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承喜-
dc.creator鄭承喜-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7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5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1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its primary aim the systematiz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purposes for performing 'Halmi Madang(ground for old lady)' which is commonly in existing folk plays through the perpendicular, horizontal comparisons and analysis based on the farming consciousness and Shamanism of the Korean people. This extents, ultimately to explain the consciousness of arrangement and the roles of appeasing the negative imotions(Sal) in grounds(Madang) of folk plays. The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is subject originated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The performances of the folk plays are formed on New Year's Eve or turning points of each seasonal division when the hope for birth which ar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nce again with respect to the time are full and people expect the genuine, strong energies which are purified. Therefore most of the grounds seek to remove disasters and to ask fortunes in harmonious relations after making plays which are reversed from the negative relations of village folks. But old lady's grounds show absolutely different contents, that is the accumulation of the negative imotions(Sal) because these ground perform the sufferings and death of old lady.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involving meanings and representative aspects according to the strong wish for performing the whole folk plays and the differences of its contents. In chapter Ⅱ, the search for the archetype is attempted in order to explain the contained meanings and revealed structures of old lady's grounds. The archetype is explored from the myth and 'Gud(ritual)' on the basis of the ritualistic origin of this study. In the myth, namely the verbal ritual, it can be extracted that the structure which is 'original separation - the sacred marriage of Father Heaven and Mother Nature - reseparation as hidden gods'. In chaostic universe which brings about the fears of condition of nothing, the meeting of Father Heaven and Mother Nature makes the ideal cosmos through the birth of their son. In Gud, Father Heaven and Mother Nature who create the cosmos of life and living represent the protecting gods of villages. These god and goddess are in the beginning of creating universe once more, with the sexual behavior and reunion. Therefore villages are purified and return to the rich and harmonious world of faithful fortunes. In chapter Ⅲ, it is clarified that old lady's grounds constitute the three-stage-structure which is 'separation - meeting - reseparation'. Old lady separates from old man(her husband) because of the loss of the sacredness as Mother Nature. But she does'nt admit her involuntary qualities, and wishes the reunion with old man to conform productive capacity as Nature Goddess. However miserably degraded existing situation of old lady expedites her strong wish for conforming own productive capacity to proving her barrenness. Eventually Mother Nature's degenerated sacredness goes so far as to be forced its renewal. The rebirth of Mother Nature's capacity is possible only through breaking away from the paralysed existing condition. Emerging from the existing condition Is for recovering the perfection of the beginning and the death of old lady. Naturally old lady and old man come to the aspect of reseparation. The loss of Mother Nature's sacredness causes exhaution, old lady's existing condition like this means just the reality of villages. Old lady's death represents the future when 'the negative condition(Aik)' is removed and the renewal of sacredness represents the recovery of paradise. In this chapter,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renewal of sacredness, it is explained that seven types of aspects and direction of its variation first type : She displays Mother Nature's power. - single life. (Hahoi, Kasan) second type : She renews her power of her own accord. (Ⅰ) -suicide (Yangju, Songpa) third type : She renews Mother Nature's power according to her husband - being killed because of son's death. (Donglai, Suyeong) fourth type : She renews her power according to her husband. (Ⅱ) - being killed because of her sensuality. (Bongsan) fifth type : She renews her power according to husband's concubine. (Ⅰ) - being killed by concubine because of revealling concubine's false image. (Eunyul) sixth type : She renews her power by husband's concubine. (Ⅱ) -being killed by concubine for the death of concubine's son seventh type : She renews her power for herself. (Ⅱ) - leaving her home (Kanglyeong, Kkogdukagsi) Among these direction of variation in old lady's grounds, the type which has more Mother nature's features is considered older than other types and the more exhaustive destruction is considered the older than other. Therefore it is clarified that the first type is older than the seventh type. Each types aims at the revival of Mother Goddess and represents the sufferings and death of old lady which ate correspond with the perfect creation through the absolute destruction. Therefore old lady's resentment is satis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Nature Goddess and human is recovered, so their time and place are purified. The contained meaning of old lady's grounds make clear purposes of formation in the folk plays. These purposes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purification of grounds is performed, secondl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higher classes is satisfied, lastly the relation with the protecting god, namely, Nature Golddess is recovered. For these reason, the structure of old lady's grounds has cause and effect because the delight of all negative imotions(Sal)'s solution and feeling of liberation are presented as enthusiasm. Namely, the incantational power of ritual(Gud)is transfigured to the solution power of the folk plays. Therefore the ritual achieves the phenomenal solution of conflicts, but on the other side plays achieves transcendental solution.;본 연구는 현존 민속극 모두에 존재하는 "할미마당"을 농경의식과 무속적 사고에 기초하여 수직적, 수평적으로 비교, 분석하므로 체계화하고, 연희의도를 밝히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은 나아가 민속극 마당들의 "배치의식"과 "煞풀이 劇" 으로의 역할을 해명하는 데까지 이르게 된다. 주제에 대한 관심과 고찰은 다음과 같은 의문에서 기인된 것이다. 민속극의 연희는 제야나 세시, 파종기나 수확기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시초에서부터 다시 한번 출발 하고자 하는 우주적 시간 관념이 내포된 시기로서, 정화된 순수하고 강력한 에너지를 소망하는 때이다. 때문에 여타 마당들은 액을 야기시킨 부락민 간의 부정적 관계의 실제 양상을 顚倒된 상황의 劇놀이로 模擬하여 煞을 풀고 조화로운 관계를 조성 除災招福을 도모한다. 그러나 할미마당은 할미의 "수난"과 "죽음"을 연희하므로 오히려 煞이 끼어가는 상황 전재로 여타의 마당들과는 전혀 꿰를 달리하는 부적합한 내용을 보인다. 이러한 민속극 전체의 연희의지와 할미마당의 연희내용의 相馳性으로부터 할미마당의 내포적 의미의 존재를 확실하며 그 의미와 표출양상을 고찰하려는 시도였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제의 기원론의 입장을 취하여 언어적 제의인 신화와 행위적 제의인 굿으로부터 할미마당의 외연적 구조와 내포적 의식의 원형을 탐색하였다. 신화에서는 "天父와 地母의 원초적 분리-천부와 지모의 聖婚-우주 질서의 주관자인 子의 탄생(천부와 지모는 감추어진 神으로 재분리)"의 구조를 보인다. 無化의 공포를 야기 시키는 혼돈의 우주 안에서 두 신의 만남은 아들을 출생시킴으로 이상적인 코스모스의 세계를 탄생시켰다. 이처럼 생명과 삶의 코스모스를 창출시킨 천부와 지모는 굿에서는 각각 부락의 수호신으로 표상된다. 부락수호신인 男神과 女神은 그들이 연 코스모스의 세계가 닮아져 凶과 厄이 끼게 되면 희망감으로 충만했던 그 코스모스의 탄생을 동침과 재회로 模擬한다. 그러면 현상태는 근원으로 데려가져 우주 창조의 출발에 다시 선다. 드디어 부락은 정화되고 始原의 풍요롭고 조화로운 至福의 세계로 회귀한다. Ⅲ장에서는 앞서 밝혀진 신화와 굿의 "분리-만남-재분리" 의 삼단계 구조에 이어지는 할미마당의 "분리-만남(재회)-재분리(영별)"의 의미가 밝혀진다. 코스모스가 닳아져 가듯 地母神性이 극도로 상실된 할미는 고갈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는 惡神으로 전락한 자신의 불수성으로 인하여 영감과 헤어졌으나 이를 인정치 않고 지모적 산출력을 확인하고자 재회를 꿈꾸게 된다. 그러나 비참하게 전락된 할미의 존재상황은 "대지모적 생생력의 실현을 오히려 불모성의 증명으로 진행시킨다." 결국 악화된 할미의 지모신성은 갱신이 강요되기에 이른다. 할미의 지모력 부활은 不隨化된 현존재의 탈피로써만이 가능하다. 이 시초의 완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현상태의 파국은 할미의 죽음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할미와 영감은 재분리의 국면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지모신성의 상실로 고갈을 야기시키는 할미의 현 존재상황은 바로 부락의 현실이며, 할미의 죽음은 부락의 액이 소멸됨을 표상하며, 할미의 神性 갱신은 부락의 낙원회복을 암시한다. 본장에서는 이러한 할미마당 연희의 요체인 할미의 죽음을 양상에 따라 일곱 형태로 분류하고 그들 간 변이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제 1유형 : 지모력 과시-독신("하회", "가산") 제 2유형 : 自意에 의한 지모력 갱신(Ⅰ)-자살("양주", "송과") 제 3유형 . 영감에 의한 지모력 갱신(Ⅰ)-死子로 살해("동래", "수영") 제 4유형 : 영감에 의한 지모력 갱신(Ⅱ)-好男으로 살해("봉산") 제 5유형 : 첩에 의한 지모력 갱신(Ⅰ)-첩의 무의미성 노출로 살해("은율") 제 6유형 : 첩에 의한 지모력 갱신(Ⅱ)-첩의 兒의 사망으로 살해("통영", "고성") 제 7유형 : 自意에 의한 지모력 갱신(Ⅱ)-가출("가령", "꼭두각시") 변이의 방향성은 할미에게서 지모적 면모가 상대적으로 좀더 보여지는 경우가 古型이 되며, 구세계의 파괴가 철저하면 철저할수록 古型이라고 보았는데 1유형이 7유형보다 古型임을 알 수 있었다. 제 유형의 할미마당들은 神母의 부활을 지향하여 절대적 파괴에 의한 완전한 창조에 대응되는 할미의 수난과 죽음을 재현한다. 그러므로 할미(地母神)의 限은 풀리고, 민중과의 관계가 회복되므로 그들의 시·공은 정화되고 부활한 地母神의 작용으로 至福의 상태를 맞이하게 된다. 할미마당의 내포적 의미가 밝혀지므로 민속극 마당의 구성의도 또한 해명될 수 있었다. 그것은 우선 "마당의 정화를 연희한-다음 민중과 부정적 관계에 놓인 上位階級과의 살이 해소되고-최종적으로 부락의 수호신인 지신과의 관계가 회복되므로 드디어 모든 액은 걷히고 기쁨과 해방감이 뒤풀이의 신명으로 표출되는 인과성 있는 구성임이 밝혀졌다. 즉 굿의 주술력은 극놀이의 "풀이성"을 만들어 내었으며 따라서 굿은 갈등의 현실적 해결을 이루고 극은 갈등의 초월적 해소로 만족시킴이 밝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연구사 및 문제의 제기 = 1 B. 연구방법 및 자료의 검토 = 6 Ⅱ. 할미마당의 원형구조 탐색 : 수직적 연계성 추론 = 10 A. 신화의 부활제의적 구조 = 10 1. 天·地神의 結合 및 子의 神位交替祭儀 = 11 2. 妻·妾의 競遂祭儀 = 17 B. 부부화해굿의 유감주술적 구조 = 22 1. 男·女神의 結合祭儀 = 23 2. 妻·妾의 競遂祭儀 = 24 3. 子의 神位交替祭儀 = 27 Ⅲ. 「할미마당」의 살풀이적 구조 및 의미고찰 : 수평적 비교 분석 = 29 A. 할미마당의 전개양상 = 29 B. 할미마당의 구조분석 = 34 1. 분리(이별) :厄의 조성 = 34 2. 결합(재회) : 厄의 증폭 = 42 3. 재분리 (영별) : 厄의 해소 = 50 C. 할미마당의 구조의 특성 및 변이의 방향성 = 53 1. 구조의 특성 = 53 2. 유형분류 = 55 3. 변이의 방향성 = 58 D. 연희의 기능과 의의 = 62 1. 할미마당 : 만남과 분리의 변증법 = 62 2. 민속극 마당 배열의 원리 = 64 Ⅳ. 결론 = 64 참고문헌 = 77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49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민속극-
dc.subject할미마당-
dc.subjectKorean Folk Plays-
dc.title한국민속극, 「할미마당」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Old Ladies' Character in Korean Folk Play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