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이 정서적으로 위축된 초등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이 정서적으로 위축된 초등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lasswide Play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Emotionally Withdrawn Students
Authors
이소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Peer relationships in childhood are consider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 adjustment in later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sswide play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ho were emotionally withdrawn and their nondisabled peers.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K-CBCL(Korean-Child Behavior Check List) and the reports from homeroom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selecting activities that contained frequent eye and physical contacts, sharing, cooperation, reinforcement activities from relevant publications. Then, the chosen activities were revised for all students including withdrawn student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used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 processing the intervention, classwide play program was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to each class for 20 minutes at lunch time. Before each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in observation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for 10 minutes in the morning recess tim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social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increased through classwide play program. 2. The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period was maintained in two childre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wide play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social interactions of withdrawn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not only treat withdrawn students but also overcome the difficulty of generalization indicated the limit of social interaction. Also 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structured program which might bring positive interaction for all students including withdrawn children in regular classroom.;위축된 학생들은 소극적이고 말을 잘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만한 행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문제가 교실 환경에 방해 되지 않고, 따라서 직접적인 중재의 대상으로 판별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사회적 기술 결함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학업적 실패는 종종 이들을 특수교육 대상자로 의뢰되게 할 뿐 아니라, 이후 여러 가지 정신건강 및 적응문제를 초래하고 우울 등을 비롯한 내재화 정서장애의 위험에 처하게 한다. 놀이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통합된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집단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한 중재는 실제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하고 친사회적 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교실에서 학급의 모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집단 놀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기술을 일반화 할 수 있는 자연적 환경에서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위축된 학생들이 두려움을 덜 느낄 뿐 아니라, 놀이를 하면서 사회적으로 유능한 또래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적응적인 사회적 기술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으며, 또래로부터 강화도 받을 수 있다. 효과적인 행동지원을 위해서는 장애학생뿐 아니라 그 학생이 속한 그룹이나 학급도 함께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위축된 학생들이 통합되어 있는 사회적 관계망에 있는 사람들, 즉 일반학생들의 태도나 행동 변화 및 학급 분위기의 개선도 함께 이루어져야 위축된 학생의 삶의 전반에 걸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성이 부족한 위축된 학생들에게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위축된 학생이 일반학생들에게 수용될 뿐 아니라, 일반학생이 가지고 있던 위축된 학생에 대한 태도도 변화되어, 이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우정발달을 촉진시키고,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이 위축된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또 그 효과가 유지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세 개의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세 명의 위축된 학생들이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점심시간 20분 동안 교실 내에서 학급 학생들이 모두 모둠 별로 돌아가며 참여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쉬는 시간 10분 동안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학생 중 두 학생은 중재 종료 3주 후에, 한 학생은 겨울 방학 관계로 6주 후에 연속 4회기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대상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은 기초선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 중재가 시작된 후 증가하였다. 둘째,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을 통해 증가된 사회적 상호작용은 세 명의 대상학생들 중 두 명에게서만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학급차원의 놀이 프로그램은 정서적으로 위축된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나 그러한 긍정적 변화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지는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는 장애 위험학생들을 지원하였으며, 그 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내재화 정서장애, 특히 위축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급 학생들이 교실 내에서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중재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