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구혜영-
dc.creator구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27-
dc.description.abstract지리학습에서 사진자료의 활용은 현실적이고 풍부한 의미와 정서적 경험을 갖게하고 수집과 관리도 용이해 실제 지리수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그러나 교과서의 사진자료는 교과서의 지면관계로 인하여 한정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현실이고 게재된 사진자료는 대다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에서 교사들은 효과적이면서도 개성있는 수업과 의도된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업자료 개발에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학교에 ICT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교사는 제작한 자료를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자료 개발과 관련하여 교사가 직접 해당지역의 답사를 통하여 수집한 사진자료를 수업자료로 활용한 중학교 사회과 지역지리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였다. 교사는 답사를 통해 얻은 해당지역에서의 경험과 교사 개인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시각적 자극을 통한 구체화, 학생의 흥미 그리고 간접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개인홈페이지를 이용해 추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방과 후 학습과 과제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성북구 ㅅ 여자 중학교 1학년 4개학급 1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연구와 관련있는 내용의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과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하였다. 사전성취도검사와 사전흥미도 검사를 통해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검증하고 실험반 2개반 70명을 대상으로 답사사진자료를 PPT에 담아 수업을 진행하였고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지역사진을 감상하게 한 후, 마음에 드는 3지역을 골라 ‘가상답사보고서’를 제출하게 하였다. 비교반 2개반 70명에게는 기존과 같은 전통적 수업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대상전원에게 사후성취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반에 한해서 실험처치 이후의 흥미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사후흥미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전ㆍ사후성취도검사는 Z검정방법의 양측검정 방식을 도입하였다. 흥미도검사는 사회수업의 흥미와 관련하여 객관형과 서술형으로 구성된 5~6개의 설문으로 구성되었고 흥미정도의 차이를 묻는 질문의 경우 5간 Likert식 척도를 사용하여 전체에 대한 부분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반의 보고서는 수행평가의 방법을 문헌으로 고찰하여 마련한 평가기준을 마련한 후 학생들에게 보고서 작성 이전에 미리 제시하였다. 수업의 실제 반응 정도와 집단간의 수업인식의 차이,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좀 더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반의 14%인 10명을 무선표집하여 방과 후 2~3명 정도씩 3회에 거쳐 설문이라고 느껴지지 않는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15분가량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답사사진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과 지역지리학습은 학업성취도 향상과 지역의 장소감, 지역성의 파악능력과 같은 지리적 능력의 향상에 유용한 수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수업의 결과 실험전과 달리 실험반의 학업성취도는 비교반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반의 사후흥미도는 사전흥미도 검사때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 사진자료의 제시를 통해 가상답사의 경험을 제공하여 해당지역의 장소감과 지역성의 파악능력과 같은 지리적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반에서 실시한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역성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고 지역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을 서술할 수 있는 학생은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하였고 실험반의 대다수가 지역사진을 통해 지역현상의 이해와 지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진행과 결과에 있어 본 실험수업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보여주었다. 학습자들 절반이상은 답사사진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보였지만, 단순한 흥미에 그쳐 사진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습자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3곳을 선택하여 기술하는 보고서 분석 결과에서도 수업과 관련된 관심보다는 흥미위주로 지역을 선택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교사 개인적으로 수업을 위한 답사는 예상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 개인적인 해당지역의 경험담을 들려주며 흥미를 유도하는 것은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다소 흐트러질 수 있는 수업분위기를 전환시킬 수 있는 지도력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면서도 수업의 목표를 보다 강조하는 교수-학습 방법과 교사의 답사를 통한 수업자료개발과 관련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의 마련이 요구된다. 요약하면, ICT를 활용하여 제시된 교사의 현장답사사진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과 지역지리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지역의 장소감, 지역성의 파악능력과 같은 지리적 능력의 향상에 유용한 수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using photographs, personally taken by teacher during field study, as the regional studies teaching materials at middle school. Proceedings to prove this study as follows. The one hundred forty students of 4 classes of grade seven of S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efore this study perform, each group was confirmed by achievement test. To certificate this progra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seventy grade seven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using geographical photographs. Experimental group connected teacher's web site for virtual study and they had to report about own's thoughts. On six kinds of valuation basis, I evaluate student's report. The report was analyzed by qualitative access. After that, I choose 14% of each group who were depth interviewed.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geographical photographs) had significantly more geographical interest and curiosity than befor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geographical photographs) was more effective in the degree of fullfillment of studying than comparative group who was taught traditional teaching)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geographical thinking by watching, pondering, understanding, and writ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not only develop geographical abilities which include curiosity and interest of places but also improve academy of achie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9 A. 지역지리학에서의 사진자료 = 9 B. 답사를 통한 교사의 자료수집과 경험의 전달 = 10 C. 개인 홈페이지를 이용한 가상지리학습 = 11 Ⅲ. 연구설계 = 14 A. 수업의 계획 = 14 B. ICT를 활용한 수업설계 = 20 C. 평가방법 설계 = 25 Ⅳ. 결과분석 = 30 A. 사전조사결과 = 30 B. 결과분석 = 30 Ⅴ.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5 ABSTRACT = 47 부록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82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현장답사사진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과 지역지리수업의 효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Using Geographical Photographs for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in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Koo, hea-young-
dc.format.pageⅷ, 6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