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7 Download: 0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창작 지도 방안

Title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창작 지도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f Creative Elementary School Music Instruction based on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Authors
최고운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활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창작 학습 활동을 위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성의 의미와 음악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브루너의 교육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행위적․영상적․상징적 영역으로 이루어진 표상 이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의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을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활동 영역 중 창작 영역을 중심으로 행위적․영상적․상징적․통합적 영역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의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의 교육과정은 행위적 영역을 통해 제시되는 경우가 많고, 고학년의 교육과정은 상징적 영역을 통해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저학년의 교육과정에 적합하지 않은 높은 수준의 상징적 영역이 기본적인 배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났다. 셋째, 행위적․영상적․상징적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통합적 영역의 빈도수가 현저하게 적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행위적․영상적․상징적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통합적 영역을 활용한 창작 지도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음악의 기본 요소를 익히는 과정에 있어서 주어진 리듬을 신체적으로 표현하기(행위적 영역), 시각적, 공간적 감각을 이용하여 리듬의 길이 알기(영상적 영역), 음표를 통해 리듬의 길이를 아는(상징적 영역)과정을 통합한 형태를 적용하였다. 둘째, 가락선 악보를 학습하고 가락선을 따라 신체적 표현을 하고(행위적 영역), 표현하고자 하는 가락을 가락선 악보를 통해 나타내고(영상적 영역), 마지막으로 가락선 악보를 선율로 나타내는(상징적 영역) 과정을 통해 창작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지도 방안은 여러 지도 방법 중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교사의 창의적인 노력으로 응용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브루너의 표상 이론을 활용한 창작 지도 방안이 음악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고 교사들의 체계적인 창작학습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in analyzing the comprehension and activity contents set forth by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edit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and thereupon, explore creative music guides that encompass creative learning activity.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application withi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Bruner’s general theory on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Theory of Representation and its three realms; enactive contents, iconic contents, and symbolic contents, was examined in detail. Furthermore, the analysis of comprehension and activity contents from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was based on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where the analysis of activity contents focused on issues relating to creativity and the three realms of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prehension and activity contents of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music curriculums of lower grades frequently display enactive contents whereas curriculums of higher grades tend to exhibit more symbolic contents. Second, difficult symbolic contents not suited for lower grades were being included in their curriculums without previous basic education in place. Third, an integrated content that combines enactive, iconic, and symbolic contents were occurring in the curriculum in far less frequ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n alternative guideline for a creative music teaching that utilizes integrated content is being suggested. First, familiarize the basic music elements by means of physically expressing the given rhythm(enactive contents), be acquainted with the length of a rhythm using one’s visual and spatial senses(iconic contents), and through learning musical notes(symbolic contents) learn the length of a rhythm as well. Second, learn melodic line scores and physically express melodic lines accordingly(enactive contents), display melodies via melodic line score(iconic contents), and express melodic line score using melodies(symbolic contents). Specific guidelines suggested thus far are only few of many possible teaching methods and for these guidelines to be truly effective, an instructor’s efforts to adapt and lay out creative applications are highly recommended. Lastly, it is hoped that the creative music guides suggested by this study applying Bruner’s Theory of Representation will contribute to students’ active and creative music learning as well as to instructors’ systematic guidance of creative music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