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종합전문 요양기관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조사연구

Title
종합전문 요양기관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조사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f role conflicts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n teritary hospital
Authors
이시내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epare and provide the basic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to facilitate nurses in charge of insurance evaluation to perform their tasks better by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the types and degrees of conflicts in their organiz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nurses working in charge of evaluating insurance cases at teritary hospital in the regions of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in South Korea. 108 of the nurses, who underst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learly and were allowed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ample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lasted from May 2, 2006 through June 18, 2006. The research tools include the “Role Conflict and Ambiguity Scale” developed by Rizzo, House, and Lirtzman(1970)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Yeong-cheol(1973). The data collected were computeri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analyses included areas of di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7.7 years old. 76.3% of them were married. 36.4% of them said they did not have any religion. The most common type of education they received was at the associate degree in nursing, which 41% of them attended. 2. The nurses had an experience of 8 years and 2 months on average. They had been working in their current jobs for 6 years and 9 months on average when this study took place. 46.2% of them belonged to the departments of administrative affairs. 64.2% of them were nurses (clerks) without appointment. The most common reason they cited for moving into the current jobs with which they were dealing when this study took place was the fact that they liked ‘the new sphere of nursing’(38.2% of them answered this way). A majority of them seemed to enjoy their jobs, as 52.6%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3. 88.4% of the nurses answered that they attend 5 training sessions or fewer a year regarding evaluation of insurance cases. 80.4% of them answered that they use the Internet for their sources. 88.4% of the nurses who participate in training sessions answered that they do so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the field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 Another 86.1% answered that they attend the training programs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education’. 50% of the nurses who do not attend the training sessions said they did not participate because they were ‘busy’. 4. Out of a scale from 1 to 5, 5 being the severest, the nurses scored 2.88 on average in terms of the severity of role conflicts they experience at workplace. Out of all types of conflicts in their jobs, the conflict caused when one nurse takes up two or more roles rated the highest at 3.50 points. Out of the types of conflicts caused by fulfilling the assigned roles rated at 3.20 points, ambiguity caused by reaction of one's action and contradiction of the result rated at 2.80 points, ambiguity caused by clearness of action's conditions rated at 2.80 points, conflicts caused by discordance of policy rated at 2.70 points, conflicts between personal opinions and role rated at 2.60 points. 5.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6. The role conflicts depending on working conditions of respondents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departments at which they were working(F=2.70, p=0.047), the reason of transference to insurance review department(F=2.98, p=0.021), the satisfaction rate of insurance review department(F=10.1, p<0.0001) 7. The severity of role conflicts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nurses received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hey attend (t=4.24, p=0.0001). Based on the findings outlined so far,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Nurses in charge of evaluating insurance cases showed the highest degrees of role conflicts when they performed their roles. Therefore, devices and tools that clarify types and contents of various roles and their divisions must be prepared. In addition,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a wider scale across the nation to identify the dangerous factors of role conflicts nurses in evaluating insurance cases experience; to apply interventions to those conflicts; and to subsequently compare and contrast the effects of those interventions. Moreover,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role conflicts caused by discrepancies in educational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in order to prepare and apply educative interventions to those conflicts in the future.;의료보험제도 도입 이후 의료이용의 증가와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요양기관에서는 진료비 삭감을 최대한 줄이고,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조직의 구성원이 상호 배타적인 여러 기대들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요구받을 때 이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할갈등은 개인의 내적 갈등을 초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간호사의 갈등은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호조직에서의 갈등해결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환자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간호사와 달리 진료비 심사 업무를 통한 간접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심사 간호사는 다른 양상의 역할갈등을 경험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를 파악하여 보다 나은 업무를 수행하도록 돕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충청 지역 소재 종합전문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보험심사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락한 173명을 임의 표본 추출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5월 2일부터 6월 18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Rizzo, House, & Lirtzman(1970)이 개발한 역할갈등과 모호성 도구(Role Conflict and Ambiguity Scale)로 김영철(1973)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37.7세이며, 결혼 상태는 기혼이 76.3%로 많았다. 종교는 무교가 36.4%, 최종학력은 ADN(Associate Degree in Nursing)이 41%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서 임상경력은 평균 8년 2개월, 현 부서의 근무경력은 6년 9개월이며, 소속부서는 행정부 소속이 46.2%로 가장 많았다. 현재 직위는 보직이 없는 간호사(사원)가 64.2%, 현 부서로의 이동 이유는 ‘간호사의 새로운 영역’이 38.2%로 가장 많았고, 만족도에 대해서는 52.6%가 ‘만족한다’로 대답하였다. 3. 대상자의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서 보험심사 관련 교육 참여횟수는 연 5회 이하가 88.4%이며, 보험심사 관련 정보를 구하는 방법으로 80.4%가 인터넷을 사용하였다. 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88.4%가 ‘보험심사 업무의 최신경향 파악’, 86.1%가 ‘교육을 통한 정보 습득’이라고 하였다.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대상자의 과반수가 ‘바빠서’라고 하였다. 4. 대상자의 역할갈등 정도는 최대평점 5점 만점에 평균 2.88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역할수행 시 생기는 갈등이 평균 3.50점으로 가장 높고, 역할수행 상황에서 오는 갈등이 평균 3.20점, 개인행동에 대한 반응이나 결과의 모순성에서 오는 모호성이 평균 2.80점, 행동조건의 명료성에서 오는 모호성 2.80점, 불일치한 정책으로 인한 갈등이 평균 2.70점, 개인의 내적기준과 역할사이에서의 갈등이 평균 2.60점 순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소속부서(F=2.70, p=0.047), 현재 직위(F=2.45, p<0.04), 현 부서로 이동 이유(F=2.98, p=0.021), 만족도(F=10.1, p<0.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대상자의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보험심사 관련 교육 참석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24, p<0.0001).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보험심사 간호사는 둘 이상의 역할수행 시 역할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실무에서 발생하는 여러 업무와 업무의 분담형태를 파악하여 이를 명확히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추후 전국적으로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한 반복 연구를 통하여 보험심사 간호사의 역할갈등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업무관련 지식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연구를 통하여 향후 역할갈등에 교육적 중재를 적용해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