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珉耿-
dc.creator李珉耿-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9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9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kinship concepts among several variables such as age, sex, family structure, and families contact frequency. The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ecognizing kinship terms according to the naming of each kinship?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ecognizing kinship terms according to the age, sex, family structure, arid families contact frequenc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according to the age, sex, family structure, and families' contact frequency ?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according to the age, sex, family structure, and families' contact frequency ? The subject for this study contains 160 children : 4 to 5 years old in preschools located in DaeJean, KmJe, Seoul, YeaSu city, and 6 to 7 years old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im Je, Kwang Ju city. And 160 mothers of the study subjects. Two kinds of tests for each kinship terms and families' contact were used. And the interview and questionaire developed by Havdand and Clark were modified by the researcher: Also for the Conservation and Multiple The Thinking Game on kinship roles by Edward and Ramsey modifi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Data were computed by SPSS computer programs, one-way ANOVA analysis, T tesrt, and correlation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gnition of kinship terms wer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kinship naming. 2. Cognition of kinship terms (1) congnition of kinship terms were incresed with age, (2) congnition of kinship terms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 to sex, (3) congnition of kinship term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structure, (4) congnition of kinship tern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ies contact frequency. 3.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1)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were incresed with age, (2)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wer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3)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4) conservation of kinship concepts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ies contact frequency. 4.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1)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were incresed with age, (2)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wer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3)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4) multiple of kinship concepts were not any difference according families' contact frequency.;본 연구는 4-7세 아동의 친척개념의 발달상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이들 개념 발달은 연령. 성별. 가족형태, 친척간 상호 접촉빈도에 다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항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각 친척마다 차이가 있는가? 2.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아동의 연령. 성별. 가족형태. 친척간 상호 접촉빈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친척개념에 대한 항상성은 아동의 언령. 성별. 가족형대. 친척간 상호 접촉빈도에 따라 차이가 았는가? 4. 친척개념에 대한 동시성은 아동의 연령. 성별. 가족형대. 친척간 상호 접촉빈도에 따랄 차이가 있는가? 연구는 4-7세 아동으로서 총 160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친척호칭. 항상성 및 동시성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어미니 160명을 대상으로 친척상호간 접촉빈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친척호칭 및 친척상호간 접촉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Haviland 와 Clark의 면접내용 및 설문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항상성 및 동시성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Edwards와 Ramesey가 사용한 친척역할에 관한 사고게임 면접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와 본 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연령별 인지 차이를 알았기 위하여 one way ANOVA로 산출하였으며 가족형태와 성별차에 관하여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친척간 상호 접촉빈도와 친척명인지. 항상성. 동시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상관계수(r)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각 친척마다 차이가 있었다. 2.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 가.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나.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다.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가족형태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라.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는 친척상호간 접촉빈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3. 친척개념에 대한 항상성 인지정도 가. 항상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나. 항상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 항상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라. 항상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친척상호간 접촉빈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4. 친척개념에 대한 동시성 인지정도 가. 동시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나. 동시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 동시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가족형태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라. 동시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친척상호간 접촉빈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아동의 개념 발달 = 5 B. 친척관계의 일반적 특성 = 8 C. 친척개념의 발달 = 11 D. 선행연구 = 17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의 대상 = 23 B. 연구의 도구 및 방법 = 24 C. 연구의 절차 = 27 D. 자료의 처리 = 28 Ⅳ. 결과 및 해석 = 29 A. 각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의 차이 = 29 B. 연령, 성별, 가족형태에 따른 친척명 인지 정도의 차이 = 30 C. 연령, 성별, 가족형태에 따른 항상성 인지 정도의 차이 = 32 D. 연령, 성별, 가족형태에 따른 동시성 인지정도의 차이 = 34 E. 친척간 상호접촉 빈도와 친척호칭, 항상성 및 동시성 인지 점수와의 상관관계 = 36 Ⅴ. 논의 및 결론 = 38 1. 각 친척호칭에 대한 인지정도의 차이 = 38 2. 연령에 따른 친척명, 항상성, 동시성 인지와의 관계 = 38 3. 성별에 따른 친척명, 항상성, 동시성 인지와의 관계 = 39 4. 가족형태와 친척호칭, 항상성, 동시성 인지와의 관계 = 39 5. 친척간 상호접촉빈도와 친척호칭, 항상성, 동시성 인지와의 관계 = 39 참고문헌 = 41 부록 = 44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03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친척개념-
dc.subjectKinship-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아동의 친척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inship concepts from 4 to 7 years old childr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