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 개발

Title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 개발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K-COLT Observation Scheme
Authors
신효원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COLT (Korean Communicative Orientated Language Teaching) as a reliable and practical observation scheme that is essential to the systematic and objective observation of Korean as a second/foreign language (KSL/KFL) classrooms. Among many possible applications of K-COLT to KSL/KFL classroom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aims of the scheme were primarily focused on: (1) examination of the general aspects in the communicative orientated KSL/KFL classrooms, (2) comparison and observation of different KSL/KFL classrooms, and (3) training of both pre- and in-service KSL/KFL teachers. In this thesis, the COLT Observation Scheme, originally developed by Nina Spada and her colleagues in the mid-1980s in Canada and since actively utilized in second language classroom research, was modified and applied to better serve the purpose of classroom observation appropriate to KSL/KF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of verific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between observers. For the test of validity, the categories of COLT were first modifi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eneral and classroom research in particular. Secondly,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K-COLT to actual KSL/KFL classrooms, classroom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two university-affiliated KSL institutes in Seoul, which are reported to pursue the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e process of coding the theoretically developed K-COLT observation scheme, it was examined whether the observed actual classroom events could be coded into the newly implemented categories. The modified categories and classroom events were tested, compared, and analyzed 8 times by the researcher and the assistant researcher. Although completely new categories were not added, this procedure made it possible to provide clear definitions of the existing categories that were later included in the finalized categories. Thus the validity of K-COLT is confirmed through these two stages, i.e.,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observations of KSL classrooms. For the test of inter-rater reliability, it had to be proved that the observation scheme provides the same results independent of its users. In this thesis, two observers a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by coding the video-recorded classrooms and analyzing the transcribed data prepared in advance by the researcher. K-COLT turned out to be highly reliable, confirmed by over 90% agreement between observers. K-COLT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KSL/KFL classroom studies. For example, the coding results from K-COLT can enable its users (1)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KSL/KFL classes in terms of teacher’s input to students,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2) to quantify classroom events. This will result in finding out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Moreover, with K-COL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KSL/KFL classes can be identified and compared, which can be used in training both pre- and in-service teachers. It is hoped that more diverse and systematic KSL/KFL classroom research can be conducted in the future with wide and increasing use of K-COLT.;한국어 교육은 실제적이고 응용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교실 연구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 분야이다. 이러한 교실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교실 현상을 다각도로 살펴 봐야 하는데, 이때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분석의 틀, 즉 교실 관찰 도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현재까지 소수의 교실 연구만이 진행되었을 뿐 교실 관찰 도구에 대한 소개나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교실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를 개발하였다. K-COLT는 교실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일반적인 코딩 도구로 다양한 한국어 교실 연구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의 교실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고자 도구를 개발하였다. 첫째, 의사 소통 중심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둘째, 서로 다른 한국어 교실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기 위해, 셋째, 신임 교사 및 현직 경력 교사의 재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도구를 개발하였다. 관찰 도구는 교실 연구의 잣대가 되는 것이므로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는 반드시 검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게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단계로 나누어 K-COLT를 개발하였다. 먼저 타당성 검증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전 문헌 조사를 토대로 COLT의 기존 범주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실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것은 삭제하고 필요한 범주는 추가하였다. 이론적인 근거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에 포함되어야 할 충분한 논리적 근거를 갖춘 범주 역시 도구에 포함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K-COLT는 범주의 이론적인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K-COLT가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타당성을 갖고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단계에서는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을 지향하는 대학 기관 두 곳에서 K-COLT를 사용해 한국어 교실 관찰을 실시하였다. 교실 관찰을 통한 타당성 검증에는 연구자와 보조 연구원 총 두 명이 참여하였다. 도구가 타당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교실에서 발견된 사건이 도구의 범주에 모두 정확하게 코딩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론을 바탕으로 1차 완성된 교실 관찰 도구를 활용해 직접 코딩을 해 보고 실제로 관찰된 교실 사건이 도구 범주에 모두 코딩될 수 있는지 살펴 보았다. 연구자 2인은 총 8회에 거쳐 코딩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점검하였다. 또한 코딩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범주에 대해서는 범주의 정의와 각 범주에 해당하는 수업 내용 및 발화 유형을 재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범주가 추가되지 않았으나 기존 범주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내릴 수 있었고,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발화 유형이 확대 또는 추가되어 K-COLT 범주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이로써 K-COLT 범주의 타당성을 최종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K-COLT의 관찰자 간 신뢰도를 살펴 보았다. 관찰 도구는 사용자에 따라 결과가 다르면 믿고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누가 사용하더라도 유사한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자 2명과 연구자, 총 세 명이 참여하여 K-COLT의 관찰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자와 관찰자는 녹화한 교실의 수업 자료를 보면서 코딩을 한 후, 일치도 통계를 활용해 도구의 신뢰도를 살펴 보았다. Part A와 Part B의 관찰자 1과 관찰자 2, 연구자와 관찰자 1, 연구자와 관찰자 2 간의 일치도 통계 결과는 모두 .90 이상으로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인 K-COLT의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K-COLT는 다양한 한국어 교실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K-COLT를 활용해 한국어 수업의 성격 및 교실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 작용의 특징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연구의 잣대가 되는 관찰 도구 없이는 전반적인 교실 사건을 분석해 낼 수 없다. 그러나 이제 K-COLT의 개발로 한국어 교실의 특징을 추출해냄으로써 교실 사건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면밀히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K-COLT를 활용해 서로 다른 한국어 교실을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밝혀 내어 어떠한 수업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효과적인가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K-COLT는 신임 교사와 현직 경력 교사의 수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신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재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K-COLT는 한국어 교실 연구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K-COLT의 개발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실 연구가 활발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