin Nikolais)와 머스커닝햄(Merce Cunningham)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 이후 후기현대무용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저드슨 교회극단(Judson church Group)에 관하여 살펴보고 그 후에 등장한 포스트 모던(post-modern) 안무가들의 활동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후기현대무용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인 표현의 요소는 형식과 실험과 관객의 자유부여에 있다. 즉 행위 자체내에서 발레나 현대무용의 미학과 패턴을 무시하고 관객의 자유로운 상상력과 해석의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것을 종합해 볼때 각기구성, 표현방법, 스타일, 언어등의 사용방식 및 공연에 기여하는 매체들의 사용방식이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하면서 후기현대무용의 확산과 정착에 기여하는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The essence of every arts is to express the thought and feeling in the space by sharing one's joys and sorrows with body and by outforming suitable exercises which isproper to aesthetic law. The most surprising character of new art is the man's liberation from literal and circumferencial ego. Artist has not any need of it's modification, enlargement, reduction or removing to express his subject or to expose inner material through limited scene. Moreover the subject medium which demands for mobilization of relation of active scene was become free. In this study, by looking out the dance's movement toward post-modernism which is developing with the times change aspect of music, play and art which are the post-modernism appearing in the whole arts, the appearance of post-modern dance could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mixing other arts too excessively with dance, the distinction between dance and avantgrade arts which is done at the other arts was become vague and the spectator became difficult to make correct estimation. In the expropriation of post-modern dance which is the trend of foreign origin, correct placement cannot be made only with the borrowing of phenomenal outward appearance or non-meditational accommodation of an ideology. Post modern dance can be accommodated as our's only when the understanding of their principal axis course in the movement or formalization course and one's own intuitional grasp of circumstance are accompanied b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포트 모더니즘 (post -modernism) = 3 A. 예술전반에 나타나는 포스트 모더니즘 = 6 B. 무용의 포스트 모더니즘에로의 움직임 = 14 Ⅲ. 후기현대무용 (Post -Modern Dance)의 특성 = 17 A. 후기현대무용의 개념 = 17 B. 후기현대무용을 구성하는 표현요소의 특성 = 20 C. 후기현대무용의 시기적 분류와 그 대표적 인물의 특징적인 표현요소와의 관계 = 34 Ⅳ.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57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현대무용-
dc.subjectpost-modern dance-
dc.subject표현요소-
dc.title후기현대무용 표현요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EXPERSSION ELEMENTS IN POST-MODERN DANCE : Post-modern danc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