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평형기술 학습효과

Title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평형기술 학습효과
Other Titles
Balance Learning depending on the Time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s
Authors
양길진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평형기술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평형과제를 이용하여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습득단계에서의 균형유지 시간과 즉각파지 및 지연파지단계에서의 균형유지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수행과 학습의 변화과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과제에 대하여 사전정보과 경험이 전혀 없는 E 여자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과 대학원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평형 과제를 이용하여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라 동시적 결과지식, 종말적 결과지식, 그리고 혼합 결과지식(동시적 결과지식+ 종말적 결과지식)을 제공한 3개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5명씩 무선배정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학습과제는 MFT Computer Balance Tester(MFT model # MFT2002-T)를 이용하여 30초간 평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독립된 실험실에서 진행되었다. 모든 피험자들은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행해졌으며, 5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총 40회의 습득단계 시행과 5분후 5회 시행의 즉각 파지검사와 5회 시행의 24시간 후 지연 파지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는 습득단계에서는 결과지식의 제시시기(3) × 분단(8)에 따른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을 실시하였고,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즉각, 지연 파지단계에서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의한 차를 나타낸 경우 사후검증(Scheffé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습득단계에서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분단간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집단간의 주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집단과 분단간의 상호작용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즉각파지 및 지연 파지검사에서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습득단계에서 혼합 결과지식을 제공받은 집단의 수행 기록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서 습득단계시 결과지식을 운동 수행 중과, 종료 후에 모두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즉 습득단계에서 보다 많은 결과지식이 제공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즉각, 파지 단계에서 결과지식의 제시시기에 따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점은 초기 실험설계과정에서 실험집단별 결과지식의 제공조건을 동일하게 통제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을 동시적으로 관찰토록 한 결과지식은 피험자에게 흥미로웠으나 연습마지막 단계에서 피험자들의 수행에 일관성이 결여된 것으로 보아 적절한 연습시행 횟수를 모색해야 하며, 실험조건의 통제에 있어 보다 섬세한 실험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time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KR) affects balance learning. To do th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erformance grades at different stages of practice in a balance task depending on the time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 and the grades in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trials. For the study, 45 participants, students and graduates of E Women's University, not having any previous information and experience have participat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5 people, which were concurrent KR group, terminal KR group, and mixed KR(concurrent KR and terminal KR) group. The learning task was to maintain balance for 30 seconds in the lab using MFT Computer Balance Tester. Subjects took part in the experi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which were 5-time trials for 1 block, a sum of 40-time stages of practice, immediate retention trials after 5 minutes, and delayed retention trials after 24 hours. In the acquisition stage, the data of the times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3) × the sections(8) were analyzed in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and the data in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trial stage were analyzed in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When the d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y were reanalyzed in Scheffe' test.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main effect between the sections was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the sections and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time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 in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s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tate the results cleary, the performance grade of the group provided with mixed KR in acquisition stage was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t mean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knowledge of result during and at the end of the performance in acquisition stages. Thus, the resul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stating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knowledge of result in acquisition stage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time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 in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s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failure of controlling the conditions of provision of knowledge of result. To summarize, the knowledge of result, visually observed center of gravity, was interesting to the participants but the appropriate times of practice should be traced since the performa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consistent at the last stage of the experiment. This suggests that more detailed design is to be needed in the future especially with careful control of experiment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