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홍주은-
dc.creator홍주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16-
dc.description.abstract지역정신보건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재활의 기회는 더욱 다양하게 제공되어지고 있다. 일차적 간호제공자가 되는 가족은 정신장애인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대인관계를 넓히며 사회적 활동이 향상되는 재활을 이루는 데 있어서 누구보다도 중요하며 의미있는 존재이다. 특히, 가족 구성원들 중에서도 실제 주 보호책임을 지고 있는 부모는 정신장애인 자녀로 인해 다른 가족구성원들 보다 더욱 큰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할 뿐 아니라, 정신장애인 자녀에게 실질적 영향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S정신건강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험군 11명, 대조군 15명 총 26명) 실험군에게 2005년 3월 29일부터 2005년 5월 19일까지 주 1회씩, 1회 90∼100분으로 총 8회기 동안에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임영미와 안양희(2000)의 지식척도로 질병 지식을, Cohen과 Struening(1962)이 개발한 OMI(Opinion about Mental Illness)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측정했다. 그리고, Pai과 Kapur(1981)가 개발하고 손덕순(1997)이 수정보완한 부모의 부담감 척도, Green(1982)이 개발한 RSS(The Relatives' Stress Scale)로 부모의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10.0 PC+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정은 실수, 백분율, 평균, χ ²-test 을 사용하였고, 지식, 태도, 부담감, 스트레스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두 집단간 ANCOVA, Mann-Whiteney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병지식점수는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중재 직후(F=2.172, p=.154)와 5개월 후(F=.015, p=.904)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정신장애인 부모들의 태도 변화에 대한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효과에서 1) 권위의식은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중재 직후(U=36.00, p=.015)와 5개월 후(U=36.50, p=.01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자비심, 정신건강관념, 사회생활제한성, 대인관계원인론은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중재 직후 (U=68.50, p=.474; U=57.00, p=.198; U=61.00, p=.281; U=73.50, p=.646)와 5개월 후(U=70.00, p=.540; U=53.00, p=.134; U=56.50, p=.180; U=62.00, p=.305)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부담감 점수는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중재 직후(U=69.50, p=.507)와 5개월 후(U=68.50, p=.474)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스트레스 점수는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중재 직후(U=79.00, p=.878)와 5개월 후(U=63.50, p=.330)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8회에 걸쳐 실시한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은 그들의 권위의식 태도만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질병지식, 정신질환에 대한 자비심, 정신건강관념, 사회생활제한성, 대인관계원인론 태도, 부담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는 입증하지 못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에 최소한 6개월이 경과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5개월간에 걸친 본 연구 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공과 주기적인 추후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검정을 확고히 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for parents with a mentally disordered adult child, focusing on illness knowledge, attitude, burden, and stress of the paren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rch 29th to May 19th, 2005. Participants were 26 parents with a mentally disordered adult child (11 experimental group, 15 control group) who volunteered from parents registered in "S" Mental Health Center in Seoul. A structured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was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held once a week for 8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90-100 minutes.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Lim Young Hui & An Yang Hui's(2000) Illness Knowledge Scale, Cohen & Struening's(1962) OMI (Opinion About Mental Illness) Scale, Pai and Kapur's(1981) Burden Scale modified by Son Dug Soon(1997), and Green's Relatives' Stress Scal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χ ²-test for testing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COVA Mann-Whiten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llness knowledge, attitude, burden, and stress right after the intervention as well as at 5 months follow-up.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llness knowledge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ght after (F=2.172, p=.154) the termination of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nor at 5 months follow up (F=.015, p=.904). 2. On aspects of attitudes of parents, subcategories of the OMI were as follows : 1) The authoritarianism score diminish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ight after (U=36.00, p=.015) termination of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and at 5 months follow up (U=36.50, p=.015). 2) The benevolence, mental health ideology, social restrictiveness and interpersonal etiolog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ght after(U=68.50, p=.474; U=57.00, p=.198; U=61.00, p=.281; U=73.50, p=.646) termination of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nor at 5 months follow up(U=70.00, p=.540; U=53.00, p=.134; U=56.50, p=.180; U=62.00, p=.305). 3. The burden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ght after(U=69.50, p=.507) the termination of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nor at 5 months follow up(U=68.50, p=.474). 4. The stress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ght after(U=79.00, p=.878) the termination of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nor at 5 months follow up(U=63.50, p=.330). Although the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in this study had an effect on parent's authoritarianism, it did not support any changes or improvements on illness knowledge, benevolence, mental health ideology, social restrictiveness, interpersonal etiology, burden and stress of parents with mentally disordered adult child. As this research was short term and did not allow see six months follow up as noted in prior studies,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work is needed to addr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beyond 6 month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필요성 = 1 B. 연구의목적 = 3 C. 연구의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II. 문헌고찰 = 9 A. 정신장애인 부모의 경험 = 9 B.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 = 16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설계 = 23 B. 연구대상 = 23 C. 연구도구 = 24 D. 자료수집절차 = 30 E. 자료 처리 및 분석방법 = 32 F. 연구의 제한점 = 3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34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4 B.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부모의 질병지식에 미치는 효과 = 36 C.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 = 38 D.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부모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 42 E. 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부모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44 V. 결론 및 제언 = 48 A. 결론 = 48 B. 제언 = 50 참고문헌 = 51 부록 = 61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24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정신건강교육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부모의 질병지식, 태도, 부담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on illness knowledge, attitude, burden, and stress of parents with a mentally disordered adult child-
dc.creator.othernameHong, Ju-Eun-
dc.format.pagev, 7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