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인숙-
dc.creator이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4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4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교육환경과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치원의 교육환경과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교육환경의 수준은 어떠한가? 2.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의 교육환경과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부산시내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15학급 및 교사 24명과 사립유치원 15학급 및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치원 교육환경 평가를 위한 관찰은 3주 동안 유치원 교육활동 시간에 이루어졌다. 교사의 근무조건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유치원 방문시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였다. 관찰대상으로 선정된 유치원의 교육환경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별 및 하위영역별로 평점점수의 평균, 표준편차, 범위, 최소치 및 최대치를 산출했으며, 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spss-x program으로 처리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반응수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공립유치원 교사 및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유치원의 교육환경과 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환경이 좋은 상집단 교사의 설문지와 교육환경이 좋지 못한 하집단 교사의 설문지를 spss-x program으로 처리했으며, 연구문제에 따라서 반응수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차이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에서의 교육환경은 척도 전체에서 평균점수가 126.93으로 최고점수인 252점의 50.3%에 있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7개 하위영역 중 언어·개념학습 활동영역(56.6%)이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고, 교사·부모환경영역(36.8%)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의 교육환경은 척도 전체에서 평균점수가 156.93으로 최고점수인 252점의 62.2%수준에 있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대·소 근육운동 활동영역(67.4%)이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고 교사·부모환경영역(51.6%)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간의 교육환경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사립유치원의 환경이 공립유치원의 환경보다 5%수준에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로서 즐거운 일에 대하여,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사로서 즐거운 일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로서 즐겁지 않은 일에 대하여, 공립유치원 교사는 '원장의 행정방식 및 교육관', 사립유치원 교사는 '국가의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이라고 응답했다.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교사로서 즐겁지 않은 일에 대한 인식에는 '후생·복지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 '좋은 교육에 필요한 여건조성이 되지 않는 것', '유치원 교육내용에 대한 학부모들과의 갈등', '많은 잡무', '국가의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의 5개 하위항목에서 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라는 직업에 있어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하여, 공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업에 활용 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 사립유치원 교사는 '교사 : 아동의 비율'과 '유치원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라고 응답했다.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업에 있어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로서 부담되고 문제시 되는 일에 대하여, 공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행사준비'와 '시범수업 대비', 사립유치원 교사는 '시범수업대비'와 '유치원 행사준비'라고 응답했다.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교사의 부담되고 문제시 되는 일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만족도에 있어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는 자신들의 직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업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장래 계획에 있어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교사는 현재 유치원에서 계속 근무 할 것을 계획하고 있었다. 출·퇴근 시간에 있어서, 공립유치원 교사는 오전9시에 출근하여 오후5시 (월~금), 오후 1시 (토)에 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립유치원 교사는 오전9시전에 출근하여 오후5시(월~금), 오후1시(토)이후에 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보수 및 보너스에 있어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절반이 30만원 이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 %이하의 보너스를 받는 교사는 공립유치원에는 없으나 사립유치원의 경우에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교육환경과 교사로서 즐거운 일 사이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환경과 교사로서 즐겁지 않은 일에는 '좋은 교육에 필요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는 것'과 '국가의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의 두 하위항목에서 5%수준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으나 나머지 하위항목에서는 교육환경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환경과 교사라는 직업의 개선점에 있어서 '2년제 대학 졸업교사와 4년제 대학 졸업교사와의 질적 차별이 요구된다'라는 하위항목에서 5 %수준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으나 나머지하위항목에 있어서는 교육환경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환경과 교사로서 부담되고 문제시 되는 일, 직업만족도, 직업에 대한 장래계획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working condi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fin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working conditions. For this study three questions we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2. How are the teacher's perception of working conditions i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3. Is there any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working conditions ?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fteen classrooms and twenty four teachers in the public kindergartens and fifteen classrooms and thirty teachers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Harms & Clifford's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corrected by Lim Jae-Taek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ublic kindergartens was superior to that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five percents. 2. What the most please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showed. About what the least please teachers,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responded principals' administrative styles and educational views and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answered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of the na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bout five subarea of benefit dissatisfaction. inadequate physical environment for better education, disagreement with parents about education content, irregular overworks and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of the nation were showed in five percents. As ways of improving job,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toward kindergartens teachers and private kindergartens answered reducing the ratio of children to teacher.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 showed. As problematic workloads to teacher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responded anual events at a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answered the demonstrative educational implementa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 showed. Job satisfaction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showed high and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 showed. As a future career pla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planned to stay present kindergartens. Concerning benefits and salaries,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had better conditions than those of private kindergartens.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hat the most please teacher, problematic workloads to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future career plan showed no import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hat the least please teacher, specially two subarea of inadequate physical environment for better education and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of the nation has any importance in five perc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ays of improving job, specially a subarea of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college-graduated teachers from university-graduated teachers showed importance in five perc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교육환경의 개념 및 중요성 = 5 B. 교사의 역할과 근무조건 = 7 C. 선행 연구 = 10 Ⅲ. 연구 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연구 도구 = 16 C. 연구 절차 = 17 D. 자료처리 = 18 Ⅳ. 결과 및 해석 = 19 Ⅴ. 논의 및 결론 = 40 A. 요약 및 논의 = 40 B. 결론 = 45 참고문헌 = 46 부록 = 50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697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교육환경-
dc.subject유치원교사-
dc.subject근무조건-
dc.title유치원 교육환경과 유치원교사의 근무조건에 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S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WORKING CONDITIONS IN A KINDERGART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