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정-
dc.creator이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72-
dc.description.abstract문자는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 없이 표현, 전달하려는 목적에 따라 발생하고 정비되었다. 먼 옛날 문명의 태동에서부터 오늘날의 문명으로의 발전에 대해서 문자를 제외하고는 언급할 수 없을 정도로 문자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인류 발전의 원동력인 여러 문자 중, 중국의 문자인 한자(漢字)는 특히 그 가치를 크게 인정받고 있다. 현존하는 최고의 실용문자로 인정받으며, 기본적인 형태의 변화 없이 3000여년 이상 존속해오면서 지금도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역사적, 사회·문화적 가치는 물론이고, 한자(漢字)는 형태의 특성상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회화문자에서 발전한 덕분으로 상형의 이미지를 갖고 있어, 한자 고유의 미적 요소 역시 그 예술성을 높이 인정받고 있다. 또한 서구에서는 오리엔탈 디자인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얼마 전 프랑스는 2004년을 ‘프랑스 속 중국의 해’로 지정하면서 중국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켰다. 이에 따라 세계의 명품 브랜드들이 중국풍 소재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태생적으로 조형미를 지니고 태어난 한자 역시 그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자(漢字)를 예술적인 관점으로 접근, 한자 고유의 미적요소를 모티프로 형상화 하여 의상에 접목시키고, 한자가 지닌 예술적 가치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은 첫째, 한자(漢字)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개념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금문(金文)의 개념과 변천 및 금문의 조형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셋째, 한자 문양과 복식 디자인에 대해서 한국의 전통복식과 현대복식으로 나누어 그 적용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넷째, 기계 자수 기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자수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현대 의상 디자인의 사례를 통해 그 재료와 기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총 8점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수용성 부직포를 응용한 자수기법으로 한자를 재구성, 적용하여 새롭고 다양하게 한자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는 사물의 모양을 그린 그림에서 발전하였으며, 자체 변화 과정이 다양하고, 글자 수가 많아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가 무궁무진하므로, 훌륭한 미적 창조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둘째, 수용성 부직포를 이용한 자수 기법은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실과 실의 접목, 실과 원단의 접목, 원단과 원단의 접목 등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자수기법과는 달리 재료 사용에 있어 한계가 적고 어떤 재료와 어떻게 매치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글자의 모양과 같이 구체적이면서도 섬세한 문양을 제작하는 데에도 적합하므로, 표현 방법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었다. 셋째, 어떤 재료로 모티프를 만들었는가에 따라, 평수를 어떤 간격으로 적용했는가에 따라 질감이 다르게 표현되었다. 넷째, 기본 패브릭이 줄어드는 정도는 평수의 밀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평수를 적용하는데 있어 식서방향과 푸서방향, 즉 바둑판 형태로 적용하여야 기본 패브릭에 균일한 표면질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한자를 적용함으로써 문양의 영역이 확대되고 고급화된 디자인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독창적이면서 감성적인 미의식을 갖고 한자를 응용한 문양을 새롭게 개발하려는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Characters have been generated and organized with a view to expressing and delivering ideas or emotion of human beings beyond time and space. Characters have portrayed such an important role as much as we cannot mention the development of today’s civilization from the creation of characters in the old times without referring to characters. In particular,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highly recognized with their value of diverse characters that were the driving force of the prosperity of human beings. It is because a worldwide character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lphabets and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re evaluated to be the oldest existing practical characters. In addition, since the creation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that are the oldest Chinese character system, Chinese characters have continued and influenced human beings over 3 thousand years while taking up an unrivaled position on the basis of grand Chinese culture. Likewise, Chinese characters have a hieroglyphic image as they have been created by taking after the shape of specific object. Therefore, an aesthetic element unique to Chinese characters is highly recognized with their artistic aspect along with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 This study is aimed to apply Chinese characters to costumes by uniquely expressing them with a free spirit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regardless of social promise or practical demand. The study methods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were accurately understood through general contemplation on Chinese characters. Second, the concept of golden characters, chronicle features, and shapes, which are the focus of this thesis were researched, and cases of introducing diverse characters to modern costum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rd, the concept of embroidery technique using water-soluble felt was defined, and the material and technique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s of modern costume design created by using water-soluble felt. Against such a theoretical backdrop, total 8 pieces of costumes were created. On the costumes, Chinese characters were expressed in creative and diverse ways by reorganizing and applying formative beauty to the existing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with embroidery technique using water-soluble fel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Chinese characters were developed from pictures where stuffs were realistically depicted on, and the procedures of self-change are various. Also, as the number of characters are many,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characters are infinite, therefore, Chinese characters could be the subjects of the creation of excellent beauty. Second, embroidery technique using water-soluble felt can create a unique atmosphere that is shown in handcrafted stuff unlike mechanically made stuff. Also, it was possible to make diverse and fertile expressions depending upon which material was used. Third, since embroidery technique by using water-soluble felt is appropriate for creating detailed and subtle shapes, we can expect expression methods extended. Forth, embroidery technique could create a new material and highlight unique features by adding secondary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cut out or quil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reborn as unique design by being applied with formative art called costume design through embroidery technique using water-soluble felt for expressing Chinese characters, and also,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development applying Chinese characters was proposed. Only when original and extremely sensitive aesthetic awareness is reborn as design, it can lead to the generation of high value added. I hope that an effort to create design with living sensitivity contin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2. 이론적 배경 3 2.1 한자(漢字)에 대한 고찰 3 2.1.1 한자의 기원과 특성 3 2.1.2 육서(六書) 5 2.1.3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사 7 2.2 금문(金文)에 관한 고찰 12 2.1.1 금문의 개념 및 역사 12 2.2.2 금문의 조형적 특성 13 2.3 한자와 복식 디자인 28 2.3.1 한자를 응용한 한국 전통 복식 디자인 사례 28 2.3.2 한자를 응용한 현대 복식 디자인 사례 35 3. 작품제작 38 3.1 기계자수의 일반적 고찰 38 3.1.1 기계자수의 개념 및 종류 38 3.1.2 기계자수를 응용한 현대 복식 디자인 사례 41 3.2 작품 제작 의도 45 3.3 작품 제작 방법 47 3.4 작품 및 해설 50 4. 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97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019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자(漢字)의 금문(金文)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Fashion Design With Application of Chinese Chracters-
dc.creator.othernameLee, So Jeong-
dc.format.pageⅸ, 10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