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수-
dc.creator박경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85-
dc.description.abstractMarketing strategy today tends towards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rket specialization. Among concrete way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value-adding tactics such as creating corporate and brand images are increasingly emphasized. Such methods as creating brand image are regarded as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y stimulate the consumer desires to buy the brand products and clearly differenti ate them from others. Especially in fashion industry, the brand image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 quality, which furth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various efforts at enhancing the brand images Into one, that is, the Brand Identity Program( BIP ). As a method of product differentiation, the design to standardize sale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BIP through value-adding symbols and meanings is needed also In under-clothing shops which have thus far emphasized functional practicality of their goods. Enhancing the qualitative value in the sales environment is designed to satisfy consumer demand, facilitate convenient cues for purchas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ofit maximization through increased sales. Research design here on standardizing sales environ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Ⅰ. This thesis systematizes its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ology within the basic context of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and limits its research scope to it. Ⅱ. In order to extrac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industry, this thesis survey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dustry. As the underclothing industry which has emphasized, above all, functional practicality gets fashionized, it increasingly needs product differentiation based on value-added symbolism and messages, wherewith lie the relevanc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Ⅲ. This thesis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a standard design for sale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BIP which is a method for product differentiation and conveys a coherent image. 1) In defining the BIP, this thesis examines its relationship to the Corporate Identity (Cl), its broadened concept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BIP on the corporate level as a way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 names. 2) This thesis provides standards for the design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determining factors based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Socio-cultural approach is adopted to analyze the purchasing psychology and life-styles of consumers and to suggest a creative marketing strategy including product positioning that conforms to the market structure. ‥ Communication theories are brought to bear on the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 Physical environment perspective is introduc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and between goods and sp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hesis suggests a sales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convenient consumer purchase. ‥ This thesis suggests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sales environment through the visual order of balance and harmony and porvides the basis lot conveying messages through a silent dialogue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at is, an appropriate Information system. ‥ By carefull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ting factors and consumer response, and the strategy of brand positioning consistent with the market specialization, this thesis approaches specifically the standardizing methods according to the BIP and suggests a successful design that can integrate consumer demads. Ⅳ.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under-clothing Industry and its sales outlet, this thesis takes out problems in the aspec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shopfloor environment. Ⅴ. Based on th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design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industry, this thesis constructs all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andard design for sales environment and suggests standard coordinates for a rational design by the type. 1) In order to construct a standard design based on the BIP,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nsumer preferences, conditions of loc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and bases shop management and sales strategy on these factors. It suggests a sales environment and sales strategy on these factors. It suggests a sales environment of qualitative value which can provide consumers with purchasing convenience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2) The standard design suggested here provides an organic space planning which introduces open and convertible space, and which possesses a variety of changes in order and unity. The design also attempts to develop a coherent image of the sales environment by standardizing long-term dosing and factor planning, and provide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ales environment and customers. In sum, this thesis suggests various design proposals by the type.;오늘날 마케팅 전략으로 제품 차별화 전략, 시장세분화 전략을 들 수 있는데, 여기에 제품 차별화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 창조와 같은 부가가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같은 브랜드 이미지 창조는 소비자에게 구매욕구를 자극시키고, 아울러 시장경쟁에 있어서 명확한 차별화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패션산업의 경우 브랜드가 지니고 있는 좋은 이미지는 바로 좋은 상품으로 직결되므로, BIP(BRAND INDNTITY PROGRAM) 즉, 브랜드 이미지 통일화 작업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실용성만을 강조하던 내의류 매장환경에 있어서도 상징성, 의미성과 같은 부가가치에 의한 차별화방법으로서 BIP에 의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질적 가치를 지닌 판매환경은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고, 구매 편리를 도모하면서, 궁극적으로 기업측에 판매증진을 통한 이윤극대화를 이루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Ⅰ. 본 연구는 인간-환경관계라는 기본틀안에서 그에 적합한 연구목적과 방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Ⅱ. 패션산업의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개념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았고, 특히 실용성만을 강조하던 내의류산업의 패션화에 따라 상징성, 의미성과 같은 부가가치를 지닌 차별화가 요구된다는 연구의 정당성, 필연성을 제시하였다. Ⅲ. 이러한 차별화 방법으로서의 통일된 이미지 전달을 위한 BIP에 의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1) BIP의 정의를 위해 보다 확대된 개념의 CI와 관계성을 살펴보므로서, 기업의 차원에서 타브랜드와의 차별화 방법으로서 BIP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2)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의 기준이 되는 결정요인들을 다 학제적인 접근방법(INTER-DISCIPLINARY APROACH)으로 분석, 체계화 하므로써, 디자인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구매심리와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므로서, 시장구조 파악, 제품 포지셔닝등 생산적인 마케팅 계획을 제시하였다. ○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계를 연결시켜주는 수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분석하였다. ○ 물리적 환경측면에서, 인간과 공간, 상품과 공간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므로서, 고객의 구매편의를 위한 판매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 균형과 조화를 이룬 시각적 질서를 통해 환경체계의 질적 가치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환경과 인간과의 무언의 대화, 즉 적절한 정보체계를 통한 의미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마케팅 요인과 소비자 반응과의 관계, 시장세분화에 따른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을 살펴 보므로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이 되도록 하였다. Ⅳ. 내의류 산업현황, 내의류 매장의 현황을 소비자 측면, 매장 환경측면에서 분석, 종합하여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Ⅴ.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현황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의 개념적 틀을 정립하고, 합리적인 디자인의 기준적 좌표를 타입별로 제시하였다. 1) 소비자 요구가 충족된 BIP에 의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자 특성, 입지환경, 상품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매장의 경영및 판매전략을 세우므로서, 소비자에게 구매편의 제공과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 질적 가치를 지닌 판매환경이 되도록 하였다. 2) 개방성, 가변성을 지닌 기능적 공간할애를 시도하여 질서와 통일속에서 다양한 변화를 지닌 유기적 공간계획을 하였고, BIP에 의한 집기 디자인의 표준화, 요소계획의 표준화를 계획하여 판매환경의 통일된 이미지를 전개하므로서 판매환경과 고객상호간에 시각적 의미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타입별로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범위 = 2 1.3. 연구 방법 = 3 2. 패션 산업과 내의류 산업 = 4 2.1. 패션산업의 개념 = 4 2.2. 패션산업의 발전과정 = 5 2.3. 패션 의류산업의 분류 = 7 2.4. 내의류 산업의 패션화 = 8 3. BIP와 판매환경 표준화 = 9 3.1. BIP의 정의 = 9 3.2. BIP에 의한 판매환경 표준화 = 13 4. 내의류 매장환경의 현황 분석 = 42 4.1. 내의류 산업의 현황 = 42 4.2. 내의류 매장 현황 및 문제점 = 44 5. 내의류 매장환경 표준화 계획 및 디자인 = 58 5.1. 계획의 기준 및 기본방향 = 58 5.2. 계획의 전제조건 = 60 6. 결론 = 90 참고문헌 = 92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330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패션산업-
dc.subject마케팅 전략-
dc.subject판매환경-
dc.subject표준화 디자인-
dc.subject내의류매장-
dc.title패션산업 마케팅 전략으로서 판매환경 표준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IP에 의한 내의류매장 환경표준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to Standardize Sales Environment as the Marketing Strategy in Fashion Industry : Especially on the Design to Standardize Sales Environment in the under-Clothing Shops according to the Brand Identity Program(BI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