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禹秀庚-
dc.creator禹秀庚-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10-
dc.description.abstract교육과정은 국가와 사회의 시대적인 요구에 의해서 변화되어 왔으며, 지구과학 교육과정이 실시되어 온지도 35여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55년에 제정·공포된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1988년에 개정된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단위시간배당, 교육목표, 지도내용 그리고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바람직한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유익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구과학의 단위시간은 4단위에서 10단위로 각 과정별로 변화하여 왔으나 기초과학교육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볼때 지구과학의 내용을 학습하기엔 시간수가 절대로 부족하다. 2. 교육목표는 미래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목표의 제시와 함께 교과중심교육과정, 생활중심교육과정, 학문중심교육과정에서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화하였다. 3. 지구과학의 지도내용은 ESCP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지식의 체계화를 이루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내용을 다루었으며, 최근에 와서 '환경과 자원'등을 신설 환경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4.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은 제2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삽입되어 지구과학의 개념체계와 과학적 탐구과정을 강조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제시하고 있으나 표현이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것이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개정시에는 많은 기초연구작업을 거쳐 교육목표와 내용 그리고 지도, 증가상의 유의점들이 서로 일관성을 가지고 유지되도록 하며 지구과학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수업시간이 배당되어야 할 것이다.;The Earth Science curriculum was established and promulgated in 1955. It is thirty five years since it was executed. Just as the curriculum has been changed by the need of a nation and a society,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was revised from the first period to the fifth period in 1963, 1973, 1981 and 1988. The aims i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s of theoritical backgrounds, unit hours, objectives, contents, and attentivenes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e other is to suggest the desirable future Earth Science curriculum. The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he unit hours of Earth Science have ranged between 4 unit hours and 10 unit hours, but are so lacking for learning for learning the contents in Earth Science that we can't reinforce the fundamental scientific education. 2. The Earth Science objectives were diversified so as to manage the needs of future society. As education philosophy was changed from subject centered to experience centered curriculum and then from experience centered to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and then from discipline centered to human centered curriculum, the objectives were changed, too. 3. The Earth Science instruction contents were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ESCP curriculum and contained synthetic contents. Recentl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Environment and resources" and so on. 4. Attentivenes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were inserted since the second period curriculum, and have emphasized conceptual system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but the expression is abstract. Conclusively, we must not only maintain the consistency among the education objectiveness, the contents, and the attentivenes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but also allot sufficient unit hours so that the Earth Science education may get effe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 2 C. 硏究의 方法 및 節次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敎育課題 = 5 B. 地球科學의 學問的 特性과 構造 = 7 C. 地球科學 敎育課程의 目標와 內容 = 10 Ⅲ. 地球科學 敎育課程 變遷過程 = 13 A. 第一次 敎育課程 時代 = 14 B. 第二次 敎育課程 時代 = 15 C. 第三次 敎育課程 時代 = 16 D. 第四次 敎育課程 時代 = 17 E. 第五次 敎育課程 時代 = 18 Ⅳ. 韓國 高等學校 地球科學 敎育課程의 變遷에 대한 分析 = 21 A. 單位時間 配當 比較 分析 = 21 B. 敎育目標 比較 分析 = 27 C. 指導內容 比較 分析 = 30 D. 指導 및 評價上의 留意点 比較 分析 = 40 Ⅴ. 結論 = 45 A. 要約 및 結論 = 45 B. 제언 (提言) = 46 參考文獻 = 47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13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지구과학-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한국-
dc.title韓國 高等學校 地球科學 敎育課程 變遷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of High School in Korea-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