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84-
dc.description.abstract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연관성에 대한 문제는 한국사의 타율성론 극복이라는 측면에서 인적계보와 내적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많은 연구 성과를 얻었다. 그러나 두 사상이 사상적 조류를 이루었던 시기는 시간상으로 100여년의 차이를 두고 있으며 그 사이 조선의 국·내외적 상황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 상황적 변화는 필연적으로 각 사상의 변화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특히 대외관 중에서도 일본에 대한 인식은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19세기 개화 사상가들은 조선의 근대적으로 개혁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이적시해 왔던 일본을 모델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실학의 개방적 세계관이 개화사상에 이르러 더욱 발전적으로 계승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내적 관련성에 대한 연구로 대외관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일본관을 통해서 실학에서 개화로 한국 근대 사상이 발전적으로 계승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북학파의 사상은 개화파에게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에 북학파 학자 중 일본에 대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이덕무와 개화파 어윤중의 일본관을 이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고려하는 가운데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덕무는 직접 일본을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일본 서적과 사행원들의 전문을 통하여 일본을 연구 하였고 이러한 노력은 『蜻蛉國志』라는 일본 연구서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그의 일본관은 평소 교류하던 북학파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어윤중은 고종의 명을 받들어 ‘朝士視察團’으로 명치유신 이후의 일본을 견문하였으며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中東記』, 『隨聞錄』, 『財政見聞』등의 저술을 남기게 되었고 그의 일본관 또한 개화파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것은 어윤중의 사상이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변혁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덕무의 『청령국지』, 『앙엽기』, 『청비록』등과 어윤중의 『수문록』, 『재정견문』, 『종정년표』와 같은 주요 저술들을 분석하고 이를 정치·경제·사회·군사·외교·종교·문화로 세분화 하여 비교하였다. 이덕무와 어윤중은 개방적 세계관을 통한 새로운 대외 관념을 형성하였으며 이것을 통해 일본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을 면밀하게 살피는 가운데 자국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실용주의적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용주의적 태도는 결국 민족의 자존과 번영을 위한 부국강병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한편 이들의 일본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국제적 상황과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특히 경제, 군사, 종교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이었다. 즉, 이덕무가 주로 일본을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조선의 변화의 필요성을 논하는 것에서 그치고 있는 반면 어윤중은 이러한 일본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조선의 근대적인 개혁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실천적인 방안을 구상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즉 이것은 실학의 사상적 특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개화사상에 발전적으로 계승되고 있는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ubject about the relation of practical science thought and enlightenmemt thoght got a lot of study results by proceeding vigorously to the center of study about the human pedigree and the inner relativity in side of the heteronomy overcoming of Korean history. But, the time that two thoughts accomplished the idea tendency put the difference of 100-odd years by time and a lot of changes were appeared i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 of Chosun during the time. And these changes of circumstance caused the change of each thought necessarily. Specially, the realization for Japan was shown the biggest change among the external view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 about the inner relativity of the practical science thought and the enlightenment thought wished to analyze and to clear the writings for Japan of the northern school realist Deok-moo, Lee and the enlightenment school Yun-joung, Eo in order to search the view of Japan that showed the greatest change among the external views. And through this, I wished to confirm that Korean modernism is inherited constructively to enlightenment from the practical science. In chapter Ⅱ, these idea'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considering the periodical background, and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northern school thought and the practical science thought was researched. In chapter Ⅲ, these writings' characteristics that were filled the interest and the experience for Japan were tried to grasp in considering the private experience. In chapter IV, Deok-moo, Lee's 『Chongryongkukji』 and Yun-joung, Eo's 『Sumunrok』, 『Jaejongkyonmun』which were well shown the view of Japan specifically in their writings were analyzed. And these were itemized to 'Politics', 'Economy', 'Society', 'Militaries', 'Diplomacy', 'Religion', and 'Culture', and then were tried comparative analysis. Their views of Japan not only hold the common idea of the open view of the world and the pragmatic viewpoint, but also they were ended by a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for national self-existence and prosperity finally. That is, this may speak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science thought shows a section to be inherited constructively to the enlightenment thought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v Ⅰ. 序論 = 1 Ⅱ. 북학사상과 개화사상의 형성과 연관성 = 3 A. 이덕무의 북학사상과 어윤중의 개화사상 형성의 시대적 배경 = 3 1. 북학사상의 형성과 이덕무의 북학사상 = 3 2. 개화사상의 형성과 어윤중의 개화사상 = 9 B. 북학사상과 개화사상의 연관성 = 13 Ⅲ. 이덕무와 어윤중의 일본관 형성 배경 = 16 A. 이덕무의 일본에 대한 관심과 저술 = 16 B. 어윤중의 朝士視察團으로서의 활동과 일본관의 형성 = 19 Ⅳ. 이덕무와 어윤중의 일본관 비교 = 22 A. 政治觀 = 22 B. 經濟觀 = 24 C. 社會觀 = 31 D. 軍事 · 外交觀 = 36 E. 宗敎 · 文化觀 = 41 Ⅴ. 結論 = 48 參考文獻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91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역사교육-
dc.title李德懋와 魚允中의 日本觀 比較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Deok-moo, Lee and Yun-jung, Eo′s Perceptions of Japan-
dc.creator.othernameKim, Ji-yeon-
dc.format.pagevi, 5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