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가지는 우성 열성에 대한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ㆍ적용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지는 유전에 대한 오개념이 생기는 원인을 살펴보고, 오개념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 매체를 선별하여 유전 단원 학습에 활용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매체로 만화를 선택하여 오개념 교정을 위한 학습 만화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된 학습 만화를 활용한 집단과 전통적인 집단을 비교해보고 오개념 교정 및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했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사전 &#8228; 사후 검사 및 실험 처치를 하였으며, 총 129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t-test 와 공변량분석(ANCON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8228; 사후 개념 검사를 통해서 학습 만화를 활용한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보다 학생들의 오개념을 교정하는 데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p< .01),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 .01). 아울러 실험 집단의 성별에 따른 오개념 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오개념 교정 효과를 보면, 학습 만화를 활용한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보다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p< .01) 형식적 조작기의 학생들에게는 두 수업의 개념 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셋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실시한 학업성취도 검사를 살펴본 결과, 수업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이는 실험 집단의 수업 과정에 있어서 진행 시간 부족과 새로운 수업 방식인 쓰기 작업에 대한 학생들이 느끼는 생소함 혹은 어색함이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에 있어서는 학습 만화를 활용한 수업 집단 남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전통적 수업집단의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p< .05), 여학생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05). 아울러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검사를 분석해본 결과, 남, 여학생 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 8. 유전과 진화 」단원 중 특정 내용에 대해서만 이루어진 연구이므로 다른 단원에 대해서도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material for teaching in correcting the misleading notion on genetic dominance and recessive dominance as well as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aterial. For this, I have examined the cause of this misleading notion on heredity and have selected a teaching-tool to help correcting the misleading notion on heredity and have applied it to teaching of the unit on heredity. In this study, I have used cartoons for a teaching-tool and have developed the education-cartoon for correcting the misleading notions. Through this, I have compared to the group that used the education-cartoon and the group that used the traditional method to see if there exists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orrecting the misleading notion as well as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In this study, I have chosen 158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the province of Kyung Ki as a sample of test. They were experimented for before and after and overall 129 were analyzed. I used SPSS win 12.0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according to the problems of the experiment executed t-test and ANCONA.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group which used the education-cartoon was more effective (p<.01) than the traditional group in correcting their misleading notion and that the experiment was effective to both male and female. And there was no the meaningful difference as a result probing the difference of correcting the notion caused by the genders in the experimented group. Secondly, seeing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ng the misleading notion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it was more effective to the students at the manipulative-period and transitional-period who used education-cartoon than those who are in traditiona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recorded for students in formal manipulative-period in the probe of notion of the groups. Thirdly,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ed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uneasiness and unfamiliarity felt by the students who had to face the new method of writing as well as lack of processed time. In terms of the results of test on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students of class groups using education-cartoons showed more meaningful results than male students of that using traditional method. However no difference was recorded for the female students.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test on their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no difference was recorde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came up for succession studies. This study has been done with specified subject from [Lesson 8. heredity and evolution]. Therefore teaching program to correct the misleading notion regarding other units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용어의 정의 = 4 1. 오개념 = 4 2. 논리적 사고 = 4 3. 학습 만화 = 5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과학 오개념과 수정 전략 = 6 1. 과학 개념의 특징 = 6 2. 과학 오개념의 생성 원인 = 7 3. 유전에 대한 오개념 = 9 4. 오개념 교정을 위한 개념 변화 이론 = 11 5. 오개념 교정 수업 모형 = 19 B. 만화 = 21 1. 만화의 어원과 특징 = 21 2. 만화의 교육적 효과 = 23 3. 만화 활용 학습 = 24 4. 만화의 빈말풍선 활용 = 26 C. 선행 연구 = 29 1. 만화의 교육적 특면에 대한 연구 = 29 2. 과학 수업에 만화를 활용한 연구 = 30 3.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연구 31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B. 연구 설계 = 34 C. 연구 단원 = 35 D. 연구 절차 = 35 1. 오개념 교정을 위한 학습 만화 개발 = 37 E. 검사 도구 = 40 1. 학업성취도 검사 = 41 2. 개념 검사 = 43 3. 인지 수준 검사 = 45 F. 자료처리 및 분석 = 4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7 A. 프로그램 개발 결과 = 47 1. 학습 만화 스토리 및 그림 = 47 2. 학습 만화 프로그램의 구성 = 48 B. 학습 만화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 검증 = 50 1. 개념 검사 결과 = 50 가. 수업집단별, 성별에 따른 개념 학습 효과 = 50 나. 수업집단별 분석 = 51 다. 성별에 따른 개념 검사 분석 = 53 (1) 여학생의 개념 검사 분석 = 53 (2) 남학생의 개념 검사 분석 = 55 (3) 실험 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 = 56 라. 인지수준별 분석 = 57 (1) 구체적 조작기 학생들의 개념 검사 분석 = 58 (2) 과도기 학생들의 개념 검사 분석 = 59 (3) 형식적 조작 학생들의 개념 검사 분석 = 61 2.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 62 가. 수업집단별 분석 = 62 나. 성별에 따른 분석 = 64 (1) 여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 64 (2) 남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 64 (3) 실험 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 = 65 Ⅴ. 결론 및 제언 = 67 참고 문헌 = 69 <부록 1> 개념 검사지 = 77 <부록 2> 학업성취도 검사지 = 81 <부록 3> 학업성취도 문항 내용 타당도 검사 = 87 <부록 4> 학습 만화 활용 수업 지도안 = 88 <부록 5> 학습 만화 및 만화 학습지 = 92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93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유전 단원의 학습을 위한 학습 만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Cartoon Program for Genetics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Eun-Jung-
dc.format.pageviii, 11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