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multimodal system on the communication
Authors
김정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Communication is a mutual process that two or more people exchange thoughts, ideas, behaviors, and facts. Most of the persons use speech to communicate, but speech defected people use other numerous methods, besides speech, to communicate with others. Since the 1990s, the Korean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ith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s the central figure, start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day, the research is expanding towards a more variety of fields of disabled students, bu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aided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children's communication board or electric aids. Researches focusing on the unaided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manual sig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insufficient. In fact,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apply unaided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communication board or conversation book to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n the other hand, several researches sugges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sing multimodal system such as manual sign or aided system. However, such researches focusing on multimodal system was not accomplished at home and there are only researches focusing on students with autism, who have severe learning disabilities, outside Korea. Hereupon, we would like to apply the multimodal system, which uses conversation books and manual signs,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learning disabilities, who could neither participate in classes nor se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the aided system. When considering the speaking and learning abilities of the severe disabilities, using both aided communication system and unaided communication system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since students with very low learning abilities can understand. This research was designed based on the educational plans to apply the AAC during classes and see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The intervention was made according to AAC training procedure. The research subjects are 17-18 aged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test b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three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Treatment was implemented 5 times per week during in class time. The intervention locations were the classroom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Generalization was measured for four days during the intervention to collect data and maintenance was measur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or four or five times in the same condition as previous. To examine the maintenance effect, 4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after 4 weeks. All of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procedure; behavior, function, and types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intervention of multimodal system using AAC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of cerebral palsied high school students during classes and such behaviors became generalized in situations outside of classes with others.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dition remained in higher quality than the beginning. Second, the intervention of multimodal system using AAC diversified the communication func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such changed functions became generalized with others and maintained in higher quality than the beginning. Third, as in communicative modes, the intervention of multimodal system using AAC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book and manual sign in cerebral palsied high school students. Such tendency became general with others and maintained in higher quality than the beginning. In the case of student three, the use of manual sign increased than the use of conversation book, but with students one and two, there were no huge differences in their communicat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timodal system using AAC increases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during classes and affects the communication function. Also, this research discussed the efficiency of the usage of multimodal system, which uses unaided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manual sign, and aided communication system in Korea's special education department.;의사소통이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태도와 생각, 사실과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는 상호적인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장애인들은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지만 의사소통 장애인들은 언어 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한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1990년대 이후 뇌성마비 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중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다양한 장애 영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판이나 전자도구 등의 의사소통 도구체계(aided communication system)를 이용한 연구들이며, 중등 시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손짓기호(manual sign)와 같은 비도구체계(unaided communication system)를 중재한 사례는 매우 부족하다. 실제로 인지장애가 있는 뇌성마비 학생에게 그림판이나 대화책(conversation book)같은 비도구체계를 적용한 연구는 적지만, 도구 체계와 손짓기호와 같은 비도구체계를 같이 사용하는 다중양식체계(multimodal system)의 효과와 필요성은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양식체계를 중재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국외에서도 인지능력의 제한이 심한 자폐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뿐이다. 이에 그동안 장애의 중증으로 인해 수업상황에서도 늘 소외되었고 도구체계를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에서도 큰 효과를 보지 못했던 인지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고등학생들에게 대화책과 손짓기호를 이용한 다중양식체계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는 중도장애학생들의 구어와 인지능력을 고려해 볼 때 도구체계만 사용하는 것보다 비도구체계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훨씬 낮은 수준의 인지능력으로도 이해가능하며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연스러운 학교수업상황에서 학생의 학습 목표에 따라 수립한 교수-학습계획안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중재는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하여 AAC 훈련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 중인 만 17-18세의 장애 학생 3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주 5회 국어교과시간에 실시하였으며, 중재 장소는 특수학교 교실과 특별 교실 등이었다. 일반화는 중재기간 동안 4회(4일)에 걸쳐 학급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점심시간에 실시하는 대상일반화와 상황일반화 자료를 수집하였고 유지는 중재 종료 4주 후 연속 4-5회기 동안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절차에 따라 전사하여 그 내용을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와 기능별 빈도 및 형태별 빈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는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구조화된 교과 수업 시간이 아닌 다른 대상과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는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의 기능을 다양화시켰으며, 변화된 기능의 다양성은 다른 대상과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는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의 형태(communicative modes)별 빈도에 있어서 대화책과 손짓기호 사용의 발생빈도는 모두 증가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대상과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형태별 빈도의 변화를 보면 학생 3의 경우는 대화책의 사용에 비해 손짓기호의 사용이 증가된 경향을 알 수 있었으나 학생 1, 2의 경우는 중재를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의사소통 형태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러한 경향은 일반화와 유지 시기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의사소통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의사소통 도구와 상징체계의 적용이 늘어가고 있는 최근 한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도구체계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형태뿐 아니라 손짓기호와 같은 비도구체계를 같이 사용하는 다중양식체계의 효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방법으로 효율적임이 제안되고 있는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국내의 특수학교 상황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