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평균대 앞으로 몸펴 공중 돌기(aerial walkover forward)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Title
평균대 앞으로 몸펴 공중 돌기(aerial walkover forward)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Other Titles
(A) Kinematic analysis of the movement of aerial walkover forward on the balance beam
Authors
이혜옥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평균대공중돌기운동체육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평균대 경기에서 실시되는 앞으로 몸펴 공중돌기(aerial walkover forward) 동작을 운동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선수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으며 훈련시 기초자료로 이용할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동작은 16mm 고속카메라를 이용 100frame/sec 로 촬영하였으며 동작 분석기를 사용하여 현상된 필름에 대하여 운동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1단계를 살펴보면 보폭이 길면 길수록 상체가 앞으로 밀리는 힘을 막는데 있어서 강하게 나타난 S_(1)의 동작이 우수하며 준비자세때 왼발을 들었다가 내리면서 상체를 빨리 숙인 S_(1)의 동작이 이상적으로 나타났다. 2. 제2단계를 살펴보면 숙인 상체는 그대로 있고 오른발은 반지름을 빠르고 크게 하면서 실시한 S_(1)동작이 이상적으로 나타났다. 3. 제3단계를 살펴보면 S_(2)는 공중회전시 회전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허리각도를 작게 실시하지 못한 반면 S_(1)은 회전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작을 실시하였다. 4. 제4단계는 착지자세를 말하는데 무릎각도가 크게 나타날수록 이상적인 동작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무릎각도가 적으면 무릎이 많이 꺽인 상태이기 때문에 착지자세에서도 S_(1)의 동작이 이상적으로 나타났다.;Female players' movements of aerial walkover forward in the beam event were photographed in 100 frame/sec by means of a 16mm high-speed camera so as to be used as a basic matrial in training. Players' merits and demerits were grasped by making use of a movement analyzer, and the developed films were analyzed upon kinematic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observed the 1st phase, the body movement of subject, which can arrest the forward moment of inertia according to the smaller angle of the body, faster speed of the head and larger width of the walk, was considered as to be more superior to that of the subjects. 2. When observed the 2nd phase, the movement of S. appeared superior to that of S_(2), since S_(1) showed faster right- tiptoe speed and smaller bent angle while S_(2) showed slower speed and larger angle. 3. When observed the 3rd phase, S_(2) showed 89.2 degree of bent angle diminishing her velocity while S_(1) showed 60.4 degree of it. 4. When observed the angles at the moments of landing in the 4th phase, S_(2) showed the smaller degree of bent angle than that of S_(1), and, also in the knee-joint angle, the movement of S_(1) appeared superior to that of S_(2).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