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리-
dc.creator박혜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이 창의성을 중심으로 권위의 수용, 자신감, 탐구심, 타인에 대한 의식, 적극적인 상상력 등에서 창의성 향상과 무용 교육의 효율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교과과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재구성 한 후, 무용을 전공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나누어 실험 집단에게는 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을 7주 동안 주 3회씩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전통적 무용 교육의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창의성 측정 도구로는 신뢰도 계수 .97를 가지고 있는 Khatena & Torrance의 창의적 성격 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001) 가 나타났다. 즉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창의성이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창의성 하위 영역인 자신감(P <.01), 탐구심(P <.05), 적극적인 상상력(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자신감, 탐구심, 적극적인 상상력의 영역에서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교육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권위의 수용, 타인에 대한 의식에 수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 지도안을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은 아동들의 다양한 영역을 개발시켜주며 동기 유발과 표현 욕구를 높이는데 긍정적일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함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은 무용 교육을 다양화 하게 함으로서 초등학교 무용 교육의 창의성 향상과 효율성을 검증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This study purpose at examining into the originality and efficiency that dance education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has an effect on the acceptance of authority, self-confidence, spirit of inquiry, awareness of others and active imagination. To attain its goal, it reconstructed an elementary dance curriculum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n it divided senior grade-schoolers, who make a specialty of dance,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fifteen and fifteen to conduct a dance education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for the former, and to make a traditional dance education for the latter, respectively, three times a week in seven weeks. It made use of personality inventory of reliability coefficient .97 originally surveyed by Khatena & Torrance to analyze the pretest-posttes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to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two groups in originality mean. In other words,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in originality mea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subcategories of originality - self-confidence (P<.01), spirit of inquiry (P<.05) and active imagination (P<.001) - statistically, which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in subcategories. Third, there is a numer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subcategories of originality - acceptance of authority and awareness of others, but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t is however effective, as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numerically. As mentioned above, it will be an affirmative method that develop juvenile various spheres to increase an inducement to an action and expressive desire, if it develop dance education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o apply to the educational spot. In addition, a lasting study on dance education and application to educational spot will play a part in verifying the originality and efficiency of elementary dance education by diversifying danc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E.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다중지능이론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 9 1. 다중지능이론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의 영역 및 특성 = 9 2. 다중지능이론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적용한 교수-학습 활동 = 22 B. 창의성 (Creative Thinking Abilities) = 25 1. 창의성의 개념 = 25 2. 창의성의 구성요인 = 31 3. 무용교육과 창의성 = 35 C. 다중지능이론과 무용교육 = 36 D. 선행연구 = 40 Ⅲ. 연구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연구 설계 = 42 C. 검사 도구 = 43 D. 연구 절차 = 44 E. 자료 분석 방법 = 51 Ⅳ. 연구결과 = 52 A. 창의성 평균을 통한 집단 간 창의성 비교 = 52 B. 창의성 하위영역 별 비교 = 55 Ⅴ. 논의 = 65 Ⅵ. 결론 및 제언 = 68 A. 결론 = 68 B. 제언 = 70 참고문헌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9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무용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Dance Education through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on Originality-
dc.creator.othernamePark, Hye-Rhee-
dc.format.pagev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