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영어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어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gital Portfoilo Assessment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이선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최근 언어 평가에서는, 기존의 표준화된 선다형 평가 방식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에 대한 대안적 평가로서 학습자들의 수행과 변화 과정을 중시하는 언어수행평가가 활발하게 도입 되어져 왔다. 다양한 언어수행평가 기법 중에서도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학습 활동의 모음집으로서 개개인의 변화, 발달 과정을 전체적이고도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자가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 과정을 평가해 볼 수 있으므로,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의 한 방법으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포트폴리오 평가의 장점 때문에 포트폴리오 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대다수가 읽기와 쓰기에 관한 연구로 한정되어 온 경향이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중시하며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위해 멀티미디어의 적절한 활용을 권장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동영상을 활용한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연구가 영어 교육 현장에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말하기 수행평가가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10명을 대상으로 총 5회의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실험 집단 54명에게는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고 통제 집단 56명에게는 교사 평가만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 말하기 능력 향상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집단 내에서는 유창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유창성, 적절성, 총괄적 영역에서 실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향상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실험 집단, 특히 실험 하위 집단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변화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험•통제 집단 일부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말하기 평가 발화와, 실험 집단 상•하위 일부 학습자들의 말하기 포트폴리오 발화를 전사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 학습자들이 정확성과 유창성 영역에서 꾸준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실험•통제 집단의 영어 학습 및 영어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 향상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 집단 내에서는 정의적 측면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험 하위 집단의 경우,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 욕구, 영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상위인지전략 등 가장 폭넓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하위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더욱 긍정적인 역류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실험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 설문과 면담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동영상을 통해 자신의 영어 말하는 모습을 직접 보는 것이 새롭고 흥미로웠으며, 자가평가를 통해 자신의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고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의 과반수 이상의 학습자들이 영어 시간에 가장 배우고 싶은 영역으로 말하기를 응답하였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에 대해서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이는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들의 말하기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게 해주고 동기를 부여해 주는 데 효과적이며, 학습자 주도적 학습을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말하기 수행 평가가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평가가 교육 현장에 활용된다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현대 교육에서 중시되는 학습자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함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ith the criticism on the traditional standardized testing, performance- based language testing which emphasizes not only on learners’ performance but also its process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Portfolio assessment, one of the alternative assessments, examines students’ achievement, improvement, and process such as goal setting and self-assessment through the collection of students’ works so that it hasbeen regarded as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learning and testing.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7th curriculum not only focuses on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recommends an appropriate use of multimedia to encourag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this research on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digital portfolio can be meaningful in the English edu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impact of digital portfolio assessment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five times' digital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was evaluated only by teacher. The main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in fluency and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progress the most over all. Second, it was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nscription of the students’ speaking performanc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continuous progress in accuracy and fluency through the feedback from teacher and self-assessment during the digital portfolio assessmen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affective area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over all and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statistical rise in interest,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meta-cognitive strategy. This result indicates that digital portfolio assess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aspects. Furthermore, analyz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students think digital portfolio interesting and helpful for self-assessment.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got interested in speaking English and thought utilizing digital portfolio in the class desirable. This means that digital portfolio helps motivate students to learn speaking and can be a good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digital portfolio has positi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If this assessment is applied to the English education field, it will be able to make contributions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the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but also for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important in the moder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