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주현-
dc.creator백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0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전자 정보통신의 발달은 사회를 급격하게 변화 시켰으며 빠른 정보의 흐름과 공유로 현대인의 의식 흐름을 바꿔놓았다. 방대한 양의 정보가 뒤섞이고 사용자간의 의사소통이 용이해지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개성표출과 감각표현의 수단이 되고있는 패션 코디네이션의 정보화를 통해 이제까지 수동적이고 과학적이지 못한 프로세스를 거쳐 성립되었던 창작과정을 체계화 하는 논제를 연구하였다. 이에 다양한 감성과 개성을 지닌 현대인의 의식에 발맞추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이미지 성립의 열쇠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패션 코디네이션의 개념과 역할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TV속 주인공의 인물 분석을 통해 형용사를 추출, 그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하여 패션 스타일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을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용사를 추출하여 키워드를 만들고 이미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을 할 수 있었다. 둘째, 포지셔닝을 통한 맵 작업 에서 얻은 패션 스타일 패턴을 토대로 Data Base를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 스타일의 전자 정보 시스템 구축으로 보다 과학적인 이미지 창작 작업인 패션 코디네이션이가능했다. 정보와 문화교류의 장인 전자 정보통신은 빠르게 변화하고 세계적으로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형성되는 트랜드에 능동적으로 대처 해야 하는 패션 과 이미지창출 산업에 가장 적합한 분야일 것이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과정의 특성상 정보화가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었음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미지 창출 산업의 한 분야인 패션 코디네이션의 이미지 정보화 연구를 통해 패션 스타일리스트로서의 코디네이터들에게 이미지 생산자와 수용자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교류가 가능해 질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앞으로 전망되는 새로운 개념의 이미지 창출에 앞장설 수 있기를 바라며 이미지 창출 분야에 학문적이며 과학적인 접근 방식이 제안되어야 한다.;The recent development of electronic information communication rapidly changed society and transformed the moderns’consciousness through fast flow and sharing of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automat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reation process which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passive and non-scientific process so far through information innovation of fashion coordination, a kind of the image industry based on emotion in information society where vast amount of information are mixed and communication among users is becoming easier. The study aims to suggest keys for establishing more exact and prompt image according to the moderns’ consciousness containing various emotions and individualities.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d fashion styles by examining emotional expression and clothes’ emotion, extracting adjectives through character analysis of heroes and heroines in TV, and conducting a survey using the appropriate keywords. From this study backgr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irst of all, keywords could be deduced and positioned through extracting adjectives. Secondly, data base could be arranged based on fashion style patterns obtained from map work through positioning. Thirdly, fashion coordination, more scientific image creation work, was possible through establishing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for fashion style. Electronic information communication, a place of exchanging information and culture, is the most appropriate area for the fashion and image creation industry that should actively cope with trend which is rapidly changing and formed internationally simultaneously.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has been a difficulty of information innovation because the fashion and image creation industry is conducted manually. Hence, the current study expected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exchange creatingsympathy among image producers and consumers will be possible with breaking the existing process which depended on stylist’s subjective opinion, through studying image information of fashioncoordination, a part of the image creation industry. Further,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a signal to lead the creation of new concept im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4 1.3. 연구의 방법과 내용 = 5 2. 이론적 배경 = 8 2.1. 용어정의 = 8 2.2. 코디네이터의 기능과 활동 = 11 2.3. 패션 코디네이터와 방송연예 = 15 3. TV드라마에 나타난 인물유형 분석 = 19 3.1. 분석 대상의 선정 = 19 3.1.1. 분석대상 = 19 3.1.2. TV드라마속 여성 등장 인물 유형분석 = 22 3.2. 유의어 및 대표 형용사 선정 = 26 3.2.1. 형용사의 사전적 정의 및 사용빈도수 측정 = 28 3.2.2. 유의어 및 대표 형용사 선정 = 32 3.2.3. 요인분류 = 33 4. 이미지 형용사와 패션 코디네이션 = 35 4.1. 이미지 포지셔닝 = 35 4.1.1 개인 스타일리스트팀 = 39 4.1.2. 의상학원 강사팀 = 40 4.1.3. 가수 스타일리스트팀 = 41 4.1.4. 방송국 프로그램 스타일리스트팀 = 42 4.1.5. 패션학과 대학원생팀 = 43 4.2. 패션 코디네이션 이미지 정보시스템 제작 = 44 4.2.1. 메뉴 구성 = 44 4.2.2. 이미지구성 = 47 4.2.3. 패션코디네이션 정보시스템 제작 = 48 4.2.4. 정보시스템 구성 = 48 4.2.5. 이미지 정보시스템 사용법 = 49 4.3. 이미지 형용사별 정보 = 52 4.3.1. 『밝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2 4.3.2. 『귀엽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3 4.3.3. 『대담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4 4.3.4. 『순진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5 4.3.5. 『부유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6 4.3.6. 『여성스럽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7 4.3.7. 『도도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8 4.3.8. 『세련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59 4.3.9. 『섹시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0 4.3.10. 『얌전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1 4.3.11. 『화려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2 4.3.12. 『터프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3 4.3.13. 『자신감 있다 』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4 4.3.14. 『순수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5 4.3.15. 『엽기발랄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6 4.3.16. 『쿨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7 4.3.17. 『야심있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8 4.3.18. 『총명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69 4.3.19. 『명랑하다』의 이미지 정보 시스템 = 70 5. 결론 = 71 참고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01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패션 코디네이션을 위한 이미지 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age Information System for Fashion Coordination -Focusing on character patterns of heroines in domestic TV dramas-
dc.creator.othernameBaik, Joo-Hyon-
dc.format.page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