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중등 통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 방법 조사

Title
중등 통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 방법 조사
Other Titles
Teacher's recognition on secondary statistics education and investigation on direction device
Authors
김희수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하
Abstract
This study intend to understand recognition on statistics and statistics unit for math teacher of junior/senior high school and the present status of real direction to grasp the actual state of statistics education performed in junior/senior high school and gain current events For this, I established research themes like below 1. How do junior/senior high school teachers recognize about statistics and statistics unit?. 2. What is the actual state of direction on statistics unit in junior/senior high school? To solve these research themes, I performed investigation for 221 junior/senior high school math teachers by using questionnaire. The result of each research theme is like below 1. How do junior/senior high school teachers recognize about statistics and statistics unit? firstly, Most teachers recognized that statistics is inductive learning and statistics method is inductive method. second, Recognition that direction goal of statistics unit is to develop statistical thinking power is insufficient yet, but it is highly related to real life. third, They thought knowledge on statistics of teacher to teach statistics unit and confidence in teaching it as common level and recogniz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on statistics class is relatively low. There were lots of negative thinking on statistics unit textbook. 2. What is the actual state of direction on statistics unit in junior/senior high school? firstly, when they directed statistics unit, in real class, students used calculation, explanation, discussion, and use of education resources in regular sequence second, when they directed statistics unit, they chose use of real life materials as the best way. But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way and real class showed up by much. third, when teachers taught statistics unit, they mainly referred a textbook or teacher's companion, and the rate reached up to 85%. most teachers directed by using textbook as main way, and it showed that impertinent statistics education was done in deductive way. fourth, for question on material mainly used in class, response that they used phenomenon or truth in and around living was 55.9%. it was the highest. fifth, when they directed statistics unit, for utilization of education resources, utilization rate of computer, calculator, or teaching aids was around 40%. 71.5%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taught in lecture way. there were teachers who taught in lecture way and utilized other education resources at the same time. but there were 58.4% teachers to teach in only lecture way. From consideration previous research for this research a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 could get conclusion like below. firstly, teachers who recognized direction goal of statistics educatiion as 'extension of statistical thinking' is less than teachers who recognized it as 'utilization of real lif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ond, teachers' recognition on statistics was not connected toward real direction way well. third, although teachers' positive recognition on textbook was low, reliance on textbook is high. fourth, in statistics class, utilization of education resources was very low fifth, form of class in junior/senior high school showed big difference. It was because education putting an entrance examination first was most major cause.;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계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통계 및 통계단원에 대한 인식과 실제 지도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통계 및 통계 단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중·고등학교 통계 단원에 대한 지도의 실제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중·고등학교 수학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통계 및 통계 단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통계는 귀납적 학문이며 통계적 방법은 귀납적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통계단원의 지도목표를 통계적 사고력의 개발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은 아직 미비하지만 실생활 관련성은 비교적 높다. 셋째, 통계단원을 가르치는 교사의 통계에 대한 지식과 통계단원을 가르칠 때의 자신감에 대해서는 보통의 수준으로 생각하고, 학생의 통계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는 비교적 낮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통계 단원 교과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았다. 2. 중·고등학교 통계 단원에 대한 지도의 실제는 어떠한가? 첫째, 통계단원을 지도할 때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은 계산, 설명, 토론, 교육기자재 활용의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계 단원을 지도할 때 실생활 자료 활용을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선택했다. 그러나 선호하는 방법과 실제 수업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통계단원을 수업할 때, 교사들은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를 주로 참고하며 그 비율은 85%에 달했다. 대부분의 교사가 교과서 중심으로 지도하고 있으며, 이는 연역적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통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수업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소재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생활주변 현상이나 사실을 소재로 한다는 응답은 55.9%로 가장 높았다. 다섯째, 통계 단원을 지도할 때 교육기자재의 활용에 대해서 컴퓨터나 계산기나 교구를 활용하는 비율은 40%정도에 해당했다. 강의식 수업을 한다는 교사는 71.5%의 교사가 응답하였다. 다른 교육기자재의 활용과 동시에 강의식 수업을 하는 교사도 있었지만 단지 강의식 수업만을 하는 교사의 인원도 58.4%나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의 고찰과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계 교육의 지도목표를 ‘통계적 사고의 신장’으로 인식하고 있는 교사는 ‘실생활 자료 활용과 의사소통’을 목표로 인식하고 있는 교사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통계에 대한 인식은 실제 지도 방법으로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낮지만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통계수업에서 교육기자재의 활용이 매우 저조하다. 다섯째,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의 수업 형태가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