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44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gender differences in medical utilization controlling for medical care needs, defined by self-rated health status and presence of acute and chronic diseases. It is generally known that women need and use more medical services than men. However, it is yet to investigate whether women use higher quantities and higher quality of medical care services than men, even when they have a same level of medical nee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which was perform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Health & Social Affairs in 2001. Analysis of medical needs and service utilization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6,778 people, aged 20 and above. Medical care utilization was measured by two variables, 'Medical care utilization ratio'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quantity'. 'Medical care utilization ratio' was the ratio of treated diseases to the number of diseases a person has. it institutes 3 different ratios, distinguished by level of medical services - 1) medical care utilization in any type of medical facilities including pharmacies and health centers, 2) doctor visits including dentists, Chinese medicine, and 3) use of tertiary hospitals. Medical care utilization quantity was measured by counting days of hospital treatment, number of using outpatient's service, and measuring each person's total medical expenditure. To compare medical care utilization between gender, Mann-White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to analyze independent variable not to satisfy normal distribution were conducted. In addition, T-test and ANOVA test for the other variables that satisfy normal distribution condition were conducted. Finally, OLS(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s were used to examine marginal effect of gender on medical care utilization,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Women had more medical care needs. They had more diseases and evaluated their health worse that men did. 2. Utilization ratios of all medical institutions and tertiary hospital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but that of visiting doctors was different by gender. Women had higher utilization ratio of visiting doctors than men and the ratio was changed by kinds of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3. 'Number of Untreated disease ratio' was a rate of diseases that did not received medical attention nor treatment. Women had higher untreated disease ratio than men. The main causes of untreated diseases were lack of cost and time. 4. Days of hospitalization and the number of doctor visit wer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Men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previous year on average spent longer days in hospital than women. But women used outpatient visited more than men. 5. In the regression results of utilization ratio, utilization ratios of visiting doctors and general hospitals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 and women were lower treated diseases ratios. In other words, women went less frequently to hospitals and used worse quality services compared to men when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and medical needs.;본 연구는 성별 의료이용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로서 남녀 간의 의료이용의 차이 및 남녀 내 사회경제학적 차이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료이용에 미치는 기타 사회 경제적 영향요인 및 건강행태의 영향을 통제한 후 성별의 차이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성별은 그 자체가 의료필요요인이자 의료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기존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에서 남녀의 차이에 초점이 춰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와 달리, 의료이용의 구성요인인 의료필요와 의료필요에 대한 의료이용률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의료필요는 발생된 전체질병뿐만 최근에 중요한 의료필요요인으로 나타난 ‘주관적 건강인지도’에 따른 의료이용을 살펴보았다. 의료이용은 의료이용률과 의료이용량으로 분류하였으며, 의료이용률은 질병의 수와는 관계없이 의료경험유무 0과 1로만 의료이용을 측정하였던 의료경험율과는 달리, 개인이 가진 전체 질병 중 치료받은 질병에 대한 비율로 측정하였다. 또한 의료이용률을 치료받은 의료기관의 종류를 전체의료기관, 약국과 약방을 제외한 병원 및 한의원, 3차 의료기관 및 종합병원으로 분류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질병치료율을 살펴봄으로서 남녀 간의 의료기관별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의료이용량은 연간입원일수, 2주간 외래방문횟수, 총 의료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1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01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 중 20세 이상의 성인 26,77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건강상태를 통제한 후 남녀 간의 의료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 남녀 내 사회경제학적 차이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 검정 및 정규분포의 가정을 충족시키지 못한 변수에 대해서는 Mann-Whiteney U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의료이용에 미치는 기타 사회 경제적 영향요인 및 건강행태의 영향을 통제한 후 성별의 차이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Andersen 예측모형의 요인을 이용하여 OLS(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료필요에 있어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질병을 제외한 전체 질병수와 주관적 건강인지도의 남녀 비교 결과, 여성의 평균 질병수가 남성보다 많으며 여성의 자신의 건강상태에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성보다 높아서 여성의 객관적 및 주관적 의료필요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 의료이용률 중 약국 및 기타 의료기관을 포함한 전체 의료기관의 이용률과 3차 의료기관 이용률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의사방문율에서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의료이용률의 차이는 질병의 종류와 주관적 건강인지도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3. 개인에게 발생한 전체 질병 중 약국이나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전혀 이용하지 않은 질병의 비율을 ‘미치료율’이라 한다. ‘증세경미’, ‘치료예정’, ‘불치병’ 등에 의한 미치료를 제외한 경우의 ‘미치료율’은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치료의 원인으로 ‘비용’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시간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의료이용량 중 연간입원기간은 남성이 여성보다 길었으며, 2주간 외래방문횟수는 여성의 외래방문횟수가 더 많았다. 총 의료비의 차이는 남녀 간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5. 의료이용률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에서 사회경제학적 변수 및 건강행태 요소를 통제하고 성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약국을 포함한 기타 의료기관의 이용률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병치료를 위해 직접 의사를 방문할 확률과 3차 의료기관이용률에 있어서 여성인 경우 남성보다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받는 의료기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료기관 중 의료서비스의 질이 좋은 고차원의 의료기관의 이용률이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는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자료는 연간 질병과 의료이용을 기억에 의존하여 조사하는 바, 기억의 편이나,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한 데이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성별 의료이용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남녀 간의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계절적인 요인도 남녀 동일하게 겪게 되므로 위의 요인으로 인한 오류는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공헌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기존의 연구에서 의료이용을 경험률이나 의료이용량으로 한정했던 것을 의료필요를 전부 반영할 수 있는 의료이용률로 의료이용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에 제시되지 않았던 미치료율과 미치료원인의 남녀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필요에 대해서 다른 연구보다 더 세분화하여 통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남녀 간의 의료필요가 동일한 경우에 실제 의료이용도 동일하게 하는 의료이용의 형평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Ⅱ. 의료이용의 형평성에 관련한 이론적 논의 6 1. 건강형평성 6 2. 의료필요와 의료이용의 형평성 10 3. 의료이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15 4. 성별 의료이용의 차이에 관한 연구 19 Ⅲ. 연구분석 22 1. 연구질문 22 2. 분석자료-「2001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23 3. 성별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틀 25 4. 분석방법 32 Ⅳ. 분석결과 34 1. 분석대상의 특성 34 2. 남녀의 의료이용의 형평성 36 3. 의료이용의 영향요인 57 4. 연구 결과 69 Ⅴ. 결론 78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적 제안 78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발전 방향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71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별 의료이용의 형평성과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Gender Equity for Medical Care Utilization-
dc.creator.othernameKIM, Hui-Jeong-
dc.format.pagevii, 9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