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브루너의 표상양식 원리를 적용한 초등 음악 독보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Title
브루너의 표상양식 원리를 적용한 초등 음악 독보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The Teaching Program Improving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based on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Authors
김영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음악 교육의 목적은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음악성을 교육을 통해 발현되도록 하고 나아가 창의성 및 전인교육으로서의 역할을 경험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악보를 보고 스스로 읽고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인 독보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독보력에 관한 기본 이론들을 고찰하여 독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서울 서초구 S초등학교 6학년 아동 34명에게 적용하여 실제 독보력 향상의 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교사와 아동에게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7차 음악과 교육과정 목표에 제시된 독보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리듬과 선율의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브루너의 표상 양식 원리를 적용하여 이를 프로그램으로 개발한 후 리듬감과 선율감, 리코더 연주능력의 향상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리듬과 선율에 대한 이해과정을 거쳐 독보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도록 구성하여 8주 동안 16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독보력 향상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게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악 연주 독보 능력의 실기 평가는 리듬, 선율, 곡의 흐름으로 나누어 3명의 채점자가 채점 한 결과를 SPSS 12.0/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독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천정효과(ceiling effect)를 보이는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리듬감과 선율감, 리코더 연주 능력에 있어 향상되었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독보력을 향상시키는데 대체적으로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브루너의 표상양식 원리를 적용한 독보력 향상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 독보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다른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의 결과는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의 아동들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지속되고 내면화 될 수 있는가는 8주의 단기간 실시로 계속되는 지속성을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악보를 제시하고 다양한 독보 향상 전략을 소개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disclose potential talent which everyone has, and moreover, to experience the creativity and all-round education. So as to accomplish this,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which reading and playing the score is needed. This research aims to study existing fundamental theories and to develop a program improving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by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To prove this program, 3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e case study. Rhythm and melody training, which is the weakest part of the music class was set up as the main subject of this research, and examined in terms of how the students felt toward the music class as the training was performed step by step. The program is consisted of 16 lessons. To prove an improvement of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test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Evaluation was divided by three parts; rhythm, melody, and the flow of the tune, and the results marked by three testers were analyzed and by SPSS 12.0/WIN application. As the result, excluding students who showing the ceiling effect, most of the students had meaningful differences, and rhythm, melody, and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ability were improved. Also confidence and the interest toward the music class were improved. It shows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This research provides a model class to improve the music score reading ability, and gives an idea to other researches. However, the results were limited to grade 6 students and limited to a short period. Therefore, applying to other grade students with various music scores as well as various training instructions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