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원정-
dc.creator정원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예술 중, 고등학교의 전공실기 수업에서 무용교육을 실제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현장 교사들의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정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학년 및 전공, 경력 등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교사의 실제 교수행동유형과 학생들의 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5년도 현재 서울ㆍ전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 중ㆍ고등학교의 무용전공 학생으로 임의로 총350명을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설문지로 Chelladurai & Saleh(1980)가 개발한 스포츠 교수행동유형 척도(Leadership Scale for Sport : LSS)를 근거로 하여 조재기(1992)의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하였고, 학생만족에 대한 설문 문항은 다차원리더십 모형을 검증하여 일반화시킨 김병현(1989)의 연구에서 사용한 Chelladurai & Carron(1981)의 설문지와 리더쉽의 상황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Quinn(198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설문내용의 적합성, 적용가능성의 검토와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설문지로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학교급과 전공,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별로는 발레, 현대, 한국무용 순으로 긍정적 보상을 주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댄스스포츠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적 행동유형을 가진 교사는 댄스스포츠 전공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인식되었고, 다음으로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교사의 긍정적 행동과 권위적 행동에 대한 전공별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무용수업과정 중 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사가 어떤 행동을 강조하는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력에 따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인식은 무용경력이 오래될수록 긍정적 보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무용경력이 오래될수록 기량의 향상에 따른 긍정적 보상의 기회가 많이 주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학생들의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의 만족은 학교급과 무용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학년이나 전공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은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력이 오래 될수록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만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무용경력이 짧은 중학생이 다양한 기술 및 지도방법에 대한 요구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지도 훈련방법, 교수능력, 기술능력에 있어서 모두 무용교사가 연습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를 많이 나타낼수록 학생의 지도만족은 높아지고, 권위적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학생의 지도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적 교수행동인 권위적인 수업 분위기와 수업 시 교사의 사용언어, 권위적인 수업통제를 최소화하고 칭찬, 격려를 통한, 긍정적 보상, 동기유발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교수행동 등의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교수행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의 흥미와 관심, 동기 유발을 통하여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효과적인 수업이 어렵기 때문에 무용교사는 자신의 교수행동유형에 있어 긍정적인 교수행동을 통해, 수업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더불어 교수행동유형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따른 만족도 향상을 위해 언어적인 칭찬, 동기유발, 긍정적인 보상, 격려등과 같은 긍정적인 교수행동을 지향해야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nto inquir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based on the teaching behavior of teachers who actually deal with dance education in the major actual lesson of arts middle and high schools, along with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actual teaching 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nce teachers such as grade, major and career. It made random sampling of total 370 people out of students who specialize in dance at the arts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Jeonbuk region as of 2005. It made a survey with questionnaire of Jo Jai-gi (1992) based on the leadership scale for sport (LSS) developed by Chelladurai & Saleh (1980) for a teaching behavior type, and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of Chelladurai & Carron (1981) and Quinn (1983) through correction and complement after verification of propriety and reliability for students’ satisfaction. It made application of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0.0 to perform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students take big satisfaction in the teaching behavior of dance teachers based on the school level, major and career. And they take little satisfaction in it based on the grade, which there is no difference in grade.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their teaching behavior created more affirmative class atmosphere in school hou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strongly lead them to social support behavior that make much of warm human relations. They are satisfied with it based on the major in order of ballet, modern dance, Korean dance and dance sports for affirmative compensation, and in order of dance sports, modern dance, ballet and Korean dance for authoritative behavior. The more dance career of teacher is high,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it. That’s why it gives more chance of affirmative compensation by skill improvement. Second, it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e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school level and dance caree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hort dance career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high school students. That’s why the formers make little demand of various techniques and teaching methods. Third, it showed that they take big satisfaction in it that largely show a behavior of training and direction,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ut they take little satisfaction in it that mostly show an authoritative behavior. In the result, it will be difficult to get class results, if dance teachers fail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dance education through inducement of interest, concern and motiv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the former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through efforts – being of affirmative teaching behavior with the intention or creating class atmosphere, and that the latter change the teaching behavior into affirmative recogn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변인 및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D. 용어의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A.무용교육과 무용교사 = 8 1. 무용교육 = 8 2. 무용교사 = 10 B. 교수방법의 의미와 종류 = 11 1. 교수의 개념 = 11 2. 교수방법의 의미 = 12 3. 교수방법의 종류 = 15 (1)학생 주도식 = 15 (2)명령식 = 16 (3)자기학습식 = 16 (4)연습식 = 17 C. 지도 행동이론과 만족이론 = 18 1.지도행동의 개념 = 18 2.지도자행동 이론적 접근 = 18 (1)특성적 접근 = 18 (2)행동적 접근 = 19 (3)상황적 접근 = 20 (4)다차원적 접근 = 22 (5)LSS이론 = 24 3.만족의 개념 = 25 4.만족의 이론적 접근 = 27 III. 연구 방법 = 29 A. 연구 대상 = 29 B. 연구 방법 및 도구 = 30 C. 조사 절차 = 33 D. 자료의 분석 방법 = 33 IV. 연구 결과 = 34 1.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 = 34 2.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만족 = 39 3.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교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 42 V. 논의 = 46 Ⅵ.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1 ABSTRACT = 55 설문지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5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예술 중, 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by Teaching Behavior of Dance Teacher-
dc.creator.othernameJung, Won-Jung-
dc.format.page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