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과제 중심 요구 분석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과제 중심 요구 분석
Other Titles
Task-Based Needs Analysis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송지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umber of foreigners willing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recently, especially around non-Seoul area. According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se foreign students to make them adjust to Korean university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educa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and review target academic tasks that can be used in real time Korean class effectively.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following. In chapter I, I describe the necessity and object of this research, and review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y subject. By doing so, I found out that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explaining the typical linguistic features and structures of Korean academic texts or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analysing needs of the foreign students. But even in the cases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apply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was almost obsolete, as tasks were not the main objects of discu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by suggesting task as a unit, I find out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asks. In chapter 2 we study the background in which task based syllabus was introduced, by introducing syllabus theory focusing on synthetic approach and analytic approach. Then, we examine the nature and detail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chapter 3, I show that the unit of needs analysis should be task, and suggest procedure and method of analysis to collect more realistic and exact result materials. In this paper, I used both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qualitative research, I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foreign students beforehand, finding out their difficulties. Based on these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 I made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for 147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ies around Daejeon, and Chungnam area. In chapter 4, I describ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respondents, I asked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how much Korean proficiency they think is minimally needed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Regarding target tasks, I reviewed the each ranking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difficulty of tasks. After that, I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demands for the tasks vary according to the majors or Korean level of respondents. The major results by my analysis are following. Firstly, 90.48% of respondents were Chinese nationals and about 70% of respondents started their college lives with Korean level 3 or lower, making a big difference with foreign students in Seoul area. It implies that Korean education should adapt to the needs of students and areas. Secondly, the respondents think that the Korean proficiency minimally needed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was level 4. Considering the fact that time to learn Korean is limited when entering college is premised, such demands for targe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hirdly, foreign students' demands for target task were mostly 3 or higher, meaning that they were rather high. However, the task importance and the task difficulty showed totally different aspects; while foreign students consider tasks regarding receptive comprehension such as listening to lectures important, they consider writing reports hard. This result shows that we should consider both importance and difficulty, when we develop pedagogic task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Fourthly, the majors of foreign students were irrelevant to the extent that they demand the tasks. It seems that such a result came out as I limited the scope of tasks to Korean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Korean level affects on the tasks; the higher Korean level students finish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the less hardship they find in doing tasks, and the result was meaningful. The ultimate goal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to accomplish their study at university by performing several academic tasks successfully. So this study which finds out the extent to the students' needs of target task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and choosing pedagogic task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최근 들어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지방의 대학들을 중심으로 두드러지며, 이에 따라 이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대학 문화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제 중심 언어 교수(TBLT)에 입각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제안하고, 보다 효과적인 과제 중심 수업을 위해 한국어 교실에서 반영해야 하는 실제 학문적 과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를 주제별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요구 분석을 통해 개괄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거나 학문적 텍스트의 언어 구조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요구 분석이 실시된 연구들에서도 과제는 주된 논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어, 과제 중심 언어 교수의 적용을 모색한 실제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제를 단위로 제시함으로써 과제의 중요성과 어려움에 근거한 유학생들의 요구 정도를 밝혀보기로 하였다. II 장에서는 종합적 접근법(synthetic approach)과 분석적 접근법(analytic approach)에 따른 기존의 교수요목 이론들을 제시함으로써 과제 중심 교수요목이 등장한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성격과 내용을 고찰하였다. III 장에서는 요구 분석의 단위가 과제가 되어야 함을 밝히고, 보다 실제적이고 정확한 결과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연구 절차와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는데, 질적 조사로는 외국인 유학생들과 자유로운 면접 형식의 예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여러 실제적인 과제들과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양적 조사로서의 본 조사는 예비 조사 결과와 문헌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대전, 충남권 대학의 유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과제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IV 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서술하였다. 현황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학업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한국어 실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 질문하였다. 실제 과제와 관련해서는 중요성과 어려움으로 나누어 각각의 순위를 살펴본 후, 전공과 입학 전 최종 한국어 급수에 따라 과제에 대한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요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설문에 응한 유학생 중 중국 국적의 학생이 90.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입학 전 한국어 학습과 관련해서도 3급 이하만을 수료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70%로 나타나 서울 지역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의 상황과 학습자 요구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학생들에게 대학에서의 학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최소한의 한국어 실력에 대해 물어본 결과 4급 정도에 해당하는 한국어 실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입학을 전제한 경우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기간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같은 목표점에 대한 요구는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 셋째, 실제 과제에 대한 유학생들의 요구는 대부분이 평균값 3 이상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과제의 중요성과 어려움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유학생들은 강의 듣기 등 수용적 이해와 관련된 과제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데 반해, 어렵게 느끼는 과제들로는 보고서 등의 쓰기와 관련된 과제들을 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용 과제를 개발할 때, 과제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모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유학생의 전공은 과제에 대한 요구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일반적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전제로 과제의 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어 급수는 과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높은 급을 수료하고 입학한 유학생일수록 대부분의 과제에 있어서 어려움을 적게 느끼고 있었고, 그 차이는 유의미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궁극적인 목적이 성공적인 학업 수행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과제들에 대한 요구 정도를 밝히는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교육용 과제의 개발과 선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