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편집 디자인 분석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Title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편집 디자인 분석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ditorial Design on Science Textbook of the High School and the Cognition of Students
Authors
지혜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과서는 학교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교육 교재이다. 학교 교육의 기본 설계도가 교육과정이라면 교과서는 그 설계도대로 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여러 도구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 도구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본 설계도인 교육과정을 잘 만드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 설계도가 제대로 구현되려면 기본 도구인 교과서를 잘 만드는 일 또한 그에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를 편찬하는 일은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일 이상의 정성과 각고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외적 체제와 편집 디자인을 분석하고, 현행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문제점을 정리하여 차기 교과서 개발을 위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제7차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의 디자인 분석과 고등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서의 디자인 만족도와 요구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외형 체제'에서의 '편집 디자인' 제시 내용 중 디자인 설계 및 레이아웃과 사진·그림에 대한 것을 분석 기준으로 교과서 분석과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과학 교과서의 편집 디자인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의 시각 자료가 그림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아 그림에 비해 사진 자료의 활용 비율이 낮았다. 또한, 시각 자료가 대부분 학습 내용을 잘 표현하고 있었으나 선명도에서 많은 부분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편집 디자인은 사진·삽화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을 이루고 있었으나 모든 교과서가 전단 형식을 취하여 단조로운 느낌이 많았고, 안정감이 부족하였다. 둘째, 현행 과학 교과서의 크기, 종이질, 서체 등은 획일화되어 있다. 이러한 교과서의 외적 체제에 대한 규제는 다양한 편집 디자인을 저해시킬 수 있다.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과서 크기에 대한 만족도는 34.6%이며,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는 20.5%로 더 낮았다. 또한, 교과서의 두께에 대해서는 고등학생들의 66.4%가 두께가 적당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종이의 질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지 못하였다. 서체는 읽기 편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요한 학습 내용의 경우 강조를 위해서 다른 서체를 사용하는 것을 원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색상의 선명성은 현행 과학 교과서(68.2%), 차세대 과학 교과서(91.2%)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색상간의 조화성은 현행 과학 교과서(21.5%)가 차세대 과학 교과서(67.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 색상의 표현성은 현행 과학 교과서가 27.1%로 낮았으나 차세대 과학 교과서에서는 73.5%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과학 교과서는 사진을 통해 과학 지식과 실험 결과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과서의 색상이 중요하다. 대체로 교과 학습 내용에서 활자 매체를 중요시하고, 사진·삽화 등은 본문의 보충적 위치라는 개념 때문에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넷째, 과학 교과서에서 교과서의 행간·상하여백 등은 적절하다고 인식되었으나 과학 교과서의 여백이 필기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답답한 느낌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형성과 기능성을 살린 적극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여백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다섯째, 과학 교과서에서 각 단원이 시작될 때의 편집 디자인은 학습 내용이 흥미롭게 유도되어야 하나 고등학생들의 13%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컨셉트에 따른 전체적 디자인 속에서도 단원별로 변화가 있는 디자인이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현행 과학 교과서는 이에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이 아름다우면 책을 거듭 보고 싶게 하는 충동이 생길 수 있으며, 내용을 보다 쉽게 수용하게 하는 작용도 할 것이다. 또한, 디자인의 짜임새가 통일성이 있으면 교과서를 대할 때 심리적 안정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이 잘 된 지면은 글자, 사진, 그림 등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있어서 읽기 쉽고, 조형적으로도 아름답고 매력을 끌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A textbook i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If a basic design of school education is education curriculum, then textbook is the most fundamental required implement to bring an idea to fruition abou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It is important to make a good textbook in order to embody design as well as to make a good education curriculum. A greater deal of labor is required to make the compilation of textbook than to revise a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mproved plans for a development of the next textbook through analysis of the external format and the editorial design further various opinions against the editorial design between the present textbook and the new generation one. The methods of study are to analyse the design of 7 different kinds of the 7th science textbook at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nd requests of the science textbook's design against 319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obtain the data, questions are made based on design, layout, pictures and drawings among the contents of "Editorial Design" in "External format for Textbook" and SPSS analysis program i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ze of the textbooks now used is unified to 4·6 size in all step schools. Such a restriction for the external format of textbooks may hinder various editorial design. Only 34.6% of high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science textbook's size. And 66.4% of high school students think that its thickness and quality is not appropriate. It is desired that textbook's size would be different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considering things of every sort and variety. A style of handwriting is recognized comfortable to read, but they want to read other style in important parts for emphasis. Second, although 68.2% of students think that color of science textbook is clear, some didn't answer affirmatively about harmony(21.5%). Third, only 22.5% of students answered pictures and drawings of science textbook have a realistic description and only 19.7% answered it because of the students' curiosity. Generally, a textbook tend to attach importance to printing relatively to picture because pictures support the paragraph. Fourth, the science textbook space is too small to ensure proper learn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dd more space. Fifth, only 13% of students recognized textbook induce interests. It is judged that a change of desig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learning effect. But existing science textbook is insufficient to induce interests from students. A good design facilitates repeated reading and effective learning. Also if design's composition is unified, it is comfortable to deal with the textbook. Therefore, it is easy and attractive to read from harmonious letters, pictures, draw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