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최윤희-
dc.creator최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96-
dc.description.abstract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arly developmental period. Mothers' sen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toward young children's needs have been emphasized because they can facilitate the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In cas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ir lack of social and communicative skills prevent them from expressing their communicative intentions.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perceiving social and communicative needs and intentions of other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stablishment of solid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or primary caregivers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is such a prototype of human relationships. Young children learn how to build and expand social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Mothers' responsive behaviors positively affects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re developmentally delayed have difficulties in having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thers and young children mutually fail to identify communicative intention of each others. In order to build up effective communication, mothers should precisely perceive young children's intentions and respond to them accordingly. In other words,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pt to positively change based on how mother communicate with their young children. If mothers can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without any difficulties, qualit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can be established. Qualitative interactions are possible when mothers and young children's behaviors are reciprocal.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when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behaviors between each other. Qualitative interaction sh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as mothers and young children are accustomed to each other. It can facilita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ecause it helps them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sophisticate their own behaviors.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mothers is important in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ose mothers with training programs which can help them establish qualita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ach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re developmentally delayed how to apply responsiv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ee mothers and thier 4-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on the intervention.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ased on the duration of time and level of participation. During pre-sessions, mothers learned basic knowledge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the main sessions, mothers learned strategies regarding how to sensitively develop both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of their children, how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and reciprocity of interactions. Feedback was provided in order to help the participants apply the three strategies to real situation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build inter-subjectivity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feedbacks. Based on the training program, interactions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hanged as follows: First, the duration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increased and remained the same level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Second,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a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and remained the same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natural play settings, which brought more positive impacts on how to apply those strategies to real situations. The feedback procedure was very effective in which mothers and the investigator discussed following strategies after mothers evaluated themselve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he comprehensive program of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ce in that both were made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change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not only quantitatively but qualita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thers' training without young children's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sults. Such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explained to other members of family alike or various types of care givers.;유아 초기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질 높은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촉진하기 때문에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민감하고 수용적인 성인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람들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우며 이를 토대로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또는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발달이 지체되는 유아의 경우에는 사회·의사소통의 결함으로 인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발달지체 유아와 질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어머니가 발달이 지체되는 유아와 원활하게 상호작용을 하려면 유아와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은 어머니와 유아가 동시에 상호작용의 주체가 되어 매일의 일상 중에 일어나는 자연적 상황에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찾도록 격려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 상황에서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어머니교육을 실시하였다. 어머니교육은 유아 발달과 행동 특성,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사전 교육과 유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개발, 반응성(responsiveness) 향상, 상호성(reciprocity) 증진을 목표로 한 의사소통 전략을 이해하도록 돕고 각 전략을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피드백은 본 회기에 이루어진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 평가와 지난 회기 상호작용 분석에 따른 연구자 제안, 다음 계획을 어머니와 연구자가 함께 논의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단일대상연구의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어머니 각각에게 순차적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발생한 실제 시간을 측정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정의 놀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참여시간을 관찰하였는데 상호작용의 참여시간을 측정하고 다시 참여수준 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예비관찰기간동안 20% 이하의 낮은 상호작용 발생률을 보였던 세 팀의 어머니와 발달지체 유아의 상호작용은 어머니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첫째, 상호작용 발생률이 낮았던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는 어머니교육을 통해 상호작용의 발생률이 증가되었고, 증가된 상호작용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중재 후반과 비슷한 정도로 유지되었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수준별 상호작용 발생률이 변화되었다. 즉, 세 팀의 어머니와 유아는 기초선 기간 동안 일시적 참여와 미분화된 참여수준으로 상호작용하였으나 어머니교육을 통해 일시적 참여와 미분화된 참여수준은 감소하고 정교화된 참여와 상호지지적 참여수준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는 본 중재를 통해 상호작용의 참여수준이 보다 상위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향상된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참여수준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의 적용을 위한 어머니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양적․질적 변화를 가져왔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에 대한 직접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어머니교육 만으로도 위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각 어머니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된 어머니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과 구조화된 실험실이 아닌 가정에서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와 유아 각각의 행동 변화를 관찰한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의 행동이 연결되어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호작용의 관찰도 기존의 연구와 같이 양적 측면만이 아니라 질적 측면인 수준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상호작용 발생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등간 기록에 의한 부분관찰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실제 시간을 측정하였고 컴퓨터 프로그램(MOOSES)을 사용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자료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유아 발달과 양육자 상호작용 = 8 1. 유아와 양육자 상호작용의 중요성 = 8 2. 유아와 양육자 상호작용의 내용과 형태 = 9 3. 발달지체 유아와 양육자 상호작용 특성 = 12 4. 발달지체 유아와 양육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 = 15 B. 상호작용을 위한 반응적 의사소통 = 19 1.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 19 2. 반응적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 20 3.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 = 24 C.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양육자 훈련 = 27 1. 양육자 훈련의 필요성 및 내용 = 27 2. 상호작용의 관찰 및 평가 = 28 3.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 전략 = 30 4. 양육자 훈련 시 전문가의 역할과 훈련 내용 = 3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참여자 = 35 B. 실험기간 = 38 C. 실험환경 = 38 D. 실험도구 = 39 E.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40 F. 관찰 및 측정 = 49 G. 관찰자간 신뢰도 = 56 H. 중재 충실도 = 57 I. 사회적 타당도 = 59 Ⅳ. 연구결과 = 61 A. 상호작용 참여시간 = 61 B. 상호작용 참여수준 = 67 Ⅴ. 논의 및 제언 = 72 A. 논의 = 72 B. 제한점 = 87 C. 제언 = 88 참고문헌 = 90 부록 = 111 Abstract =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73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의 적용을 위한 어머니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ther training for responsive communication strategies on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c.creator.othernameChoi, Yun-Hee-
dc.format.pageⅶ, 133-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