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이슬람타일문양을 응용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

Title
이슬람타일문양을 응용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Hand-bag Design with Application of Islamic tile patterns on Beading Technique
Authors
임보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슬람 타일의 문양의 그 바탕은 유대교나 그리스도교 및 이방종교의 요소를 기이하게 혼합하여 만든 것이며, 우상숭배를 금지하는 회교 교리에 의해 인간, 동물 등의 구상적인 주제에 의한 장식은 지양한 반면, 상대적으로 식물, 문자, 기하학적 도형 등을 주제로 한 추상적 형태의 장식기법이 매우 발달하였다. 건축의 경우 벽, 바닥, 돔 등의 표면을 주로 모자이크 기법에 의해 복잡하고 화려한 아라베스크 문양과 추상적인 형태의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하였으며, blue는 이슬람 타일의 대표적인 색상으로 상징되었다. 이와 같은 이슬람 타일의 문양은 이슬람교를 바탕으로 이러한 오랜 역사적 정통성과 주체적 문화의 계승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이슬람 문화는 극히 드물다. 특히 건축의 대표적인 장식매체인 타일에 나타난 문양을 패션에 제시하였던 디자이너 또한 많지 않았다. 또한 현대사회는 민족, 지역, 개인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소외되었던 제 3세계의 문화를 패션에서 반영하는 흐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 재조명된 민족 고유의 모티브는 새로운 소재와 기법들과 더불어, 단순한 재현이 아닌 참신한 상상력을 동원한 동시대적이고 재창조된 소재와 기법의 연구가 패션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한편 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인간의 자기욕구 충족과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의 미의식은 시대적 조형의지를 보이며 발달하였는데, 핸드백에서는 소재, 문양 등의 장식적 요소로 표현되어 왔다. 핸드백은 단순히 장식 역할에 그쳤던 의상의 종속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점차 의상과 조화를 이루어 토탈 패션으로서 그 비중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문양을 미적으로 발현하여 다양화, 개성화가 요구되는 시대에 있어서, 핸드백이란 소지품을 넣고 의복에 액센트와 변화를 주는 단순한 기능성과 장식성을 넘어, 자기표현의 도구로 한 시대의 풍습과 유행을 나타내는 의미표현수단으로서 무한한 감각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장식적인 디자인의 역할을 해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슬람타일 문양 중 일정한 패턴이 유기적으로 반복되면서 형태미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문양과 복잡하고 화려한 식물 문양을 복합적으로 비딩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핸드백 디자인 개발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 주는데 있다. 또한 오늘날의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모티브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이슬람 타일의 문양을 중심으로 특징을 분석하였고, 핸드백의 장식으로 활용될 비즈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핸드백의 역사 및 정의, 핸드백의 종류를 정리하였고, 현대 패션의 핸드백 디자인을 살펴보고, 형태별, 착용방법, 소재, 용도에 따른 핸드백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슬람 타일의 문양의 정의 및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이슬람 타일문양의 종류 및 특징을 문화권별로 사라센 양식, 오트만 양식, 무어 양식으로 분류하고, 형태에 따라서는 기하학문, 식물문, 문자문, 동물문을 살펴보았다. 이 중 이슬람타일 문양의 조형적 특징은 많이 활용되는 기하학문, 식물문를 중심으로, 재질, 색채, 형태감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비딩 기법에 대한 고찰로는 비즈와 비딩에 대하여 정의하고 비즈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 본 후 비즈와 비딩 기법에 대한 종류를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비딩기법을 응용한 핸드백 디자인에 대한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 수는 총9점을 실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슬람 타일에 나타난 작은 단위의 문양이 한없이 반복되어 패턴의 한 흐름을 이루고 있는 기하학 문양과 율동적이고 자유스러운 선과 형태를 표현하고 있는 식물문양은 시각적으로 활력을 주면서, 단순한 건축요소가 아니라 핸드백 디자인의 표현에 무한한 예술적 모티브로써 표현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비즈는 소재에 따라 패브릭과 유사 또는 대비되는 조화를 이루거나 빛의 반사에 의해 재질감의 차이를 보이는 시각효과를 기대하게 만든다. 이에 이슬람 타일에서 보이는 다양한 색채, 표면 광택, 빛의 반사 등을 적절하게 표현 할 수 있었다. 이에 핸드백의 기본 소재인 가죽과 비즈와 리본테잎, 니트등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비즈의 각양각색으로 나타나는 시각적 재질감을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있고, 이슬람 문양의 화려함과 정교함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셋째, 핸드백의 주조색은 이슬람 타일 문양에서 보이는 brown, black, blue, dark blue, turquoise으로 하며, scarlet, yellow, green, violet를 조화시켜 강렬한 색채 대비를 주었고, mint, ivory, pink, light blue, light green군의 밝은 색채는 강렬한 이슬람 색상을 pastel색조로 tone을 변형하여 보다 여성스럽고 우아한 색채대비의 변화가능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핸드백의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와 이슬람 문양의 복잡하고 정교한 디테일의 대칭성, 반복성, 추상성, 율동성, 확산성 등과 같은 형태의 특징과, 강렬한 색채, 빛의 반사에 의한 광택 있는 재질감을 강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슬람타일의 문양를 응용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과 비딩기법의 표현을 통해 문양의 이미지를 독창적으로 표현하고 알리는 것이다. 이러한 장식적 요소의 활용은 독특한 개성과 풍부한 표현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핸드백 디자인의 예술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도 이슬람 문양의 새로운 차원의 발견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Patterns on islamic tile ar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Judaism,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Ornaments by concrete themes such as Man, animals is not favored due to islamic doctrine which has prohibited idol worship, while ornamental technique of abstract forms- of which themes are plants, letters, and geometric patterns - has been highly developed. As for architecture, the surface of walls, floor, domes is decorated by flourishy arabesque patterns and geometric patterns, 'Blue' is symboliz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islamic tile. As mentioned, patterns on islamic tile have inherited very old historical traditions and developed independent cultures. Nevertheless, not much is known about the culture today as opposed to its leap toward participation in globalization and its political trend to re-establish the identities of ethnicity, regions, and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re are few designers who have suggested Islamic elements for fashion. The present society has tended to reestablish national, geographical and personal identities progressively, and those changes are closely connected to current which reflected the neglected culture of third world in fashion. Accordingly, re-discovery of the islamic native motive of their own , discovered and retraced in such a new view, as well as the recreated materials and techniques remains as an important task for globalization of fashion. In addition, as the demand to satiate individual desires has been increasing along with the standard of life in today's society, purses for ladies have become free of its 'accessory' position to the outfit as its importance as a coordinate for the total fashion is being emphasized recently. In this era where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ty are on a high demand, purses are more than what stores goods and gives a touch to the clothing: it is an object of infinitely creative design as it has come to transcend the idea that it is only a bag, and as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for a culture's customs and trends. These works were aimed at demonstrating possibility of developing more creative designs for handbags. Thus, this study, while introducing the Islamic culture to public, intends to provide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s of the Islamic beauty by various beading techniques as the main theme. and expand the range of the expressed motives as well. As for the areas and methods of research, history, definitions, and kinds of purses have been included, and the designing trends of purses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also been analyzed. The patterns of the Islamic tiles have also been studied in reference to bibliographical data; history, definitions, and types of beading techniques as well as beads have been described; and pictorial data for designing purses using the beading techniques have also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number of total works produced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and collection of data is nine.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this process and production as well as analysis of the nine works,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gained: First, the geometrical motives with regular repeats of various unit and the botanical motives with rhythmical forms and lines have an outstanding method to apply to the designing of handbags as they are simplified and schematized, which demonstrated infinite possibility for creative expressions as artistic patterns adaptable for contemporary usage. Second, beads on handbags have the visual effect showed that contrast or similar harmony with fabric and texture difference by reflection of light. thus,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islamic tile-various colors-luster surface, and reflection of light-were expressed properly. Among various beading techniques, fringing, wire-working, and bead embroidery were the most effective in expressing the delicate and sumptuous Islamic patterns as well. Third, main colors used on handbags are brown, black, blue, dark blue, turquoise. By matching main colors with scarlet, yellow, green, violet, intense color contrast were given. Light colors like mint, ivory, pink, light blue, light green demonstrated possibility of gentle and mild mood into pastel tone from vivid tone. Fourth, geometric and simple shape of handbags were the most effective in expressing the texture of luster surface by the reflection of light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licate and sumptuous Islamic pattern such as symmetry, repeat, abstractness, rhythm, diff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preading the knowledge in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slamic patterns for distinctive patterns and images, considering that studies on designing handbags with the patterns of Islamic tiles is almost near to naught. Application of such decorative elements requires constant researches to increase artistic expressions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with individuality and rich potential for expressions. More approaches and attempts at discovering the new dimensions of the Islamic patterns should be continued, creating a basis for globalization of more creative fashion and various desig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