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타카스카요코-
dc.creator타카스카요코-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간언어적 관점에서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화 대화의 종결부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전화 대화를 수집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KK)과 일본어 모어 화자 집단(JJ), 그리고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JK)의 전화 대화를 대조분석해 세 집단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일본어권 한국어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담화완성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를 실시해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일본어권 한국어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 각 집단의 전화 대화 종결부 전략 선택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고 지금까지의 한국어, 일본어 전화 대화 종결부와 중간언어 전화 대화 종결부와 관련된 연구를 살피고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이룬 중간언어 연구와 대화분석 중 전화 대화의 종결부를 검토한 연구와 종결부의 구조, 종결의 방법, 종결부에서의 전략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먼저 실험 1을 검토하였는데 실제 전화 대화분석인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실험 2는 담화완성테스트인 추가 실험으로 실험 1과 2 각각의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로 전화 대화 종결부의 구조 분석, 전화 대화 종결부의 대화 교환 차례 수 분석, 전화 대화 종결부에서의 사용 전략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추가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대해 각 집단별 선택 전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전화 대화의 종결부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향과 비슷했으나 간혹 일본어 모어 화자에게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도 나타나, 중간언어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전화를 끊을 시기 맞추기를 어려워하여 종결부의 길이가 길어졌고, 한국어 모어 화자가 구사하는 전략 활용도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수준이 낮아질수록 모국어인 일본어의 표현을 그대로 치환하여 사용하려는 중간언어적 특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교육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전화 대화 종결부의 구조 및 사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전화 종결부의 전략 분류 기준을 새로 마련하여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화 종결부 구조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었다. 또한 담화완성테스트를 통해 일본어권 초급, 중급, 고급 단계의 학습자의 중간언어적 특징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앞으로도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중간언어적 연구가 필요하며 그러한 연구가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本論文は電話会話の終結部に焦点をあて、中間言語的観点から日本語話者韓国語学習者の言語使用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方法として、まず実際の電話会話を収集し、韓国語母語話者(KK)、日本語母語話者(JJ)、日本語話者韓国語学習者(JK)の電話会話を対象分析し、それぞれの特徴を明らかにした。つぎに談話完成テスト(Discourse Completion Test)を実施し韓国語母語話者、日本語話者韓国語初級、中級、上級の学習者の電話会話終結部においてのストラテジー選択の比較分析を行った。 本論文の構成は次のとおりである。Ⅰ章では、研究の必要性及び目的を明らかにし、これまでの韓国語及び日本語の電話会話終結部、中間言語の観点からの電話会話終結部に関する先行研究を検討し、本研究の研究仮説を提示した。 Ⅱ章では、本研究の理論的支えとなる中間言語研究と、会話分析での電話会話の終結部研究にあわせ、終結部の構造、終結の方法、終結部においてのストラテジーについて検討を行った。 Ⅲ章では、実験1として電話会話分析である予備実験と実験を、実験2として談話完成テストである附則実験、それぞれの電話会話、アンケートの収集方法、及び分析方法について述べた。 Ⅳ章では、電話会話分析実験を通して得られた結果を、電話会話終結部構造分析、電話会話終結部での会話交換数分析、使用ストラテジー頻度分析の3つの分析を行った。また、談話完成テスト実験結果を、各グループ別ストラテジー選択比較分析を行った。分析結果、日本語話者韓国語学習者と韓国語母語話者との電話終結部において、韓国語母語話者の特徴に近い傾向を見せたが、時折日本語母語話者特有の特徴的な構造も見られ、中間言語的特性を見せた。日本語話者韓国語学習者は、電話を切るタイミングをつかむのが難しく終結部が長くなり、韓国語母語話者が頻繁に使用するストラテジーの活用が、十分にできてい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学習者は韓国語のレベルが低くなるにつれ、母国語である日本語の表現を、そのまま韓国語に置き換えて使用しようとする、中間言語的傾向がより強く見られた。 Ⅴ章では、研究結果のまとめと本研究の問題点について述べ、それに併せて本研究結果を韓国語教育現場で活用できる電話会話終結部構造、及び使用ストラテジーを提示した。 本論文により、電話会話終結部のストラテジー分類基準を新しく組み立て直し、これまで明らかにされなかった韓国語の電話会話終結部の構造を明らかにし、また、談話完成テストを通し日本語話者韓国語初級、中級、上級の学習者の中間言語的特徴を明らかにしたことは、意味を見出せる結果が得られたといえる。今後も、このような韓国語教育のための中間言語的研究が必要であり、その研究が韓国語教育に役立てられる資料になるであろうことを期待する。;This paper, focusing its attention on the ending part of telephone call talks, examines how Japanese Korean Learners(JK) react and speak from Interlanguage viewpoint. For the research, real phone call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among Korean Native Speakers(KK), Japanese Korean Learner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JK) and Native Japanese Speakers(JJ), and then the research compared and contrasted the call talks and analyzed the traits of the three target groups. And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ere carried out by the target groups and the research studied the choice strategy at the ending part of the conversations among them.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the need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well as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ending part of call talks in Korean, Japanese and in Interlanguage and suggests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Chapter 2 examines Interlanguage theory which constitutes the logical foundation of this thesis and explores the other researches including the call talks’ ending part, the structure, the way and the strategy of the call talks’ ending part. Chapter 3 examines the first experiment, consisting of a main experiment and a preliminary experiment, which analyzes the actual call conversations. The second experiment, an additional Discourse Completion Test, describes the way of data collection and the analysis method necessary for the two experiments. Chater 4 analyzes the structure, the times of the talk exchanges and the frequency of the application strategy of the call talks’ ending part with the result through the experiments. And with the data through the additional experiment, the paper does an analysis of each group’s choice strateg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e talks between JK and KK are inclined to be similar to those of KK, but have JKs’ typical structures at times, which is Interlanguag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JK are a little hard to finish the call talks at a proper time that the ending part of the talk is prone to become longer and not able to use the strategy which KK do. The less fluently JK speak Korean, the more they speak Korean literally by replacing Japanese words with Korean ones, which is one of the Interlanguage traits.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th its imperfections. Also, it presents the structure and strategy of the ending part of call talks applicable to Korean education field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stated below. The research provides the new grouping strategy and structure of call talks’ ending part in Korean which have not been known. Through Discourse Completion Test, it shows the Interlanguag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terlanguage research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should be helpful for such an efficient Korean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Ⅱ. 이론적 배경 = 7 A. 중간언어 연구 = 7 B. 대화분석 중 전화 대화의 종결부 = 9 1.종결부의 구조 순서교대와 인접쌍 = 11 2. ‘전종결’의 방법 = 12 3. ‘종결’의 방법 = 13 4. 종결부에서의 전략 = 14 Ⅲ. 연구방법 = 16 A. 실험 1 : 예비 실험과 본 실험 = 16 1.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 16 2. 예비 실험 = 25 3. 본 실험 = 33 B. 실험 2 : 추가 실험 = 37 1. 실험 대상 = 37 2. 실험 방법 = 38 3. 분석 방법 = 38 Ⅳ. 연구 결과 = 39 A. 본 실험 = 39 1. 전화 대화 종결부의 구조 비교 = 39 2. 전화 대화 종결부의 대화 교환 차례 수 비교 = 42 3. 전화 대화 종결부에서의 사용 전략 빈도 비교 = 45 B. 추가 실험 = 50 1. 상황 1에서의 적절한 답 비교 = 51 2. 상황 1에서의 부적절한 답 비교 = 53 3. 상황 2에서의 적절한 답 비교 = 55 4. 상황 2에서의 부적절한 답 비교 = 57 5. 상황 3에서의 적절한 답 비교 = 60 6. 상황 3에서의 부적절한 답 비교 = 63 7. 상황 4에서의 적절한 답 비교 = 66 8. 상황 4에서의 부적절한 답 비교 = 68 9. 전략의 적절성 유무에 대한 집단 차이 = 70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7 부록 = 79 ABSTRACT = 91 日本語抄録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10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전화 대화 종결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韓国語学習者の電話会話終結部研究 : 日本語母語話者を対象に-
dc.creator.othernameTakasuka,Yoko-
dc.format.pagevii, 9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