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현정-
dc.creator신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시제 및 양태 범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두 문법 항목인 ‘-겠-’과 ‘-(으)ㄹ 것이’를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중간언어에서 나타나는 변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겠-’과 ‘-(으)ㄹ 것이’의 의미 범주에 따른 단편적인 오류 분석 또는 시제나 양태 관련 연구의 일부로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겠-’과 ‘-(으)ㄹ 것이’의 선택과 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제약 조건들을 고려하여 일본어 학습자, 중국어권 학습자,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과제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변이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겠-’과 ‘-(으)ㄹ 것이’와 관련된 연구 및 변이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학습자 중간언어의 개념과 특징들, 그리고 변이의 원인을 언어적 맥락, 과제 유형, 모국어의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겠-’과 ‘-(으)ㄹ 것이’에 관한 특징과 국어학적 논의들을 검토한 후 한국어 교육학적 논의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들에서 이 두 문법 항목들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방법들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피험자 선정에 관하여 숙달도, 모국어, 학습기관 및 교재를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겠-’과 ‘-(으)ㄹ 것이’를 대상으로 분석하려고 하는 영역의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방법에 있어서 실험 도구로 사용된 세 가지 과제들에 대한 설명과 실험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통계적 처리 방법도 소개하였다. IV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실험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겠-’과 ‘-(으)ㄹ 것이’의 사용에 따른 학습자 중간언어의 변이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론에서 크게 언어적 맥락, 과제 유형 그리고 모국어에 의해 변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는데 이 장에서는 과제 유형별 정답률 차이 그리고 과제 유형에 따른 언어권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보고 언어적 맥락을 통사적 제약과 판단의 근거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 유형 별 ‘-겠-’과 ‘-(으)ㄹ 것이’의 사용에 따른 정답률은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구두 인터뷰, 번역 과제 순으로 구두 인터뷰의 정답률이 가장 낮을 것이라 가정했던 것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언어권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구두 인터뷰에서 언어권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일본어 학습자들의 정답률이 가장 낮을 것이라고 가정했으나 분석 결과 일본어 학습자들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영어권 학습자, 중국어권 학습자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맥락에 의한 변이 중 통사적 제약에 따른 변이는 [의지·의도] 범주의 정답률이 [추측]의 범주보다 더 높게 나왔으므로 본 연구의 가설과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칭과 동사의 종류에 따른 분석에서 언어별로 정답률을 살펴보았는데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정답률은 다른 두 언어권 학습자들의 정답률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추측] 범주에서 판단의 근거에 따른 변이를 살펴본 결과 ‘-겠-’보다는 ‘-(으)ㄹ 것이’의 사용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겠-’과 ‘-(으)ㄹ 것이’의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을 간단하게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모국어를 배경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겠-’과 ‘-(으)ㄹ 것이’를 선택하고 사용할 때에 과제 유형에 따라 변이가 나타나는 것과 언어적 맥락에 따라서도 변이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의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해 ‘-겠-’과 ‘-(으)ㄹ 것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실험적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구축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terlanguage(IL) vari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in both tense and aspect.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have been primarily studied to analyze learners' errors in their written or oral productions and studied as a part of a study of tense or asp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t respect, previous research has overlooked the important interlingual features between learners' L1 and L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ooperation of Japanese, Chinese and English-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 subjects through three tasks: an oral interview,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nd translation. Then, this research analyzed the IL variation that occurred in the subjects' selection and use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in the three different tasks. In this study,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present study, and examines the study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as well as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variation studies. Chapter II examines the conceptions and features of IL variation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n, it considers the causes of IL variation which are affected by linguistic context, task type, and L1. This chapter also presents the arguments considering the selection and use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as an interlingual feature between learners' L1 and L2 with an analysis of these two grammatical elem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III introduces the procedure and boundary of this research and pres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Chapter IV present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IL variation in the selection and use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ranslation had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Unlike the other two tasks, the oral interview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L1 and L2. The Japanese subject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hereas the Chinese-speaking subjects had the lowest percentage.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which has the meaning of an intention or a will in the first- and the second-person interrogative sentence, was higher than those of a supposition or a presumption. Additionally, it seems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had difficulty in using ‘-(u)l kesi[(으)ㄹ 것이]’ more than ‘-kess-(겠)’. In conclusion, this present study showed that IL variation differs in linguistic context, task types, and L1.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s well as for learners since it provides theoretical evidence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findings in order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in selecting and using ‘-kess-(겠)’ and ‘-(u)l kesi[(으)ㄹ 것이]’.-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Ⅱ. 이론적 배경 = 10 A. 중간언어와 변이 = 10 1. 언어적 맥락에 의한 변이 = 15 2. 과제 유형에 의한 변이 = 17 3. 모국어에 의한 변이 = 19 B. ‘-겠-’과 ‘-(으)ㄹ 것이’의 특성 = 21 1. 국어학적 논의 = 21 2. 한국어 교육학적 논의 = 27 Ⅲ. 연구 방법 = 33 A. 피험자 선정 = 33 B. 문법 항목 ‘-겠-’과 ‘-(으)ㄹ 것이’ 선택 기준 = 35 1. 통사적 제약에 따른 비교 영역 = 35 2. 판단의 근거에 따른 비교 영역 = 37 C. 자료 수집 방법 = 40 1. 실험 도구 = 40 가. 구두 인터뷰 = 40 나. 문법성 판단 테스트 = 41 다. 번역 과제 = 42 2. 예비 실험 = 42 3. 본 실험 = 43 D. 분석 방법 = 43 1. 유효화 기준 = 43 2. 통계 처리 방법 = 44 Ⅳ. ‘-겠-’과 ‘-(으)ㄹ 것이’ 사용에 의한 변이 = 45 A. 과제 유형에 의한 변이 = 45 1. 과제 유형별 정답률 비교 = 45 2. 과제 유형에 따른 언어권간 차이 = 51 가. 문법성 판단 테스트 = 52 나. 번역 과제 = 58 B. 언어적 맥락에 의한 변이 = 64 1. 통사적 제약 조건에 따른 비교 = 64 가. [의지·의도]의 범주에서 ‘-겠-’과 ‘-(으)ㄹ 것이’의 사용 비교 = 65 나. [추측]의 범주에서 ‘-겠-’과 ‘-(으)ㄹ 것이’의 사용 비교 = 69 2. 판단의 근거에 따른 비교 = 76 C. ‘-겠-’과 ‘-(으)ㄹ 것이’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79 Ⅴ. 결론 = 82 참고 문헌 = 86 부록 = 91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9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들의 '-겠-'과 '-(으)ㄹ 것이' 사용에 나타난 중간언어 변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rlanguage Variation in the use of'-kess(겠)-'and'-(u)l kesi[(으)ㄹ 것이]'-
dc.creator.othernameShin, Hyun-Jung-
dc.format.pagev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