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반응속도 단원에 대한 탐구적 성향 분석

Title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반응속도 단원에 대한 탐구적 성향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Oriented Tendency in Chapter of Rate of Reaction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for 10th Grade
Authors
염지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how the inquisitive oriented tendency in the 7th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has evolved from the 6th curriculum common science textbook, how types of experimental skills presented in inquiry activity have changed and whether a variety of inquiry activity is properly presented,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ate of reaction' section of 'material' chapter in the 10th grad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7 out of 12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6th curriculum and all of 11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7th curriculum were chosen a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inquiry tendency of these textbook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Romey was adopted, and among Romey's techniques, 3 items - contents, figure and diagram, and questions- were selected as criteria and their inquiry tendencies were quantified and compared in each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inquiry tendencies in the 6th curriculum common science textbooks and in the 7th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Romey's science textbook analysis method, as far as contents are concerned, the average index of the 6th textbooks showed to be inquiry oriented even though more than half of the 6th textbook showed authoritarian index, and average index of the 7th textbooks was inquiry oriented as all of the 7th textbooks were found to be inquiry oriented except just 1 of them. As far as figure and diagram are concerned, more than half of the 6th textbooks were proven to be authoritarian but one of them showed an extremely high index so that the average of indices indicated their inquiry oriented tendency. As opposed to this, all the 7th textbooks appeared to be inquiry oriented. As far as question in a textbook is concerned, both the 6th and the 7th were inquiry oriented, but it was found that the 7th textbooks are overly inquiry oriented based on Romey's analysis techniques since their indices were too high. In order to compare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6th and the 7th textbooks, an inquiry topics,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experimental skil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considered. After analysis of inquiry topics and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3 to 5 common inquiry topics presented in 7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and they all presented common topics of effects of concentration on rate of reaction, effects of temperature on rate of reaction, effects of catalyst on rate of reaction. On average, 3 or 4 inquiry activities were given in each textbook, and types of inquiry activity were only comprised of experiment, analysis of data, and discussion. The number of inquiry topics in 11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were a total of 10 and 12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found. The topic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6th curriculum were a fast and a slow reaction, measuring the rate of reaction, measuring a speed, catalysts used in industry, and using a rate of reaction for our daily living. We discovered some signs of effort to include a variety of inquiry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our living. After analysis of experimental skills, we have discovered a total of 7 experimental skills used in the 6th curriculum textbooks. As opposed to this,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showed a variety of experimental skills and beside skills introduced in the 6th textbooks. They let students to measure the rate of reactions with materials easily found in our daily living. From this, we concluded that the 7th textbooks exerted more efforts in being closer to our daily living than the 6th textbooks. From the results above, we decided that the 10th grade high school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have more inquiry oriented tendency and their inquiry topics, types of inquiry activity, and experimental skills used in inquiry activity were one step closer to our daily living. While serving the purpose of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have evolved to be more inquiry oriented than the 6th curriculum textbooks, but some of the 7th textbooks seem to be overly inquiry oriented so that it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Thus, when revising the science textbooks, we need to consider this aspect as well. In addition, we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opic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ing and current technical and industrial status.;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물질 단원 반응속도 부분을 비교 분석하여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가 제6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에 비해 탐구적 성향은 어떻게 변하였는지, 탐구 활동의 종류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지, 탐구 활동에 제시된 실험 방법의 종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 총 12종 중 7종과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총 11종 모두를 사용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성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Romey가 제시한 과학 교과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Romey의 방법 중 과학 교과서의 본문 내용, 그림과 도표, 질문의 3가지 항목을 선정하여 탐구적 성향을 정량화하여 교과서 별로 비교하였다. Romey의 과학 교과서 분석 방법에 따라 제6차 교육과정 공통과학 교과서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적 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본문내용 항목에서 제6차 교과서는 평균지수가 탐구적이라 할 수 있으나 절반 이상의 교과서가 권위적인 지수를 나타내었고, 제7차 교과서는 평균 지수가 탐구적이고, 1종의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탐구적인 교과서로 분석되었다. 그림과 도표 항목에서는 제6차 교과서는 절반 이상의 교과서가 권위적인 교과서로 판단되었으나 어느 한 교과서의 지수가 높아 평균 지수는 탐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제7차 교과서는 모든 교과서가 탐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의 항목에서는 제6차 교과서와 제7차 교과서 모두 탐구적이었으나 제7차의 경우 그 지수가 높아 Romey의 분석 방법에 의하면 지나치게 탐구적 성향을 띤 교과서로 판단되었다.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를 위해서는 탐구 주제, 탐구활동의 종류, 실험에 사용된 실험방법을 분석하였다. 탐구 주제와 탐구활동의 종류의 분석 결과, 제6차 교과서 7종에 제시된 탐구활동 주제는 3~5개로 나타났으며, 모든 교과서에서 제시한 공통된 주제는 반응 속도에 미치는 농도의 영향,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반응 속도에 미치는 촉매의 영향, 세 가지였다. 탐구활동은 평균적으로 4.3개가 수록되어 있으며, 탐구활동의 종류는 실험, 자료해석, 토의의 3가지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7차 교과서 11종의 반응 속도 단원의 탐구활동 주제는 총10개이고, 탐구활동 종류는 12가지로 나타났다. 제6차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던 주제로는 빠른 반응과 느린 반응, 반응속도 측정하기, 빠르기 측정,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촉매, 생활 속 반응속도의 이용이 있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탐구활동을 다양하게 수록하려고 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사용된 실험방법을 분석한 결과, 제6차 교과서에 사용된 실험방법은 총 9가지 방법이 있었다. 이에 비해 제7차 교과서는 종류가 더 다양했으며 제6차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기법 외에 실생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재료를 가지고 반응 속도를 측정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제7차 교과서는 제6차 교과서에 비해 더 실생활에 밀접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는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학 교과서에 비해 탐구적 성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으며, 탐구활동의 주제와 탐구활동의 종류, 탐구활동에서 사용된 실험방법이 더욱 다양하게 일상생활에 밀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해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게 탐구적 성향을 분명하게 가지게 되었으나 몇몇의 교과서는 지나치게 탐구적인 성향을 가진 경우도 있어 이런 경우에는 오히려 학습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으므로 새 교과서 개편시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에 밀접한 주제와 더불어 기술, 산업상황에서의 주제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