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흥-
dc.contributor.author유연숙-
dc.creator유연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rough an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t secretarial departments in 5 junior colleg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areas. A total of 453 samples were adopt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alibration, t-test, F-test,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actors that students experience once or several times repeatedly in their everyday life were the major criteria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educational service. Among SERVQUAL factors, tangi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and assurance to the professor were proved to have an effect on their service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more students want to receive their education under an 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 It also implies that students feel they receive a high quality educational service, when they have careful individual attention and supervision. Second,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hows that the students' active execution of vocation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as much affected by their psychological factors. This indicates that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as well as the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ith priority, though students were much affected by interpersonal qualities. Third, it shows that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proportion with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service, students tend to participate in the work-related exploration activities positively. It means that they can have more chances to get more efficient information from the events provided by the college. This is because they have clear objectives and expectations. Fourth, it also shows that students'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as affected by their grade levels and working experiences. The satisfaction of the freshmen was higher than that of sophomor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had job experiences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t seems that freshmen tend to recognize the positive side of college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ir relatively short, two-months, college life.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job experiences, they tend to view their college life more positively because they are more anxious to learn in colleg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being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First, the study samples need to include students in other departments besides secretarial department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findings. Second, the study samples of freshmen need be obtained after they have gone through at least six months of campus life. In this study they had only two month college experience that they could not have enough time to assess the college's educational service and job exploration activities subjectively. Third, in order to secure various needs of college students, it is required to analyze students who enter college with a definite idea in their future jobs, by their graduating high schools, gender and majors. It is also needed to find out the ratio of accordance between the students majors and actual working fields after graduation. Fourth, the variables such as foreign language study, preparation for licenses and grade management,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job search,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study. These variables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students' job search and preparation activities. They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 비서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학생만족과 진로탐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 수도권, 및 지방에 소재한 5개 전문대학 비서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53명의 자료를 연구의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연구문제의 성격에 따라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신뢰성검정, t검정, F검정,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거의 매일 또는 수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경험을 하게 되는 요인들이 학생들의 교육서비스 만족에 있어 주요한 기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RVQUAL요인으로 분류된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 중 유형성, 대응성, 교수에 대한 신임성과 감응성이 서비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교육이라도 교육에 적합한 환경에서 제공받기를 원하는 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교육서비스는 다른 어떤 서비스보다도 학생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관리가 있어야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생들이 보다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진로탐색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학생들의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대인적 품질(interpersonal quality)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과 학생들의 심리적인 요인에 우선권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교육서비스 만족도가 진로탐색활동에 긍정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클수록 학교생활에 충실하여 학교에서 제공 가능한 진로탐색활동에 참여하게 되고, 여러 가지 행사에 참여할 경우에도 목적이나 기대를 가지고 수행하게 되므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학년간의 차이와 직장경험의 유무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 간에는 1학년의 만족도가 2학년에 비해 더 높았으며, 직장경험이 있는 학생의 교육서비스 만족도가 직장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1학년 학생들은 입학 후 대학생활의 경험이 2개월 밖에 안 되어 학교의 행정과 교육활동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함에 있어서 장점을 먼저 인지하게 되기 때문으로, 또 직장경험이 있는 학생의 경우는 사회생활을 통해 학교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기 때문에 학교생활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표본의 학과구성에 있어서 비서학과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직업탐색활동에 대한 남녀학생간의 차이와 학과별 차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진행여건상 설문조사가 5월에 실시되어 1학년 학생의 경우 대학생이 된 이후 학교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진로탐색활동에 참여할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입학 후 최소 6개월은 지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입학 시 진로결정을 하고 입학하는 학생들의 학교ㆍ남녀학생ㆍ학과 간의 구성비율차이 등의 분석과 졸업 시 전공과 실제 취업분야와의 일치정도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연구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진로탐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변수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어학공부, 자격증 시험 준비, 학점관리 등 앞으로의 진로나 취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사항들을 진로탐색활동의 범위에 포함 시키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진로탐색활동 뿐 아니라 구직활동이나 취업의 준비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서비스품질 = 5 1.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 5 2. 서비스품질의 개념 = 9 3. 서비스품질의 측정 = 10 4. SERVQUAL 모델에서의 서비스품질 Gap = 16 5. 교육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 19 B. 고객만족 = 22 1. 고객만족의 개념과 특성 = 22 2. 고객만족의 측정 = 23 C. 진로탐색활동 = 24 1. 진로탐색활동의 개념과 특성 = 24 2. 진로탐색활동의 측정 = 27 D. 선행연구 = 30 1.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초기의 교육서비스연구 = 30 2. 교육서비스와 고객(학생)만족연구 = 30 3. 진로탐색활동연구 = 31 III. 연구방법 및 가설 = 33 A. 연구대상 = 33 B. 연구절차 = 34 C.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 36 D.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38 1. 교육서비스 품질 = 38 2. 고객만족 = 39 3. 진로탐색활동 = 40 E. 질문서 구성 및 자료의 분석방법 = 41 1. 질문서의 구성 및 내용 = 41 2. 자료의 분석방법 = 43 IV. 연구결과 = 45 A. 측정도구의 배포 및 수집 = 45 B.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 46 C.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 48 1. 신뢰성검정 = 48 2. 타당성검정 = 50 D. 분석결과 = 54 1. 측정도구의 기술통계량 = 54 2.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55 3. 교육서비스 품질이 참여에 의한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 = 60 4. 교육서비스 만족도가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 = 62 5.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 만족도 차이 = 64 V. 결론 = 66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결론 = 66 B.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 70 참고문헌 = 72 부록<설문지>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8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title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과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Focused on Secretarial Departments in Junior College-
dc.creator.othernameYoo, Yeon-Sook-
dc.format.pageviii, 8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비서정보학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비서정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