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정명-
dc.creator윤정명-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90-
dc.description.abstractChildhood is a decisive period on the formation of one's moral character. Especially in childhood one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home environment, and a religious background of the family is the primary factor o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religious atmosphere in the home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al levels and parents, occupation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rality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moral behaviors examin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moral judgment were at-so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welve stories depicted assistantly by drawings were composed by using three domains of moralities proposed at Piaget's experiment. those are, mistake, stealing, lie and Hobble's morality measure classified to four situation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s were the 117 children of religious families and 87 children of unreligious families in the kindergartens located I-Ri City. Telling these twelve stories to each child, grades from 1 to 4 on the judgements of the Reformers were marked. And the grades became the bases for the evaluations of children's moral judgment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rasp the interrelations between children's mo rarity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s and occupations, 53 children were selected randomly and committed to their moral behaviors on the six morality domains, i.e., discipline, regulation, law observance, stealing, lie, promise. According to these evaluations, children's moral behaviors were compared with their moral judgments The results obtained by thes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 1. At the judgments on the moral behaviors of children of the religious families and unreligious families, the levels on the intentions of performers showed little differences. 2. At the domain of mistakes of children of the religious families and unreligious families, the levels on the intentions of performers showed little differences. 3. At the domain of stealings of children of the religious families and unreligious families, the levels on the intentions of performers showed little differences. 4. At the domain of lies of the children of the religious families and unreligious families, the levels on the intensities of performers showed little differences. 5. At the judgments on the moral behavior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s and occupations,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s and the more professional the occupations, the tendancy of attaching importances to the intentions at the domain of stealings and lies appeared. 6. At the relation between the moral judgments and moral behaviors of kindergarten children evaluated by kindergarten teacher, discipline, regulation, law observance showed agreements with moral behavior. However stealing lie, promise did not show agreements with moral behavio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 though the moral judgement is recognized to children(especially in the period of kindergarten), the religious influence of families did not make a thesis which the religion will influence to the morality of children.;유아기는 도덕적 품성 형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유아기는 다른 어느 시기보다 가정환경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으며 가정의 종교적 배경(유무)은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환경의 종교적 분위기가 어린이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유치원 어린이의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 어린이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유치원 어린이의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 어린이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유치원 교사가 평가한 도덕적 행위와 어린이 스스로의 도덕적 판단과의 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Piaget의 실험에서 제시된 도덕성 영역 즉 과실, 훔치기, 거짓말등의 3개 영역과 Hebble의 4개 사태로 구분된 도덕성 척도를 사용하여 12개의 그림을 곁들인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리 시내 3개 유치원의 종교가정 어린이 117명, 비종교가정 어린이 87명이었다. 이들 각 어린이에게 12개의 이야기를 하나씩 들려주고 그 행위자에 대한 판단을 1-4점까지 점수화하여 Hebble의 의도성 지수로 산출, 어린이의 도덕적 판단을 평정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한편 어린이의 도덕성과 부모의 학력 및 직업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대상 어린이를 무작위 표집하여 53명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53명에 대해 해당 유치원 교사에게 어린이의 도덕적 행위를 평정하게 하여 교사가 평정한 어린이의 도덕적 행위와 어린이 스스로의 도덕적 판단력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교가정 어린이와 비종교가정 어린이 간에 도덕적 행위에 대한 판단을 함에 있어서 행위자의 의도를 고려하는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부모의 학력과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일수록 훔치기, 거짓말 영역에서 의도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어린이의 도덕적 판단력과 유치원 교사가 평가한 어린이의 도덕적 행위와의 관계에 있어서 질서, 규칙, 준법성 영역에서는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위의 일치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훔치기, 거짓말, 약속등은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어린이(특히 유치원시기)의 도덕적 판단력은, 가정의 종교적 영향과 관계없이 어린이에게 인지되고 있음을 알수있다. 그러나 종교적 영향력이 어린이의 도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명제를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교육적으로 볼 때 어린이의 가정에서 종교적 영향력은 도덕적 판단력에 크게 작용하지 않지만 도덕적 행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유치원 교사가 평가한 도덕적 행위에서 예견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도먹성의 기본 개념 = 4 B. 도덕성과 아동 = 7 C. 도덕성과 종교 = 12 Ⅲ. 연구 방법 = 15 A. 조사 대상자 = 15 B. 조사 도구 = 16 C. 자료 수집 = 18 D. 자료 처리 및 통계적 분석 = 1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0 Ⅴ. 요약 및 논의 = 30 A. 요약 = 30 B. 논의 = 31 참고문헌 = 34 ABSTRACT = 37 부록1. 종교 비종교가정 분류 질문지 = 40 부록2. 어린이의 도덕적 판단에 대한 면접용 질문내용과 그림 = 41 부록3. 도덕판단 반응치의 첵크지 = 47 부록4. 교사가 본 어린이의 도덕적 행위에 관한 질문지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68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dc.subject유치원 어린이-
dc.subject도덕적 판단력-
dc.subject종교가정-
dc.subject비종교가정-
dc.title유치원 어린이의 도덕적 판단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종교가정, 비종교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indergarten Children's Moral Judgment-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