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황금순-
dc.creator황금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4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498-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신속하게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 내에서 모든 분야가 전문화, 세분화됨에 따라 의료서비스 대상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높을 뿐 아니라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며, 의료인이 제공해야 하는 의무 또한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 절차 및 환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전문적이고 숙련된 간호행위를 하지만 외부사람들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술실 간호영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관점의 다양한 연구들도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용어로써 수술실 간호중재를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술실 간호중재 분석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구체적 간호행위 조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시대적 요구이며 필연성을 띤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NIC 간호중재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로 확인한 16가지 간호중재를 중재 명, 정의, 간호행위를 포함하여 각 중재의 구체적인 의미를 제시하고, 간호행위의 수행 빈도를 조사하여 수술실에서 수행되고 있는 핵심 간호중재 영역별 간호행위를 기술하고 분류하여 전산화 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며, 간과하기 쉬운 간호행위를 인식하고 간호 과오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수술실에서 시행하고 있는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5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3차 의료기관으로 서울 시내 소재의 2개, 경기도내 1개를 선정하였으며, 2차 의료기관으로 경기도내 1개 지역으로 총 4개 의료기관을 선정하였고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수술실 간호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윤영과 박광옥(2002)의 연구와 염영희, 김성실, 김인숙, 박원숙, 김은주(1999)의 연구를 참조하여 간호중재별 간호행위 조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수술실 간호사가 각각의 간호행위를 하루에 얼마나 자주 수행 하는지를 5점 Likert scale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 영역(Domain)별 순위는 ‘생리적: 복합’ 영역, ‘생리적: 기본’ 영역, ‘행위’ 영역, ‘건강체계’ 영역, ‘안전’ 영역이었다. 2.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Nursing Intervention) 중 하루에 여러 번 수행하는 간호중재의 순위는 ‘수술과 관련된 예방조치’(90.7%), ‘감염통제: 수술실 내’(82.7%), ‘수술시 보조’(82.7%), ‘환경 관리: 안위 도모’(64.3%), ‘환경 관리: 안전’(64.1%), ‘수술 준비’(56.8%), ‘검사물 관리’(52.0%), ‘록’(33.8%), ‘낙상방지’(29.0%) 순이었다. 3. 수술실 간호사들이 50%이상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행위는 373개 문항 중 134개 문항으로 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수술실 간호사 100%가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하는 간호행위는 373개 문항 중 23개 문항으로 ‘수술시 보조’ 간호중재 8개 문항, ‘수술과 관련된 예방조치’ 간호중재 5개 문항, ‘감염통제 : 수술실 내’ 간호중재 7개 문항, ‘수술준비’ 간호중재 2개 문항, ‘환경관리 : 안위도모’ 간호중재 1개 문항이었다. 수술실 핵심 간호행위(Nursing Activities) 중 거의 수행하지 않는 간호 행위는 ‘감염에 대한 보호’ 간호중재는 18개 문항, ‘신체의 억제’ 간호중재는 17개 문항, ‘근무 교대’ 간호중재는 7개 문항, ‘욕창 예방’ 간호중재는 11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중재 명에 따른 간호행위를 조사한 결과 선행된 연구 중 중재 명을 중심으로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라고 규명된 중재 명일지라도 그 중재 명을 정의하는 각각의 간호행위 중 실제로 거의 행하지 않는 간호행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구체적인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간호의 필수능력을 도출하고, 교육과 자가 학습, 업무능력 사정하는데 직접 활용하기가 어려우므로, NIC 간호중재세트 뿐 아니라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재 명 뿐 아니라 간호행위 수준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 형식이 아니라 훈련된 관찰자를 통하여 핵심 간호중재별 간호행위를 보다 객관적으로 조사할 것을 제언한다. 2. 더 많은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간호행위 분류도구를 이용하여 수술실 핵심 간호행위를 파악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3. 본 연구를 통하여 하루에 여러 번 수행되는 것으로 조사된 간호행위들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Operating room nurses are engaged in a variety of skilled nurs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procedures and each patient's unique needs, but their activities are seldom exposed to other people in most cases, and moreover, diverse studies on surgery room of nursing domains from various viewpoints do not seem to determine the nursing interventions required of surgery room with an internationally standard terminology.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analyze the nursing interventions in surgery rooms but also research into specific nursing servic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ed by NIC and examine specific implications of each of 16 nursing interventions using appropriate terminology and definitions and including the nursing activities, and thereby, describe and classify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in operating rooms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for their computerization, and therewith help our nurses to better understand the otherwise easy-to-be overlooked nursing interventions and reduce their nursing errors and thus, conduce to improvement of nurs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80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for two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on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and another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in Kyonggi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from October 10 through 17, 2005, and only those who had agreed to the surv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a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each nursing intervention was developed in reference to Lee Yun-young & Park Kwang-ok's (2002) and Yeom Young-hee's (1999), while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rate daily frequency of each nurses'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SPSS Win 11.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important core nursing intervention domain in operating rooms was determined physiological complex domain, followed by physiological basic domain, behavioral domain and safety domain in their order. 2. Among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in operating rooms, the most frequent one on a daily basis was 'prevention related with surgery'(90.7%), followed by 'infection control in operating rooms' (82.7%),‘surgery assistance' (82.7%),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control' (64.3%),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64.1%), 'preparation for surgery' (56.8%), 'test piece management' (52.0%),'recording' (33.8%) and 'prevention of injury from fall' (29.0%) in their order. 3. Among the core nursing activities in operating rooms, the most frequent ones on a daily basis were 22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keeping proper information on surgery record' in case of 'prevention related with surgery', 25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cleaning of operating room floor and dusting of lightings' and 'maintaining and monitoring of room temperature at 20~24 degree C' in case of ' infection control' in operating room, 14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arranging of equipments, devices and supplies for surgery' in case of 'surgery assistance', 10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helping patients to move' and 'completion of pre-surgery checklist' in case of 'preparation for surgery' and 4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laying and removing of blanket for a comfortable temperature' in cas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afety contro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re nursing activities in operating rooms, the rarely performed ones on a daily basis were 18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monitoring of absolute numbers of granulocytes, leukocytes and discernable hematocytes' in case of 'infection control', 17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being instructed by physician if necessary for physical control or dyfunctioning' in case of 'physical control', 7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looking for therapies such as dietary, Ringer's solution or exercise ones' in case of 'work shift' and 11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transparent and thin dressing of easy-to-wet body parts' in case of 'prevention of decubitu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1.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search more objectively into nursing activities of each core nursing intervention using not self-reporting survey but well-trained observers. 2. It is deemed urgent to design and implement a nursing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the nursing activities found most frequent on a daily basis and thereby, assess its eff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문헌고찰 = 7 A. 수술실 핵심 간호중재 = 7 B. 수술실 간호중재별 간호행위 = 10 Ⅲ. 연구방법 = 12 A. 연구설계 = 12 B. 연구대상 = 12 C. 자료수집방법 = 12 D. 연구도구 = 13 E. 자료분석방법 = 13 Ⅳ. 연구결과 = 14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14 B. 핵심 간호중재별 간호행위 수행 빈도 = 15 Ⅴ. 논의 = 40 Ⅵ. 결론 및 제언 = 44 A. 결론 = 44 B. 제언 = 46 참고문헌 = 47 부록(설문지) 5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6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수술실 핵심 간호중재에 따른 간호행위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Nurs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Core Nursing Intervention of Operating Rooms-
dc.creator.othernameHwang, Gum-Soon-
dc.format.pageⅵ, 7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