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용-
dc.creator이은용-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2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 정보전달의 수단뿐만 아니라,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시각예술로서 그 독자적인 위치를 확고히 다지며 순수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전달 매체의 발달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영역을 확장 시켜왔고 또한 앞으로도 그 발전 가능성은 무한하다 볼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패션 이미지의 전달이라는 실용적 목적과 함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순수미술로서의 영역을 보다 확고히 다지기 위해 보다 다양성 있는 변화와 창의적인 표현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일반적 표현 양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표현 기법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입체적 표현기법으로서 키네틱 아트를 배경으로 활동하였던 야고프 아감(Yaacov Agam, 1928~)의 회화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도입하였다. 아감의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은 하나의 작품에 다중의 이미지를 입체적 구조로써 보여주면서 관람자의 시선을 작품의 중요한 요소로 끌어들여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형식으로서 이러한 특징의 도입을 통하여 강한 패션의 메시지를 움직이는 이미지로써 전달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과 역사를 문헌을 통하여 시대의 흐름을 위주로 살펴보고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과 다양한 표현유형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특히 입체적 구조로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양식에 대한 개념과 표현 기법을 조사하고 이를 표현한 작품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감의 추상회화 작품이 지니는 조형적인 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면서, 작품에 나타난 표현기법의 구체적인 방법과 효과를 조사․분석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입체적인 구조로써 아감의 표현기법이 지니는 특성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접목시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입체적 구조로써 한 작품에 두 개의 이미지를 제시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관람자의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 실루엣과 구도의 변화가 나타나도록 표현하는 데에 중점을 두면서 시각적 효과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의 화면에 입체적인 삼각형의 구조를 구축하는 수단으로써 알루미늄 판넬을 이용하여 구성하였고, 각이진 면 위에 두 개의 교차된 이미지를 붙이는 기법을 기본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감의 회화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작품의 입체적 구조에 의해 이미지의 움직임이 시각적 환영으로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도입하여 관람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효과로 인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창의적인 패션의 메시지를 구축함으로써 입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새로운 시도가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하나의 작품에서 움직임에 따른 다중의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복합적인 패션의 메시지를 작가의 언어로 보다 서술적으로 전달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형성된 새로운 이미지의 발견을 통하여 우연에 의한 조형적인 미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과 같은 공간과 시간에 공존하는 관람자의 시선을 중요한 가치로 삼는 입체적인 형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전시를 통한 대중과의 만남을 전제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예술적 형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순수 예술로서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입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한 새로운 표현 영역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새로운 시도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장르로써, 앞으로 보다 다양한 순수 미술 장르와의 접목을 통하여 보다 독특하고 창의적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을 기대하여 본다.;In addition to its function as an instrument of communicating fashion information, modern fashion illustr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enre of pure fine arts with the background of its independent position as an individual and innovative visual art. Recent developments in communicative means of various media have influenced and expanded the realm of fashion illustration into many sectors and its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the future are considered limitless. In line with these perspectives, at present, needed situation are the various attempts of changes and creative expressions for the field to firmly set its domain as characteristic and creative pure art. In the present research, accordingly, an attempt was made to introduce formative elements displayed as in the works of kinetic artist Yaacov Agam (1928- ) in the trial of approaching fashion illustration format with an innovative technique. Such an introductory intention is to show multi dimensional moving structural images in order to attract viewers’ attention into the important elements of works and thereby serving a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to induce the viewer’s positive participation as well as delivering intensive messages of fashion world.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earch for the fluid concept and history of the fashion illustration, its expression patterns and utilization as reflected in the course of time. Also reviewed were the conceptual importance of kinetic art as a moving art and theoretical basis of formative elements in Agam’s abstract art works, together with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detailed methods and effects of expressional technique in the works. In preparation of the present art pieces, main concern was maximizing the effects in grafting the characteristic Agam’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stereo graphic structure to the fashion illustration. With the approach of displaying two images in a work, attempts were made to express chromatic changes, silhouettes and compositional changes along the viewer’s eye movements, not to mention of embossing the particular effects of kinetic arts. For this purpose, aluminum panels were prepared as a means of building stereotype triangle construction on the canvas, and two crossed images were attached to the angled point at the top. Results gather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movements exemplified in the kinetic arts exhibit not only the mobility of the works themselves but also contain the immanent movement of the artistic structure as shown in Agam’s art works which is manifested by the positive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viewers. When applied to fashion illustration, it demonstrated that there was the effective result of encounter and it presented possibility of building new fashion image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addition to satisfying the original purpose of fashion illustration in the transfer of the fashion messages, induction of viewer’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works was provided because of the visual satisfaction following the moving images. Third, fashion illustrations with emphasis on the visual activity of the viewers in the context of coexistence between space and time as in the kinetic art works, demands prerequisite factors of the association with people through display and generation of the added value art works was expected by encounter with such an artistic space depicted in the pure artistic form. Through this study, possibility of graft between fashion illustration and kinetic art was seen on the horizon. This was a new attempt in the genre of fashion illustration, and hopefully it might encourage its expansion and development by way of also engrafting with other various genre of the pure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ⅶ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일반적 고찰 = 3 2.1.1.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역사 = 3 2.1.2.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능과 활용 = 12 2.1.3.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재료와 기법 = 16 2.2. 입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고찰 = 29 2.2.1. 입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 29 2.2.2. 입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기법 = 30 2.3. 야고프 아감에 대한 고찰 = 38 2.3.1. 아감의 작품 배경 = 38 2.3.2. 아감의 작품 세계 = 57 2.3.3. 아감의 표현 기법 = 60 3. 작품제작 = 80 3.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 80 3.2. 작품 및 해설 = 86 4. 결론 및 제언 = 116 참고문헌 = 118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548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입체적 표현기법에 의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Cubic Expression-
dc.creator.othernameLee, Eun-Yong-
dc.format.page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