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仁京-
dc.creator李仁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36-
dc.description.abstract朴生光 藝術이 한국 화단에서 차지하는 美術史的 비중은 彩色方法과 재료를 끊임없이 모색하고 우리민족의 정서가 담겨있는 작품을 창작하려 했던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민족정서에 바탕을 둔 탱화, 민화, 단청, 무속화의 소재와 독특한 화면 구성으로 뛰어난 평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료구사의 소홀함으로 물감층의 剝離가 일어나 작품 보존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려는 젊은 작가들에게 方法論的 제시를 하는 점에 硏究의 目的을 둔다. 硏究의 內容으로는 彩色畵의 歷史的 背景을 살펴보고 朴生光의 藝術世界를 간략하게 알아본후 독특한 彩色技法과 재료의 사용을 그의 작품을 예로 들어 分析하였다. 硏究의 方法으로는 문헌의 이론적 硏究를 바탕으로 신문과 잡지에 수록된 논문과 사진자료, 개인화집, 생전의 작품을 토대로 고찰하였으며 특히 면답법을 이용해 밀도 있는 작품分析을 도모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얻어진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彩色技法으로 꼴라쥬 기법, 흘리기 기법, 찍기 기법, 덧칠하기, 중색효과 기법, 혼색효과 기법 등 원하는 형상을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技法을 시도하였다. 둘째, 재료에 있어 값싼 안료의 사용으로 보존상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셋째, 물감층의 剝離가 일어나는 이유로는 ① 착색의 기본원리를 무시하고 彩色했기 때문이다. 즉, 처음에는 아교물을 약간 진하게 쓰고 점점 약하게 해야 물감층의 剝離를 예방할수 있다. ② 밑색칠의 부재와 ③ Poster colors의 사용으로 剝離가 더 가중 되었으며 ④ 얇은 중국 화선지 사용으로 물감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점이다. 朴生光 繪畵는 전통의 현대적 계승 및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재료구사의 소홀로 인한 결과는 우리 美術史에 커다란 아쉬움을 남긴다.;Specific gravity of Park saing kwang's art in art historic field is a attitude to work aesthetic sentiments of our nation through creative experiments, the search for the method of colouring and painting and materials. His fame is constructed a new world of color painting with intense colors and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he extracted the motives of his works from shamonic and fork fine-arts, a picture of many colours and designs, a Buddhist painting. But his painting work is take no heed of command the service of materials. This study discusses a problem of preserve a work of art and present a lesson to young korean painter excessively. Park saing kwang's art is a new fresh impact in korean art through intense colouring:., and at the same time he magnified the field of colour and painting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 historic process in colour and the art world of Park saing kwang. The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colouring and paintings and command the service of materials. How to make study is to considered the personal art pamplets, photography, a paper OR Park saing kwang,a newspaper, a work of art, specially the method of interview a special artist with colouring and materials. I reached a conclusion. First, in order to work the shape and form, Park saing kwang applied the collage, stamp and seal effect techniques, the spill effect techniques, a compound colour effect techniques, a double colour effect techniques, add two paint techniques. Second, in work of materials, the problem of preservation for use a cheap a colour pigment. Third, Deprivation and separation in a dyestuffs flight of stairs. 1. he coloured without the heed the principle of colour. First to work the glue a bit deeply and increasingly to work the glue weakly. 2 . a absence of colouring in below. 3. Because of the use of Poster colors, the deprivation and separation is aggravated. 4 . Because of the use of a thin Chinese drawing paper, unable to bear the weight of a dye. His achievement have a important meaning in side of keeping and development traditional ideas. Because he take no heed of command service of material, we have a feel huge the lac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ⅳ 表目次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 1 C. 硏究의 方法 = 2 Ⅱ. 理論的 背景 = 3 A. 彩色書의 歷吏的 考察 = 3 B. 朴生光의 藝術世界 = 12 Ⅲ. 朴生光繪書의 彩色技法과 材料分析 = 23 A. 彩色技法 = 23 B. 材料 分析 = 34 Ⅵ. 結論 = 44 圖版目錄 = 46 圖版 = 49 參考文獻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676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박생광-
dc.subject회서-
dc.subject색채기법-
dc.subject재료연구-
dc.title朴生光 繪書의 色彩技法과 材料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THOD OF COLOURING AND PAINTING AND MATERIAL IN PARK SAING KWANG'S ART WORLD-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