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신호어의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호어의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ading Signal Types on the English Rea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광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제 7차 중학교 외국어(영어)과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기본 목표로하여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 모두를 중시하는데 특히 이해 기능이 더 강조된다. Krashen(1982)은 성공적인 언어 습득을 위해 유의미한 입력인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듣기와 읽기 능력의 함양은 언어 학습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해 정도에 대한 신호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에는 다독(extensive reading)이 언어 학습자에게 많은 양의 언어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제 7차 중학교 외국어(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구체적인 성취 기준을 제시하여 독해력(reading ability)을 강조하고 있다.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글과 관련한 배경 지식, 어휘에 관련된 지식, 언어적 능력, 글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독해 전략의 사용, 담화 표지어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본 연구는 담화 표지어를 신호어의 한 유형으로 보고 여러 신호어의 유형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화 표지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담화표지어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습자의 수준과 관련하여 상충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명문의 이해에 있어서 학습자의 언어능력 수준에 따라 신호어가 모두 삭제된 글, 논리적 연결어(logical connectives)를 입력 강화한 글, 단락의 주제를 제시한 글, 논리적 연결어를 입력 강화하고 단락 제목도 함께 제시한글 중에서 학습자들이 각 언어 능력 수준별로 어떤 종류의 글이 더 효과적인지를 독해 평가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 읽기의 과정, 신호어라는 용어에 대한 정리, 종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안양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 3학년 남, 여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26명의 시험 결과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호어의 네 가지 유형 , 즉, 첫 번째 유형(Version 1)은 신호어를 모두 제거한 글(no signal)이며, 두 번째 유형(Version 2)은 논리적 연결어를 입력 강화한 글(logical connectives), 세 번째 유형(Version 3)은 단락 제목을 제시한 글(paragraph headings), 네 번째 유형(Version 4)은 논리적 연결어를 입력강화하고 단락 제목을 제시한 글(the combination of logical connectives and paragraph headings)이다. 각 유형별로 신호어를 모두 제거한 글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화의 구조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신호어가 독해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밝혀낸 기존의 연구들과 관련지어 볼 때에도 신호어는 독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둘째, 신호어 유형별로 상ㆍ하위 집단간 독해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각 신호어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왔다. 언어 능숙도 상위 집단의 경우에 단락 제목을 제시한 세 번째 유형의 글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언어 능숙도 하위 집단의 경우는 논리적 연결어 입력 강화 및 단락 제목을 제시한 네 번째 유형의 글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신호어를 모두 삭제한 첫 번째 유형의 글에서는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신호어가 독해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선행 연구들과 관련하여 일치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언어 능숙도 수준에 따라 글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을 읽고 주제문을 파악하거나 요약하는 거시처리 과정과 세부적인 정보를 이해하는 미시처리 과정에서도 신호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신호어의 유형에 따른 글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이해 정도를 알아본 결과 신호어 유형에 따라 거시구조 이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시구조 이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것은 독해 과정에서 세부적인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에 신호어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향후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호어를 모두 삭제한 글보다 어떠한 형태로든 신호어가 포함된 글에서 학습자들의 독해 점수가 더 높았으므로 읽기 과정에서 신호어를 적절히 이용하는 전략을 교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언어 능숙도 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이 읽기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글의 신호어를 독해 과정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전략을 교수한다면 독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글의 거시구조 이해와 미시구조 이해 정도를 신호어 유형에 따라 검정해본 결과 미시구조 이해에 있어서 신호어가 더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글의 세부사항 이해를 위해서는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신호어를 알아차려 독해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은 신호어가 독해 정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고, 어떻게 그 과정이 이루어지는가를 학습자들에게 명시적으로 제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생각 과정을 소리내어 말하기’(think-aloud)기법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에게 그 과정을 알게 하여 독해에 스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글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신호어의 유형이 독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특히, 한국 학생들의 경우는 기존의 연구와 어떻게 다른 지를 밝혀내는 연구를 하여 한국 학생들의 읽기 지도에 활용해야 할 것이며, 신호어의 출현 여부에 따라 독해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 밝혀진바 향후의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의 빈도수가 독해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인지에 관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emphasized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language us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develop the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both receptive skills and productive skill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skills to learn English. Krashen(1982) says comprehensible input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Recently, extensive reading has been introduced as a good way to get lots of language materials in the process of language learning. This is well explained in the achievement goal of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in Korea. My goal in this paper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gnals on rea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concern about the reading process. There are some effects on the reading process: vocabulary, background knowledge, reading strategies, discourse markers. Of these factors, discourse mark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readers understand the text cohesiveness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text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ding signal types on English rea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50, third year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226 subjects. The SPSS Win 12.1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two-way ANOVA, two-way MANOVA, and also conducte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In the signal studies, four versions of authentic texts were produced. Version 1 was a non-signalled passage. Version 2, 3, and 4 were embedded with highlighted logical connectives, paragraph headings and these two signals in combination. All four versions had the same content and the same comprehension check up ques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between the different four versions and the reading scores. This proves the previous findings about the positive effect of signals in reading.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igh language proficiency groups and low language proficiency groups in different versions. Third, each group got benefits from understanding both the macro structure and micro structure of the text. Fourth,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macro stru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ur version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micro structure especially in the signalled tex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signals in reading. All signals contributed to reading comprehension in any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is can be proved from the statistical results. For examp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macro and micro structure understanding of version 1. This means that readers can benefit from the signalling of a text. Given the results in favor of signals for readers,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aching of the use of signals may aid reading comprehension. Readers interpret the discourse by finding clues in the discourse and by applying their knowledge of what writers usually do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eachers will be able to use the "think-aloud" technique to show the reading process relating with the signals and so provide a model for students to follow. Therefore, making use of signals during the reading process is one of the useful reading strategies that students can get benefits from for reading comprehen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