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완기-
dc.contributor.author유주희-
dc.creator유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5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 되면서 학생에게 맞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학습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에 맞추어 역사교육에서는 영화, 만화,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교육과 소설, 사진, 그림 등의 자료를 이용한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뤄져 왔다. 여러 학습 방법 중 사료학습은 정보화 사회에서 주체적인 판단을 돕는 기능을 학습할 수 있고 사료를 근거로 구성되는 역사과목의 특성에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료학습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 그것은 교과서 내용을 다 다루어야 하는 부담감과 국사의 경우 일주일에 1시간이라는 적은 수업 시간 때문에 현장에서 사료를 직접 제시하는 경우가 적거나 사료를 다루더라도 교사가 사료를 설명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 수준에 맞는 사료 개발의 어려움과 중ㆍ고등학교에서 차별성을 가지며 각 학년에 맞는 사료 학습 적용 방법에 대한 논의의 부족함도 사료 학습의 활발한 활용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학생 수준에 맞는 사료와 사료학습 방법이 제시된다면 흥미를 가지고 현실감 있게 역사를 배울 수 있는 사료학습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의 사료학습을 위해 교과서 사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사료학습 활용의 어려움중의 하나가 사료의 선정과 개발인데 제 7차 교육과정이 마련되면서 국사 교과서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상당량의 사료들이 교과서에 실리게 되었다. 그래서 교사나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역사와 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쓰인 교과서의 사료를 이용하는 방안을 구상해보았다. 우선 사료학습에 대한 연구가 고등학교에 비해 부족한 중학교에서의 사료학습을 살펴보기로 하고 중학교에서 사료학습이 가능한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료를 읽고 시대적 배경을 확인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본격적인 사료학습은 중학교 3학년에 가서야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사료가 사료학습에 적합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중학교 국사 교과서 전체의 사료들을 사료의 학습 기능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3학년이 배우는 부분의 사료의 양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료가 본문의 내용을 확인하는, 본격적인 사료학습이라고 할 수 없는 분산 접근 사료 학습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었다. 그리고 사료학습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는데 우선 대부분의 사료들은 어려운 한자어와 설명이 없는 역사 용어로 구성되어 있었고 비판적 사고와 추론 능력을 필요로 하는 자료 분석 기능의 사료가 제일 첫 사료로 제시되는 등 사료가 학생 수준에 맞도록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사료 학습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에 가장 많은 양의 사료가 배치되어 있고 본격적인 사료학습이 가능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사료를 어떻게 읽고 있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사료 자체를 읽는 것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보였고 사료를 배경지식에 근거해서 이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사료를 읽는 방법을 학습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의 읽기 전략에 따라 사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이다. 그래서 학생들이 글을 읽는 방법, 즉 읽기 전략에 대해 조사한 후 각 읽기 전략에 맞게 중학교 3학년이 배우는 중학교 국사 5~7단원을 대상으로 본문과 심화과정으로 나눠서 사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3학년이 주로 이용하는 읽기 전략에는 배경지식 활성화 전략, 바꿔 말하기 전략, 질문하기 전략 등이 있다. 이 읽기 전략들에 맞추어 분산 접근 사료학습으로 이용될 수 있는 몇 개의 사료를 재구성 해보았고 사료를 읽는 방법을 교수-학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사료학습에서 꼭 필요한 읽기 전략인 비판적 읽기의 방법을 중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5,6학년 읽기 전략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만들어서 그 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e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getting know historical knowledge but improving much better life through information. But we have been studied the unbalanced history that has misunderstood it as a knowledge until now. As a result, the history education has been bored and neglected away from currency. However, we have the a solution that students have an affinity for the history. It is the learning historical materials. Many experts have accept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historical material. So study on the learning historical materials go on working until now. Moreover, the 7th curriculum in Korea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learning process that include individual personality and ability.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learning historical material is reflected in the history textbook. Therefore this study has aimed at teaching method to use historical material in textbook. And this study is subject to 3dr grade of middle school. Because 3dr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has a ability to use historical material according to historical experts. Two ways are used for this study, one is the analysis teachability of historical material in textbook. The second is the analysis a reading ability of 3dr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And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ical material claim for compensation to reflect the results of two analyses . As a result, following are noteworthy. First, the text book has many historical materials to use historical material studying. But the disposition and level of historical materials are not suited for a middle school. Second, the 3dr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frequently use several reading methods. The reading methods are revitaliz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replacing own wor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4 3. 연구 내용과 제한점 = 8 Ⅱ. 중학교에서의 사료학습 = 9 1. 사료의 교육적 기능 = 9 2. 중학교에서의 사료학습의 가능성 = 12 3. 사료학습에서의 교과서 이용 = 17 Ⅲ. 교과서 사료의 적합성 = 21 1. 중학교 국사 교과서 사료 분석 = 21 2. 중학교 국사 교과서 사료의 사료학습 적용에의 문제점 = 33 Ⅳ. 교과서 사료를 이용하는 사료학습을 위한 방안 = 39 1. 사료학습과 중학생의 읽기 능력 = 39 2. 읽기 전략을 고려한 교과서 사료 이용 방안 = 54 Ⅴ. 결론 = 77 참고문헌 = 80 부록 = 82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1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국사교육에서의 사료학습 방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istorical material in teaching method of The Korea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Yoo, Joo Hee-
dc.format.pageⅶ, 8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