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애-
dc.creator송미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98-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communication ag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Internet, people are experiencing numerous soci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education must teach not only contents in textbooks but also abilities to cope with social changes and this requirement is even more urgent in industrial high school for raising technical experts. However, not many specific methods have been suggested on what and how to teach and learn. An alternative for effective teaching learning method in industrial high school is Web based education. This method is considered particularly applicable to the education of computer graphic education, which is a very important design subject in industrial high school.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teaching learning method of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that is suitable for industrial high school curriculum, reflects rapidly changing demands for communi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satisfies the desire for creative tools of students familiar with computer. For this purpose, we had a theoretical review based on literature on design curriculum in industrial high school,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education and relevant teaching learning models, and designed a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teaching learning program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of ideas. In addition, we gave classes for 5 weeks to 157 students in five 2nd year classes at Y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at Bongcheon dong, Seoul. The subject of the unit covered in the classes was school festival poster design, following the timetable of the semester at the high school.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lasses that taught how to develop and visualize ideas, prior and posterior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nd students’ designs were analyzed by two evaluators. SPSS version 13.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t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udents’ improvement in developing and visualization idea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Moreover,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between students’ improvement and their performance scored by the teac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ideas,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in fluency, originality and flexibility at significance level of 0.1% and in openness at significance level of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improvement in the visualization of ideas,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in the composition of forms, harmonious composition, adequate contents, formative expression, color composition and screen composition at significance level of 0.1%. In the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of ideas, the mean scores of all the items were less than 3.0 in the pre test but they were all higher than 3.0 in the post test.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made a progress in all item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the visualization of idea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collection and exchange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Web can give new diverse clues in developing design ideas. In addition, the use of the computer as a medium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in visualizing their ideas and expressing their thoughts using new too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of ideas and their performance scored by the teacher in relation to a number of variables, students’ scor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ideas (r=·0.864) as well as with their improvement in the visualization of ideas (r=0.887). That is, students who achieved high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of ideas got a higher score in their design perform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improvement is in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ir performance scored by the teacher and the teacher’s evaluation is highly reliable. Accordingly, the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teaching learning method using the active, practical and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Web and the computer has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teaching learning method applied in industrial high school is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development and visualization of ideas. Thus, the Web based program needs to be utilized for computer graphic design education in industrial high school, and should be studied further with high interest.;오늘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시대는 정보와 지식의 팽창으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식사회에서는 교육에 있어서도 교과 내용만을 가르치는 것 보다는 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 일이 더 시급하며, 이러한 교육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업계고등학교에서 더욱 절실하다.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제시는 많지가 않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웹 기반 교육으로, 실업계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지도 방법의 하나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 전문교과로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컴퓨터그래픽디자인 학습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적합하며,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컴퓨터에 친숙한 학생들에게 창작도구로서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업계고등학교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교육과 교수-학습 모형에 대하여 문헌을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 중점을 두어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또한, 서울시 봉천동에 위치한 Y여자상업고등학교 2학년 5학급 157명을 대상으로 하여 5주간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단원학습 주제는 Y여자상업고등학교 학기별 계획 일정에 맞춰 학교축제 포스터디자인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의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의 설문조사와 작품평가 기준에 따라 2인의 평가자가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ver 13.0을 사용하였고, 사전과 사후의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서의 향상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의 향상도와 교사의 평가점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이디어 전개의 문항별 사전과 사후의 향상도를 분석한 결과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모두 유의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개방성에서는 유의수준 1%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시각화 과정의 문항별 사전과 사후의 향상도를 분석한 결과 형의 구성, 조화로운 구성, 적절한 내용, 형태표현, 색채구성, 화면구성에서 모두 유의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서 사전의 경우 모든 문항의 평균이 3.0~3.0이하였으나, 사후에서는 모두 3.0이상으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볼 때,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의 모든 항목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웹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교류와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으로 인해, 아이디어 전개에 있어서 참신함과 다양함을 줄 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매체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도구를 이용한 창작활동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주고, 다양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음을 알 수 있다. 학생의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서 사전과 사후 향상도와 교사의 평가점수간의 상관관계를 각 변수별로 분석한 결과, 아이디어 전개 간에는 r=·0.864, 시각화 과정 간에서는 r=0.887로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서 사전과 사후의 향상도가 높은 학생들이 교사의 작품평가 점수도 높았다. 이를 통하여 볼 때, 학생의 사전과 사후의 향상도와 교사 평가점수 간에 유사한 관련이 있으며, 평가에 있어서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웹의 능동적, 실제적, 상호작용적인 특성과 컴퓨터라는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의 향상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합해보면, 실업계고등학교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지도 방법은 학생들의 아이디어 전개와 시각화 과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업계고등학교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육에서 웹 기반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하며, 많은 관심과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2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 교육 = 5 1.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 5 2.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 교과내용 = 8 B. 웹 기반 교육과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육 = 9 1. 웹 기반 교육 (Web based Education) = 9 2. 컴퓨터그래픽디자인 (Computer Graphic Design) = 12 3.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 15 C.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모형 = 17 1.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과 분석 = 17 2.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 모형 = 21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및 절차 = 25 B. 연구도구 = 26 1. 수업도구 = 26 2. 평가도구 = 35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4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3 A. 연구결과 = 43 1. 학생 설문지 분석 = 43 2. 교사 작품평가지 분석 = 48 3. 학생향상도와 교사평가간의 상관관계 분석 = 49 B. 논의 = 52 Ⅴ. 결론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58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3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실업계고등학교 웹 기반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수-학습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Web based Computer Graphic Design in Industrial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Song, Mi-ae-
dc.format.pagei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