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Title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Based Education-As Shown in the Art Textbook for Grades 3 and 4 at Elementary School-
Authors
윤소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로 국가 간의 지리적, 문화적 장벽은 점점 낮아지고 기술경쟁력 또한 점차 좁혀지며 세계화된 경제시장은 무한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시대에 우리나라가 처한 경제적 위기상황을 타계하기위한 원동력으로 많이 지목되는 것이 디자인이다. 현대국가의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디자인은 국가에게도 생존의 필수조건이 되어간다. 우리나라도 미래의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일차적 방안으로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제도권 안에서의 디자인 조기교육에 대해 주목하여야 할 시기이다. 디자인은 어떠한 문제를 과학적, 합리적인 사고로 해결해나가는 실용적이며 창조적인 학문이며 예술과 함께 과학과 같은 순수학문과 문화와 같은 응용학문을 통합하는 성격을 가진 종합적인 학문이다. 따라서 교육은 잠재력과 호기심이 왕성한 초등과정에서부터 올바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합리적인 디자인교육은 창의력뿐 아니라 응용력과 사고력을 활발히 하여 학생의 우수한 자질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이 학교 정규과정에서 처음으로 교육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일반교육으로서의 디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현행되는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를 교육의‘내용영역 분석’과‘행동유형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초등미술 교과서 안에 수록된 예시작품의 내용영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1)미적ㆍ상징적 표현영역/ 2)실용적ㆍ기능적 수행영역/ 3)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으로 세분화 하였다. 내용영역 분석결과 1)미적ㆍ상징적 표현영역은 3학년 46.1%, 4학년 56.7%로 나타났으며 2)실용적ㆍ기능적 수행영역은 3학년 37.3%, 4학년 31.7%, 3)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에 대하여 3학년 16%, 4학년 11.7%로 구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은 미적ㆍ상징적 표현영역, 실용적ㆍ기능적 수행영역의 비중이 크고 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으며 이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적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이 요구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할 때 이 영역은 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영역은 제7차 미술교과서내의 예시작품을 행동유형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디자인 관련 예시작품의 ‘행동유형’ 분석에서는 다른 행동유형에 비하여 '탐구'행동 관련 수와 '협동' 행동 관련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디어와 실험이 필요한 하는'탐구' 행동은 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탐구행동을 중심교육에서 과학적ㆍ공학적 응용영역의 교육에 대한 잠재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협동'과 관련된 참고 작품 수도 적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특성이 개념적 사고와 인지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라고 볼 때, 초등학생들에게 '탐구'와 '협동'으로서의 인지적 행동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행동을 강조하는 것은 지나친 것이 아니다. 그러나 국내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내용 영역은 전통적인 미술 교육의 한 부분으로만 다루어지고 있어, 그 내용 영역의 범위나 행동 유형에 있어서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도출하는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해하기 쉬운 주제를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문제해결 과정중심으로 구성원간의 상호 대화와 토론을 통해 협력적이고 합리적인 문제해결방식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과정의 디자인교육은 미술교육의 한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영역과 내용들을 포괄하는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개발되어야 하겠다.;As science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dvancing,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barriers among nations are lowering, while the globalized market stands amidst an unlimited competition as the technological gap among nations is also narrowing. In this era of competition, the key feature that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give Korea an edge in the competition is design. Design, which now affects economy of modern nations greatly, has become an essential condition for survival of a nation. It is time for Korea to concentrate more systematic efforts into teaching students design within the majority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human resources as the primary step toward increasing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Design is an area of study which integrates practicality of scientific, rational thoughts, creativity, authenticity of both arts and science, and applicability of cultural studies. Therefore,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elementary level of students, who have infinite curiosity and potential. Arational design education not only elevates creativity, but also provokes students to think more, updating the excellent qualities that are already inherent in students. The study has conducted analyses of ‘contents’ and ‘behavior’ in the art textbook of the 7thCurricula for Grades 3 and 4 at elementary school, during which time design is first introduced in a regular school curriculum for students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examples shown in the elementary art textbook, the contents were grouped into: aesthetic and symbolic expressions; useful and functional performances;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have appeared as follows; the aesthetic and symbolic expressions were 46.1% for third graders, 56.7% for fourth graders; the useful and functional performances were 37.3% for third graders and 31.7% for fourth grader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 was 16% for third graders and 11.7% for fourth graders. As these outcomes show, the elementary art text books focus more on aesthetic/symbolic and useful/functional aspects, and the scientific/technological aspects have smaller proportionin art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The por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spects tends to reduce as the grade is higher. Considering tha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are necessary to solve problems derived from demands, such aspects are important in art education. The second area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the examples in the art textbook of the 7th Curricula in measure of behavior. The behavior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vestigative’ and ‘cooperative’ behavioral aspects were small in proportion to other types of behavioral aspects. Examples related to ‘investigative’behavioral aspect, which requires creative ideas and experiments, can be found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 and this shows an educational potential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 which values investigative behavior. The behavioral analysis also showed the reduced proportion of ‘cooperative’ behavioral aspects. Considering that the art education at elementary level is to develop abstract thinking and cognition, it is not over-reaching to emphasize the investigative and cooperative aspects of cognitive behavior and social responsibility on elementary students. Nevertheless, the content of the Korean art education at elementary level is considered only as part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thus, does not have diversity in its contents and behavioral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that induces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integrative and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has sought to suggest a new type of programs that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based on subjects that are comprehensible for students and teach cooperative and logical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Desig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to more detailed, practical education that includes diverse contents and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oday’s demand, not just as a part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